마이노트

[RES16]

0

임신 나이 42주 2일, 4200g으로 태어난 아이가 출생 5일 후 갑작스럽게 호흡곤란을 보였다. 태어날 당시 양수는 태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고농도 산소를 제공하였으나 호흡곤란은 개선되지 않았고, 오른쪽 손의 산소포화도는 85%였으나, 왼쪽 발의 산소포화도는 이보다 12%나 낮았다. 심초음파에서 동맥관이 열려있었으며 우좌 단락이 관찰되었다. 가슴 X선 사진을 찍었다. 치료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률 63%

누적 풀이 횟수 300+

평균 풀이 시간37초

/

나의 풀이 시간0

Imp: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newborn, PPHN), 태변흡인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해설

• 과숙아로 출생한 환아가 갑작스런 호흡곤란을 보이고 있다.

• 태어날 때 태변 착색이 있었던 점, 현재 가슴 X선 사진 상 불규칙한 폐음영 감소 소견으로 보아 MAS를 의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폐혈관 저항이 감소하지 않아 동맥관이 열려 있게 되며, 우좌단락이 관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른쪽 손, 왼쪽 발의 산소포화도 차이 또한 동맥관 전 후로 우좌단락이 발생하여 산소포화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현상을 지속성 신생아 폐고혈압이라고 하며, 치료는 폐혈관의 저항을 낮춰줄 수 있는 NO 흡인이다.

오답 선지

• 인도메타신: PGE inhibitor로, PDA closure를 유발하는 약물이다. 본 증례의 R-L shunt는 PDA에 의해 발생하지만, PDA의 근본적 원인은 PPHN이므로 폐고혈압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 에글란딘: PDA를 개존 상태로 유지시키는 약물로, 몇몇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에서 PDA 없이는 circulation이 확보되지 않을 때 투여한다.

• 산소치료: 현재 호흡곤란의 원인이 되는 폐동맥 고혈압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NO 치료가 더 중요하다.

관련 이론

신생아 질환 - 호흡기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306-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