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부정맥

심실세동

: Ventricular fibrillation, VF, 심실잔떨림

심실세동은 심실의 여러부위에서 신호가 발생하여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빈맥으로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심장 급사가 발생할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VF은 QRS군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규칙한 심전도 리듬을 보이며 제세동을 응급으로 시행해야 한다. VT와 구분되는 심전도 소견을 눈에 잘 익혀두어야 한다.

1. 개요

1) 원인

(1) 구조적 심질환: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판막질환(AS 등)

(2) 유전성 부정맥

(3) 기타: 대동맥 박리, 폐색전증, idiopathic 등

2) 심전도 예시

(1) 심실 여러부위가 불규칙하게 disorganized 되어 수축

(2) 식별 불가능한 QRS complex

2. 치료

1) CPR: VF의 경우 즉시 시행. 심폐소생술 단원 참고

* VF는 심정지 리듬 중 하나이므로, 위 리듬을 발견하면 제세동기가 바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이상 그 자리에서 가능한 빨리 흉부압박을 먼저 시행해야 한다.

2) 응급 제세동(emergency defibrillation)

• 식별 불가능한 QRS만 있으므로 asynchronous defibrillation

3) 기타 약물치료: 심정지 알고리즘에 맞게 투여

(1) 항부정맥제: Amiodarone, lidocaine 등

(2) 승압제/강심제: Epinephrine

4) 삽입형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CD): 심장 급사 예방

• 교정이 어려운 원인에 의한 VF가 있었던 환자들은 모두 ICD의 적응증에 해당함

Harrison 21e, pp.1923-1926

AHA guideline, 2017

부정맥

심실빈맥

부정맥

심장 급사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