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노트

[RES19]

0

11세 6개월 여아가 2주일 전부터 느낀 양측 유방의 불편함으로 내원하였다. 양측 유방에 직경 2 cm의 경미한 압통을 동반한 멍울이 만져졌으나, 발적이나 열감은 관찰되지 않았다. 키 145 cm(80백분위수), 체중 40 kg(80백분위 수)이며, 손목의 골연령은 11세 6개월로 측정되었다. 이 환자의 적절한 처치는 무엇인가?

정답률 98%

누적 풀이 횟수 300+

평균 풀이 시간25초

/

나의 풀이 시간0

Imp: 정상 사춘기 발달

DDx: 성조숙증

해설

여성은 8~13세에 유방이 돌출하면서 사춘기가 시작된다. 경미한 압통은 정상소견이며, 발적이나 열감이 없었고, 체중과 키, 골연령이 정상이므로 경과관찰한다.

Tip

• 소아과 총론에서는 '정상'소견과 '비정상'소견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답 선지

• 유방조직검사 : 약성 종양이 의심될 때 시행한다. 정상 사춘기 발달 과정이며, 유방에 대한 검사도 없이 시행하지 않는다.

• 염색체 검사 : 정상 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으므로, 터너 증후군 등이 의심되는 상황은 아니다.

• 뇌 MRI : 뇌하수체 종양 등 뇌의 기질적인 문제가 의심될 때 시행한다.

• GnRH 자극검사 : 성조숙증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시행할 수 있다. 성조숙증은 2차 성징의 징후(여아는 유방발달, 남아는 고환크기 증가)가 여아 8세 미만, 남아 9세 미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한다.

관련 이론

성조숙증

1) 정상 사춘기 발달 과정

(1) 사춘기 이전(8~9세): HPG axis 비활성화

* HPG: Hypothalamus - pituitary - gonadal

(2) 사춘기 시작 1~2년 전: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GnRH) 박동성 분비 → LH 분비 → 생식샘 발달, 성호르몬 분비 촉진

(3) 사춘기 시작

① 남아: 11~12세 / 시작시 고환 커짐 (세로 길이 > 2.5cm / 용적 > 4mL)

• 음낭의 색소 침착, 음경 발달, 음모 생김

② 여아: 10~11세 / 시작시 유방 조직 발달(breast bud)

• 6~12개월 내 음모 발달

여아의 성 성숙도 단계 (Tanner)

남아의 성 성숙도 단계 (Tanner)

2) 성조숙증의 정의: 2차성징의 출현이

(1) 여아에서 < 8세 (breast budding)

(2) 남아에서 < 9세에 나타나는 경우 (고환 크기 커지는)

3) 역학: 특발성 성조숙증 m/c → 성조숙증 환자 중 여아의 90%, 남아의 50%

4) 불완전형 성조숙증: 사춘기 때 나타나는 2차성징 중 유방비대, 음모 등이 단독으로 나타남

(1) 유방 조기 발육증(premature thelarche)

① 유방 발육이 있으면서 다른 제 2차 성징은 보이지 않는 일시적 상태

보통 2세 전후에 잘 생김

③ 치료: 필요 없음 (주로 수 개월 내에 돌아옴)

(2) 음모 조기 발생증(premature aderenarche)

① 음모가 나타나면서 다른 제 2차 성징은 보이지 않는 일시적 상태

② 치료: 필요 없음

Reference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1144-1149

이미지: Female Tanner, male T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