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험에서 목의 해부학적 구조를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문제는 출제된 적 없다. 다만, 갑상샘의 위치와 부갑상샘의 기능이 출제된 적 있으며, 온목동맥의 가지들에 관해서도 알고 있는 것이 좋겠다.

1. 근막

1) 층: 4개의 층으로 구성

(1) 얕은층(investing layer)

• 목 앞쪽 목빗근과 목 뒤쪽 등세모근을 감싸며 연결

• 뚫고 나오는 구조: 바깥목정맥, 앞목정맥, 작은뒤통수신경, 큰귓바퀴신경, 가로목신경, 빗장위신경

(2) 기관앞층(pretracheal layer)

• visceral compartment(기관, 식도, 갑상샘)를 감쌈

• 앞쪽의 기관앞층(pretracheal fascia)과 뒤쪽의 볼인두근막(buccopharyngeal fascia)로 구분

• 기관앞층(pretracheal fascia)이 볼인두근막보다 짧음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991

(3) 척주앞층(prevertebral layer)

• vertebral compartment(경추와 주변 근육)를 감쌈

• 팔신경얼기와 빗장밑동맥을 둘러싼 겨드랑집(axillary sheath)로 연장

(4) 목혈관신경집(carotid sheath)

• neurovascular compartment(온목동맥, 속목정맥, 속목동맥, 미주신경)를 감쌈

• 얕은층, 기관앞층, 척주앞층 모두에 의해 형성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990

2) 근막칸: 3개의 칸으로 구성

(1) Neurovascular compartment

(2) Visceral compartment

(3) Vertebral compartment

3) 근막공간

(1) 기관앞공간(pretracheal space)

• 얕은층과 기관앞층 사의의 공간

• 위세로칸(superior mediastinum)의 앞, 위쪽까지 내려감

(2) 인두뒤공간(retropharyngeal space)

• 기관앞층(볼인두근막)과 척주앞층 사이의 공간

• 뒤세로칸의 위까지 내려감

(3) 셋째 공간(third space)

• 척주앞층 내부에 존재하는 공간

2. 앞목삼각(anterior triangle)

1) 구성

(1) 턱밑삼각(Submandibular triangle)

• 경계: 아래턱뼈(mandible)의 아래 모서리, 턱두힘살근(digastric m.)의 앞힘살, 뒤힘살

• submandibular gland, sublingual gland, 목뿔위근육 분포

• 목뿔위근육(suprahyoid m.)

근육

이는곳

닿는곳

신경지배

작용

턱목뿔근

(mylohyoid m.)

아래턲뼈의 턱목뿔근선

목뿔뼈 몸통과 목뿔뼈의 중앙선

턱목뿔신경

(CN V3 기원)

턱이 처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유지

목뿔뼈를 앞쪽으로 올림

턱을 내림

턱두힘살근의 앞힘살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

아래턱뼈의 턱두힘살근오목

intermediate tendon이 목뿔뼈 몸통에 부착

목뿔뼈 올림

아래턱뼈 내림

턱두힘살근의 뒤힘살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

관자뼈 꼭지돌기(mastoid process) 안쪽

얼굴신경 (CN VII)

목뿔뼈를 꼭지돌기쪽으로 올림

붓목뿔근

(stylohyoid m.)

붓돌기

목뿔뼈 몸통

목뿔뼈를 뒤쪽으로 올림

턱끝목뿔근

(geniohyoid m.)

아래턱뼈의 아래턱끝가시

목뿔뼈 몸통

C1

목뿔뼈 올림

목뿔뼈 고정시 아래턱뼈 내림

(2) 턱끝밑삼각(Submental triangle)

• 경계: 목뿔뼈(hyoid bone), 턱두힘살근의 앞힘살, 정중선

• 림프절 분포

(3) 목동맥삼각(Carotid triangle)

• 경계: 어깨목뿔근(omohyoid m.)의 위힘살,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의 앞모서리, 붓목뿔근(stylohyoid m.)과 턱두힘살근의 뒤힘살

• 온목동맥 분포, 목동맥갈림(bifurcation of CCA)

• 목동맥갈림 주변 동맥 구조: 목동맥팽대(carotid sinus), 목동맥토리(catorid body)

- 목동맥팽대: 혈압변화 감지, 혀인두신경(CN IX) 분포

- 목동맥토리: 혈액의 산소포화도 감지, 혀인두신경(CN IX), 미주신경(CN X) 분포

(4) 근육삼각(Muscular triangle)

• 경계: 어깨목뿔근의 위힘살, 목뿔뼈, 목빗근의 앞모서리, 정중선

• 목뿔아래근육, 인두, 후두, 갑상샘, 부갑상샘 분포

• 목뿔아래근육(infrahyoid m.)

근육

이는곳

닿는곳

신경지배

작용

복장목뿔근

(sternohyoid m.)

복장뼈자루의 뒤쪽과 빗장뼈 안쪽

목뿔뼈 몸통 아랫면

목신경고리

(Ansa cervicalis

:C1~C3의 앞가지)

목뿔뼈를 내림

어깨목뿔근

(omohyoid m.)

어깨위패임(supracapsular notch) 안쪽의 어깨위모서리

목뿔뼈 몸통과 큰뿔

목뿔뼈를 가쪽으로 당기며 내림

복장방패근

(sternothyroid m.)

복장뼈자루의 뒤쪽으로, 복장목뿔근의 이는곳보다 아래

방패연골의 빗선

① 방패연골을 아래로 내림

② 후두의 긴장도 조절

방패목뿔근

(thyrohyoid m.)

방패연골의 빗선

목뿔뼈의 몸통과 큰뿔

C1 앞가지

① 목뿔뼈 고정 시 방패연골을 올림

② 방패연골 고정 시 목뿔뼈를 내림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998

• 갑상샘

- 좌엽과 우엽이 갑상샘잘록(isthmus)로 연결된 구조

- 갑상샘잘록: 2~4번째 기관연골 높이

- 혈액 공급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08

① 동맥

- 위갑상동맥 ← 바깥목동맥

- 아래갑상동맥 ← 갑상목동맥(thyrocervical trunk) ← 빗장밑동맥

② 정맥

- 위/중간갑상정맥 → 속목정맥

- 아래갑상정맥 → 팔머리정맥(brachiocephalic vein)

부갑상샘: 혈중 Ca2+ 농도 조절

- 갑상샘 뒤에 존재, 갑상샘과 혈관 공유

- 으뜸세포(chief cell): 부갑상샘 호르몬 분비 → Ca2+↑, 인산↓

- 갑상샘절제술 시 손상될 수 있는 구조: 부갑상샘, 되돌이후두신경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995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1

3. 뒤목삼각(posterior triangle)

1) 구성

(1) 어깨밑삼각(Subclavian triangle)

• 경계: 목빗근의 뒤모서리, 빗장뼈, 어깨목뿔근의 아래힘살

(2) 뒤통수삼각(Occipital triangle)

• 경계: 목빗근의 뒤모서리, 등세모근(trapezius m.)의 앞모서리, 어깨목뿔근의 아래힘살

2) 뒤목삼각의 근육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4

•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 복장갈래(sternal head), 빗장갈래(clavicular head)로 구분

• 등세모근(trapeizius m.)

• 머리널판근(splenius capitis m.)

• 어깨올림근(levator scalene m.)

• 앞/중간/뒤목갈비근(anterior/middle/posterior scalene m.)

• 어깨목뿔근(omohyoid m.)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3

3) 척주앞근육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8

• 앞/가쪽머리곧은근(rectus capitis anterior/lateralis m.)

• 목긴근(longus colli m.)

• 머리긴근(longus capitis m.)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8

4. 혈관

1) 동맥: 목동맥삼각에서 온목동맥이 바깥목동맥과 속목동맥으로 분지

(1) 속목동맥: 목동맥관(carotid canal) 통해 머리 안으로 들어가 분포, 목에서는 가지 X

(2) 바깥목동맥(ECA)

구분

바깥목동맥의 가지

위치

목에서 분지

위갑상동맥(Superior thyroid a.)

갑상샘, 후두

오름인두동맥(Ascending pharyngeal a.)

인두, 편도

혀동맥(Lingual a.)

구강 바닥

얼굴동맥(Facial a)

얼굴

뒤통수동맥(Occipital a.)

뒤통수

뒤귓바퀴동맥(Posterior auricular a.)

얼굴에서 분지

얕은관자동맥(Superficial temporal a.)

머리 위

위턱동맥(Maxillary a.)

치아

• 목동맥삼각에서 관찰되는 바깥목동맥의 가지: 위갑상동맥, 오름인두동맥, 혀동맥, 얼굴동맥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01

(3) 빗장밑동맥(subclavian a.): 앞목갈비근(anterior scalene m.)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구분

• 기원: 오른빗장밑동맥 ← 팔머리동맥/ 왼빗장밑동맥 ← 대동맥궁

① 첫째부분

• vertevral a.

• internal thoracic a. → musculophrenic a., superior epigastric a.

• thyrocervical trunk → inferior thyroid a., ascending cervical a., transverse cervical a., suprascapular a.

② 둘째부분: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 주행

• costocervical trunk → deep cervical a., supreme intercostal a.

③ 셋째부분

• dorsal scapular a.

• 이후 겨드랑동맥(axillary a.)이 되어 주행

2) 정맥: 바깥목정맥 → 빗장밑정맥과 합쳐짐 → 속목정맥과 합쳐져 팔머리정맥(brachiocephalic v.) 형성

(1) 속목정맥

• 지류: 아래바위정맥굴(inferior petrosal sinus), 뒤통수정맥, 얼굴정맥, 혀정맥, 인두정맥, 위/중간갑상정맥

(2) 바깥목정맥

① 얕은관자정맥 + 위턱정맥 → 아래턱뒤정맥(retromandivular v.): 턱뼈각(angle of mandible) 근처에서 합류

② 아래턱뒤정맥 + 뒤귓바퀴 정맥 → 바깥목정맥

③ 바깥목정맥에 posterior external jugular v., transverse cervical v., suprascapular v., anterior jugular v. 합쳐짐

④ 이후 바깥목정맥이 목빗근의 근막을 뚫고 들어감

⑤ 바깥목정맥이 빗장밑정맥에 합류

• 빗장밑정맥은 빗장밑동맥과 달리 앞목갈비근 앞으로 주행

⑥ 빗장밑정맥 + 속목정맥 → 팔머리정맥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4

3) 림프: 빗장밑정맥과 속목정맥이 만나는 부위에서 합류

(1) 오른쪽 림프 → 오른림프관(right jugular trunk)

(2) 왼쪽 림프 → 왼목림프줄기(left jugular trunk) → 가슴림프관(thorcaic duct)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26

5. 신경

1) 뇌신경

(1) 얼굴신경(CN VII)

• 넓은목근(platysma), 턱두힘살근의 뒤힘살, 붓목뿔근 분포

(2) 혀인두신경(CN IX)

• 붓인두근, 목동맥팽대 분포

(3) 미주신경(CN X)

• 목혈관신경집 내부로 주행

• 인두, 목동맥토리 분포

• 후두신경가지, 위후두신경

(4) 더부신경(CN XI)

(5) 혀밑신경(CN XII)

2) 목신경얼기(cervical plexus): 근육가지와 피부가지

(1) 근육가지

• 목신경고리(ansa cervicalis): C1~C3의 앞가지; 앞목신경의 근육에 분포

• 가로막신경(phrenic n.): C3~5

(2) 피부가지: 작은뒤통수신경(C2), 큰귓바퀴신경(C2, 3), 가로목신경(C2, 3), 빗장위신경(C3, 4)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17

3) 교감신경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25

(1) 위목신경절 (CI~CII 높이)

• 회색교통가지: C1~C4와 연결

• 위목심장신경(superior cervical cardiac n.)

• 목동맥신경얼기(carotid plexus) 형성

• 인두, 목동맥팽대, 목동맥토리로 가지

(2) 중간목신경절 (CVI 높이)

• 회색교통가지: C5~C6과 연결

• 중간목심장신경(middle cardiac n.)

(3) 아래목신경절 (CVII 높이)

• 회색교통가지: C7~T1과 연결

• 아래목심장신경(inferior cardiac n.)

(4) 빗장밑신경골(ansa subclavia)

• 중간목신경절과 아래목신경절의 가지가 연결되어 빗장밑동맥을 감싸는 고리

Reference

•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989-1029

두경부

관자우묵과 관자아래우묵

두경부

인두와 후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