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노트

[RES16]

0

임신 기간 34주, 체중 2,150g으로 태어난 여아가 출생 후 바로 호흡곤란과 청색증을 보여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기계호흡기와 계면활성제 치료를 받은 후 상태가 호전되었다. 그러나 생후 7일째 다시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가슴에서 심잡음이 들렸다. 심초음파 검사 결과가 나왔다. 이 아기에게 필요한 치료는 무엇인가?

정답률 85%

누적 풀이 횟수 300+

평균 풀이 시간34초

/

나의 풀이 시간0

Imp: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

해설

• 현재 심초음파 상 뚜렷한 동맥관 개존이 관찰된다. 동맥관 개존증은 미숙아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특히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겪은 뒤 잘 합병된다.

• 치료로 PGE inhibitor 역할을 하는 인도메타신 또는 이부프로펜을 사용한다.

오답 선지

• 디곡신: 강심제로 사용된다.

• 에피네프린: Anaphylaxis, vasopressor 투여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shock, cardiac arrest 등에 사용된다.

• 산화질소: PPHN에 의해 PDA가 지속될 경우 pHTN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물이다.

• 에글란딘: PDA를 유지시키는 약물이다.

관련 이론

비청색증 선천 심질환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812-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