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번
[RES19]
0
출생 직후 재태연령 32주, 출생체중 2100g으로 태어난 신생아가 생후 1분째 심박수가 60회/분, 호흡이 불규칙하고 힘이 없어 기도 분비물을 흡인하여 제거하였다. 이후 아기의 경피산소포화도는 92%로 측정되고 심박수는 80회/분으로 상승하였다. 이 신생아에게 추가로 필요한 처치는 무엇인가?
정답률 90%
누적 풀이 횟수 200+
평균 풀이 시간32초
/
나의 풀이 시간0초
Imp: 신생아 소생술
해설
32주, 2100g 미숙아가 출생 직후 100회 미만의 심박수를 보이고 있다. 기도 이물을 제거함에도 심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올라오지 못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양압환기를 시행해야 한다.
Tip
• 신생아 소생술의 전과정을 자세히 알아두자.
오답 선지
• 에피네프린 투여 : 가슴압박과 100% 산소 양압 환기에도 심박수가 60회/분 미만일 때 정맥 투여한다.
• 가슴 압박 : 가슴 움직임이 확인되는 효과적인 양압 환기를 적어도 30초 이상 시행했음에도 심박수가 분당 60회 미만이면 고려한다. 흉골 하부 1/3부위에서 앞뒤 지름의 1/3 정도 깊이로 흉골을 압박한다.
• 기관 삽관 : 충분한 양압환기에도 심박수가 분당 60회 미만이라면 가슴압박과 함께 기관삽관을 고려한다.
관련 이론
• 신생아 소생술

1) 소생술 필요 여부 평가
(1) 3가지 질문
① 만삭아인가?
② 울거나 숨은 잘 쉬는가?
③ 근육 긴장도는 좋은가?
(2) '하나라도' 만족 못하면 : 복사 온열기 아래에서 체온 유지, 기도 열기, 기도 분비물 제거, 닦아주기, 자극하기 시행
* 전부 ‘yes’일 경우 산모에게 데리고 가서 위 조치를 시행한다.
2) 양압 환기(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PPV)
(1) 적응증
① 무호흡 or 헐떡호흡(심정지호흡, agonal respiration)
② HR < 100/min
(2) Room air를 백-마스크 요법으로 40~60회/분
(3) PPV에도 HR 증가 없음: PPV 위치/방법 교정 → 30초 후 HR 재평가
• 마스크 설치 상태 조정, 흡기 압력 증가, 필요시 기관삽관
• 양압 호흡이 비효과적이거나 기관 삽관이 어렵다면 후두 마스크 사용을 고려
3) 가슴 압박(chest compression)
• 기관 삽관이나 후두 마스크 삽입이 시행되었어야만 하는데, 그렇지 않다면 바로 시행한다.
(1) 적응증: HR < 60/min (효과적인 PPV 30초 이상에도 불구하고)
(2) 방법: 90회/분, 가슴압박:양압환기 = 3:1, 흉골 하부 1/3 위치, 가슴 앞뒤 지름의 1/3 깊이
(3) 100% O2 PPV와 같이 시행 (이전까지는 room air)
4) Epinephrine: 가슴 압박 + 100% O2 PPV에도 HR < 60/min인 경우 투여
5) 소생술 후 치료
(1) 치료적 저체온증: 중등도~중증 HIE 동반시
(2) Dopamine, dobutamine: 불충분한 말초 관류, 저혈압, 빈맥의 경우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 273~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