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노트

[RES20]

0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9개월 된 여아가 BCG 백신 접종을 위해 내원하였다. 아이는 지금까지 건강했으며, BCG 외의 예방 접종은 문제 없이 진행하였다고 한다. 적절한 조치는 무엇인가?

정답률 75%

누적 풀이 횟수 300+

평균 풀이 시간26초

/

나의 풀이 시간0

해설

생후 3개월 이상이므로 투베르쿨린 검사 음성을 확인한 뒤 접종한다.

• 신생아, 선천 결핵은 사망률이 50%에 달해 일반적으로 BCG 접종은 생후 4주 이내에 시행하도록 한다.

• BCG 접종은 성인 폐결핵의 빈도를 줄이지는 못하나 영유아 및 소아의 결핵성 수막염이나 좁쌀 결핵과 같은 치명적인 결핵을 예방할 수 있다.

• 신생아기에 BCG 접종을 하지 못한 경우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파종성 결핵의 고위험 연령대로 알려져 있는 5세 미만까지는 접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CG 접종이 지연된 경후 생후 3개월 미만까지는 TST 확인 없이 접종 가능하다.

생후 3개월 이상부터는 TST 음성을 확인한 후 접종한다.

오답 선지

• 투베르쿨린 검사 양성이면 isoniazid 치료 후 접종: 호흡기 결핵환자에게 노출되어 시행한 TST에서 양성인 경우, 활동성 결핵인 경우는 BCG 접종이 필요하지 않다.

• 가슴 X선 검사 정상이면 접종: 생후 3개월 이상이므로 TST 검사를 시행한다.

• 검사없이 접종: 생후 3개월 이상이므로 TST 검사를 시행한다.

• 접종 필요없음: 영유아, 소아는 결핵 노출 시 결핵성 수막염이나 좁쌀 결핵의 위험이 높아 권장 접종 기간이 지났더라도 BCG 접종이 필요하다.

관련 이론

예방 소아과학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538-55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가이드라인,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