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18]
0
5세 남아가 2일 전부터 소변을 적게 보고 있다고 어머니가 호소한다. 5일 전부터 경미한 설사 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혈압 측정 결과 85/50 mmHg로 나타났으며, 아래와 같은 검사 결과를 보였다. 이 아동에게 필요한 치료는 무엇인가?
혈액: BUN/Cr 36/0.9 mg/dL
소변: Osmolality 940 mOsm/kg H2O, 비중 1.035
정답률 96%
누적 풀이 횟수 200+
평균 풀이 시간34초
/
나의 풀이 시간0초
Imp: Dehydration
해설
설사 이후 혈압이 저하되어 있으며 소변량이 감소했으므로 중증 이상의 탈수다. 높은 소변 비중(정상 : 1.010~1.025)과 소변 삼투압 상승(정상 : 대략 500~850 mOsm/kg H2O), BUN/Cr 비율 상승(정상 : 10:1~20:1)로 상승된 것 역시 탈수를 시사한다. 중등도 이상의 탈수이므로 정맥 생리식염수 투여를 통해 유효 순환량을 빠르게 회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Tip
• 소아의 정상 혈압, 심박수와 호흡수를 알아두자. (대략적인 수치다.)
나이 | 수축기 혈압 (mmHg) | 심박수 (회/분) | 호흡수 (회/분) |
|---|---|---|---|
출생 시 | 50-70 | 140 | 40 |
6개월 | 70-100 | 110 | 30 |
1세 | 80-110 | 100 | 28 |
3~4세 | 90-110 | 95 | 25 |
5~10세 | 95-110 | 90 | 24 |
10~15세 | 100-120 | 85 | 20 |
15세 이상 | 110-135 | 75~80 | 16~18 |
• 소아 저혈압 기준
구분 | 수축기 혈압 기준 |
만삭아 주산기 (0일~28일) | < 60 mmHg |
영아 (1개월~12개월) | < 70 mmHg |
1~10세 소아 | < 70 + (연령 X 2) mmHg |
10세 이상 소아 | < 90 mmHg |
오답 선지
• 항생제 투여 : 설사의 원인이 세균 감염으로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바로 항생제를 사용하기 보다 우선 생리식염수 투여가 우선이다.
• 이뇨제 투여 : 탈수 상태에서 이뇨제 사용은 피해야 한다.
• 소변배양 검사 : UTI의 징후는 보이지 않다.
• 수분 섭취 제한 : 탈수 상태에서 수분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반대로 해야 할 조치다.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관련 이론
• 수분 및 전해질 평형
• 탈수의 중증도 분류
구분 | 경증 | 중등도 | 중증 |
체중감소(영아) | < 5% | 5~10% | > 10% |
체중감소(연장아) | < 3% | 3~6% | > 6% |
피부 진찰 | 정상 | 차고 창백 | 차고 얼룩짐 |
점막 건조 | 경도 | 현저 | 바싹 마름 |
안구 및 앞숫구멍 | 정상 | 함몰 | 현저히 함몰 |
혈압 하강 | - | ± | ++, shock |
맥박 증가 | ± | + | ++, 약함 |
의식 | 정상 | 흥분 또는 기면 | 기면 또는 혼수 |
소변량 | 감소 | 현저히 감소 | 무뇨 |
눈물 | 나옴 | 감소 | 안 나옴 |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1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