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기관의 구조와 평형 감각 조절 기전

전정기관의 구조 및 각각의 기능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1. 전정기관의 구조

1)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s)

• 세 개의 반고리관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됨

• 회전 운동을 감지하고, 반고리관 내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 모세섬모 자극

2) 전정(Vestibule)

평형반, 난형낭(Utricle)과 구형낭(Saccule)로 구성

• 직선 운동과 중력 감지

3) 모세섬모 및 젤라틴성 막

• 반고리관과 난형낭/구형낭 내 모세섬모가 자극되어 신경 신호 발생

• 젤라틴성 막(Cupula 및 Otolithic Membrane)이 운동 자극 전달

2. 전정기관의 기능

1) 선형 운동

난형낭과 구형낭에서 감지

• 수평적, 수직적 이동 감지

2) 회전 운동

반고리관에서 감지

• 회전 운동의 정보 전달

3. 평형 감각 조절 기전

1) 전정 신경

• 전정기관에서 감지된 정보는 전정신경을 통해 전정핵에 전달

• 전정핵은 이를 처리하고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근육 등 조절

2) 시각 및 고유수용기와의 협력

• 시각과 고유수용기가 전정기관의 감각 정보와 협력하여 균형 유지

• 시각은 위치 조정, 고유수용기는 근육 및 관절 위치 정보 제공

3) 자세 변화와 조정

• 신체 움직임 시 전정기관은 이를 감지하고 근육을 조정해 균형 유지

4. 전정기관과 평형 유지의 중요성

1) 어지럼증 및 균형 장애

• 전정기관 손상 시 어지럼증, 균형 장애 발생

•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 질환으로 신체 균형 감지 왜곡

2) 뇌와의 연결

• 평형 감각은 전두엽, 두정엽, 소뇌와 연결되어 균형 조정

• 뇌는 전정기관에서 수집된 정보를 해석하여 신체의 정확한 균형 유지

Guyton and Hall 14e, pp.696-709

감각

체성감각 피질 및 연합피질의 기능

신경

활동전위의 생성 및 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