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49

/

49

22번

[RES20]

0

제태기간 40주, 출생체중 3050 g, 정상 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가 출생 후 즉시 울음을 보이지 않고 축 늘어져 있었다. 즉시 보온 조치와 기도를 확보한 후 자극을 주었으나 울음이 들리지 않았다. 초기 양압환기를 30초간 시행한 결과 맥박이 98회/분으로 측정되었으나, 지속적인 양압환기에도 불구하고 맥박이 55회/분으로 떨어졌다. 다음에 필요한 가장 적절한 처치는 무엇인가?

정답률 94%

누적 풀이 횟수 300+

평균 풀이 시간25초

/

나의 풀이 시간0

Imp: 신생아 가사(neonatal asphyxia)

해설

지속적인 양압환기에도 맥박이 60회 이하로 떨어지므로 가슴압박을 시작한다.

• 신생아 소생술 알고리즘을 따라 다음 처치를 판단할 수 있다.

• 출생 직후 잘 울지 않고 근긴장도가 낮아 체온 유지, 기도 분비물 제거 등의 조치를 시행하였다.

• 여전히 심박수 100회 미만, 자발호흡이 돌아오지 않아 양압 환기의 적응증에 해당한다.

• 양압 환기 후 확인한 심박수는 60회 미만으로, 가슴 압박+100% O2 PPV를 시행해야 한다.

Tip

신생아 소생술

오답 선지

• 도파민 정맥투여: 가슴 압박+100% O2 PPV에도 HR < 60/min일 때 에피네프린을 투여한다.

•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적용: 양압환기의 한 종류다.

• 에피네프린 정맥투여: 가슴 압박+100% O2 PPV에도 HR < 60/min일 때 투여한다.

• 생리식염수 정맥투여: 신생아 소생술 알고리즘의 주요한 부분이 아니다.

관련 이론

신생아 질환 - 주산기 가사 및 소생술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264-278, 3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