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두와 후두

인두의 구조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며, 인두와 후두의 전반적인 구조와 위치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후두의 경우 갑상선 수술 등의 과정에서 주변을 주행하는 되돌이후두신경이 손상되어 후두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겠다.

1. 인두(Pharynx)

1) 위치

(1) 높이: 머리뼈 바닥 ~ 대략 CV6(식도의 맨 위부분)

(2) 인두벽: 비강, 구강, 후두의 모서리와 연결

2) 기능: 음식물과 공기의 통로 구분

(1) 음식물: 구강 → 목구멍 → 인두 → 식도

(2) 공기: 비강 → 콧구멍 → 인두 → 후두 → 기관

3) 구성

Nasopharynx (코인두)

Oropharynx (입인두)

Laryngopharynx (후두인두)

경계

(위~아래)

pharyngeal tubercle

~ 물렁입천장 아래 끝

물렁입천장 아래 끝

~ 후두덮개 위 끝

후두덮개 위 끝

~ 후두 아래 경계 높이

(대략 CVI)

연결되는

공간

비강

(뒤콧구멍: choanae)

구강

(목구멍잘록: oropharyngeal isthmus)

후두

(후두어귀: laryngeal inlet)

(1) 물렁입천장(soft palate): 코인두와 입인두의 경계: 음식물이 코로 못 넘어가게 함

(2) 후두덮개(epiglottis): 입인두와 후두인두의 경계: 음식물이 후두로 못 넘어가게 함

3) 근육과 신경

(1) 인두수축근: 바깥쪽에 위치해 인두를 조여 음식물이 식도로 내려가는 것을 도움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32

근육

이는곳

닿는곳

위치

신경분포

작용

위인두수축근

(Superior constrictor)

날개아래턱솔기

(pterygomandibular raphe)

인두솔기

(Pharyngeal raphe)

아래인두수축근은 아래로 식도와도 연결

(deep)

(superficial)

미주신경

(CN Ⅹ)

인두 조임

중간인두수축근

(Middle constrictor)

붓목뿔인대(stylohyoid ligament), 목뿔뼈(hyoid bone)의 큰뿔, 작은뿔

아래인두수축근

(Inferior constrictor)

방패연골의 빗선

(2) 세로근육: 안쪽에 위치해 인두를 올려 인두를 짧게 해 음식이 쉽게 내려가도록 함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33

근육

이는곳

닿는곳

신경분포

작용

귀관인두근

(salpingopharyngeus m.)

귀관

인두 내벽

미주신경(CN Ⅹ)

인두 올림

귀관 열림 보조

입천장인두근

(palatopharyngeus m.)

입천장널힘줄

인두 올림

붓인두근

(stylopharyngeus m.)

붓돌기

(styloid process)

혀인두신경(CN Ⅸ)

위인두수축근과 중간인두수축근 사이로 들어가 인두 내벽에 붙음

(3) 감각신경

① 코인두: 아래턱신경(CN V2)

② 입인두: 혀인두신경(CN IX)

③ 후두인두: 미주신경(CN X)

4) 인두의 내부 구조

(1) 코인두

① 귀관융기(Torus tubarius): 귀관에 점막이 덮여 튀어나온 구조

② 귀관인두주름(Salpingopharyngeal fold): 귀관인두근 위에 점막이 덮여 형성된 주름

③ 인두오목(Pharyngeal recess): 귀관인두주름이 볼록해 뒤쪽에 만들어진 상대적으로 오목한 주름

(2) 입인두

① 입천장혀근, 입천장인두근 → 각각 입천장혀주름(palatoglossal arch), 입천장인두활(palatopharyngeal arch) 형성

• 입천장혀주름(palatoglossal arch): 구강과 구인두의 경계(목구멍잘록의 모서리)

② 목구멍잘록(Oropharyngeal isthmus): 구강과 입인두의 기능적 경계

③ Tonsillar fossa: 입천장혀주름과 입천장인두활 사이의 공간, 목구멍편도(palatine tonsil) 존재

(3) 후두인두

① 후두어귀(Laryngeal inlet): 후두와 후두인두의 경계

② 조롱박오목(Piriform fossa): 후두어귀 아래 양쪽으로 파인 구조; 음식물이 잘 걸림

③ 계곡(Valleculae): 후두덮개와 혀 사이 파인 구조

(4) 인두 근막

① 인두결절근막(pharyngobasilar fascia)

② 볼인두근막(buccopharyngeal fascia)

인두뒤공간(retropharyngeal space): 볼인두근막과 척주앞근막 사이의 잠재적인 공간

머리 아래의 염증이 뒤세로칸(posterior mediastinum)까지 퍼지는 경로가 될 수 있음

5) 혈관: 대부분 바깥목동맥의 가지 분포

6) 편도: Waldeyer’s tonsillar ring

①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 아동기에서 팽대 시 adenoid): 코인두 천장 정중선

② Tubal tonsil: 귀관의 pharyngeal opening 주위

③ 목구멍편도(Palatine tonsil): tonsilar fossa

④ 혀편도(Lingual tonsil): 혀의 뒷부분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36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36

2. 후두(Larynx)

1) 위치

(1) 위: 혀의 바로 뒤, 약간 아래의 인두, 목구멍잘록

(2) 아래: 기관과 연결

2) 기능: 공기의 이동 통로, 발성기관

3) 구성: 연골로 구성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1

(1) 쌍을 이루지 않는 연골

① epiglottis(후두덮개)

② thyroid cartilage(방패연골)

③ cricoid cartilage(반지연골)

(2) 쌍을 이루는 연골

① arytenoid cartilage(모뿔연골)

② corniculate cartilage(잔뿔연골)

③ cuneiform cartilage(쐐기연골)

(1) 쌍을 이루지 않는 연골

① epiglottis(후두덮개): 삼킬 때 후두를 닫아 후두로의 유입을 막음

② thyroid cartilage(방패연골): 발성에 관여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3

• 성장에 따라 방패연골각(Thyroid angle) 감소

• 방패연골이 앞뒤로 길수록 성대의 긴장도(tension)가 낮아 낮은 목소리가 나옴

③ cricoid cartilage(반지연골): 발성에 관여

(2) 쌍을 이루는 연골

① arytenoid cartilage(모뿔연골): 발성에 관여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4

• 꼭대기(Apex): 잔뿔연골(corniculate cartilage) 접합부

• 근육돌기(Muscular process): 근육 부착부

• 성대돌기(Vocal process): 성대인대 부착부

② corniculate cartilage(잔뿔연골)

③ cuneiform cartilage(쐐기연골)

4) 구조

(1) 후두관절: Cricothyroid joint(반지방패관절), Cricoarytenoid joint(반지모뿔관절)

(2) 인대, 막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5

• 외인인대

① Thyrohyoid membrane(방패목뿔막)

② Hyoepiglottic ligament(목뿔덮개인대)

③ Cricotracheal ligament(반지기관인대)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6

• 내인인대

① Fibroelastic membrane of larynx(후두의 섬유탄력막)

Conus elasticus(탄력원뿔)

- 아래로는 반지연골활에, 위로는 앞쪽으로는 방패연골에, 뒤쪽으로는 모뿔연골의 성대돌기에 부착

- 앞과 뒤 부착점 사이의 자유 안쪽 모서리가 두꺼운 성대인대 형성

- 성대주름(vocal fold): 성대인대를 점막이 둘러싸며 생긴 주름

③ Quadrangular membrane(네모막)

자유 위모서리 → 모뿔덮개주름(aryepiglottic fold)

자유 아래모서리 → 안뜰인대(vestibular ligament) = 거짓성대(false vocal cord)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2th ed.pp.723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49

Rima glottidis(성대문틈새): 성대주름 사이 틈새

참성대(True vocal cord) =성대주름(vocal fold )

거짓성대(False vocal cord) = 안뜰주름(vestibular fold )

5) 근육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1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1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2

발성 관여

방지방패근, 가쪽반지모뿔근, 성대근, 가로모뿔근

음식 삼킬 때 후두 보호 관여

방패모뿔근, 빗모뿔근, 모뿔덮개근(aryepiglottic m.), hyoepiglottic m.

호흡 관여

뒤반지모뿔근(성대 벌림), 방패모뿔근(성대인대 이완)

근육

이는곳

닿는곳

신경분포

작용

cricothyroid

(반지방패근)

반지연골활의 앞가쪽면

빗부분 – 방패연골의 아래뿔

곧은 부분 – 방패연골의 아래모서리

미주신경의

위후두신경의 바깥가지

반지방패연골에서 방패연골을 앞쪽과 아래쪽으로 돌림

posterior cricoarytenoid

(뒤반지모뿔근)

반지연골판 뒷면 위의 타원오목

모뿔연골의 근육돌기 뒷면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모뿔연골의 벌림과 바깥돌림

lateral cricoarytenoid

(가쪽반지모뿔근)

반지연골활의 윗면

모뿔연골의 근육돌기 앞면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모뿔연골의 안쪽돌림과 성대주름의 모음

transverse arytenoid

(가로모뿔근)

모뿔연골의 뒷면 가쪽 모서리

반대쪽 모뿔연골 뒷면 가쪽 모서리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모뿔연골의 모음

oblique arytenoid

(빗모뿔근)

모뿔연골의 근육돌기 뒷면

인접한 모뿔연골의 꼭대기 뒷면, 모뿔덮개주름까지 연장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후두어귀의 조임

thyroarytenoid

(방패모뿔근)

방패각과 인접한 반지방패인대

모뿔연골의 앞가쪽면, 일부 후두덮개 가쪽모서리까지 연장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안뜰과 후두어귀의 조임

vocalis

(성대근)

모뿔연골의 성대돌기 가쪽면

성대인대와 방패연골각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가지

성대주름의 긴장 조절

6) 신경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7

(1) 위후두신경 ← 미주신경[X]

① 바깥가지(external laryngeal n.): 반지방패근

② 속가지(internal laryngeal n.): 감각

(2) 되돌이후두신경: 나머지 내인근육, 감각

갑상샘 가쪽인대 주변을 주행

7) 혈관

① 위후두동맥(superior laryngeal a.) ← 바깥목동맥의 위갑상동맥

• 위후두신경의 속가지와 함께 주행

② 아래후두동맥(inferior laryngeal a.) ← 빗장밑동맥의 가지인 갑상목동맥의 아래갑상동맥

• 되돌이후두신경과 함께 주행

8) 기능

(1) 호흡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3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3

안정 호흡

강제들숨

• 성대주름 벌어지고 성대문틈새 넓게 열림

• 후두안뜰 열림

• 주로 뒤반지모뿔근의 작용

(2) 발성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3

• 성대 주름이 모여 좁아지고, 공기가 주름 사이를 지나며 성대주름 진동, 마찰음 발생

• 후두안뜰 열림

• 성대근과 반지모뿔근 통해 성대주름 긴장도 조절

(3) 인위적 성문닫힘(발살바 호흡)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3

• 성대주름과 안뜰주름 모음

• 성대문틈새와 후두안뜰 닫힘

(4) 삼킴: 음식을 삼키는 동안 후두 닫힘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53

• 후두어귀 좁아짐

• 후두덮개가 아래로 내려가 모뿔연골 덮음

Reference

•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2th ed. pp.702-734

•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29-1058

두경부

두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