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번
[RES19]
0
21개월 된 남자아이가 3일 전부터 지속적인 구토와 묽은 변을 보이며, 식욕이 감소하여 병원을 찾았다. 아이의 혈압은 102/75 mmHg, 맥박은 92회/분, 호흡수는 25회/분, 체온은 36.7℃로 측정되었다. 부모님은 아이의 평소 체중이 약 12.5kg라고 하였으나, 병원에서 측정한 체중은 11.2kg이었다. 이 아이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정답률 99%
누적 풀이 횟수 200+
평균 풀이 시간29초
/
나의 풀이 시간0초
Imp: 탈수
해설
구토와 묽은 변으로 인해 체중이 10% 이상 감소했다. 체중이 10% 이상 감소한 경우 중증 탈수로, 정맥 식염수 투여가 필요하다.
• Phase I부터 III까지 단계별로 수액요법의 전략이 다르다.
• Phase I : 0.9% NS or Ringer lactate kg당 20mL 1시간내로 빠르게 투여한다. 이 환아의 경우는 250ml를 1시간내 투여해야 한다.
관련 이론
• 수액 요법
1) 중증 탈수(영아 > 10%): 반드시 정맥 수액 요법 시행
(1) 1일 수액량 = 1일 유지량 + 이미 소실된 양 + 계속 소실되는 양
① 1일 유지량
체중당 1일 수분 유지량 | |||
체중 | < 10 kg | 11~20 kg | > 20 kg |
1일 수분 유지량 | 100mL × 체중 | 1L + 50mL × (원래체중 - 10kg) | 1.5L + 20mL × (원래체중 - 20kg) |
② 이미 소실된 양: 원래체중 - 현재체중
③ 계속 소실되는 양: 입원 이후에 발생하는 소실 (설사, 구토 등)
(2) Phase I: 첫 1시간 (initial resuscitation phase)
① 목적: 순환부전과 신기능을 빠르게 회복
② 용액: 0.9% 식염수(N/S) or Ringer lactate(RL) 용액
③ 수액량: 환아의 원래 체중의 2% (20mL/kg) 를 20~60분 동안 정맥 주사
④ 순환부전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동량의 수액을 반복 투여
(3) Phase II: 이후 23시간 (rehydration phase)
① 수액량 = 1일 유지량 + 이미 소실된 양 + 계속 소실되는 양 - Phase I 투여량
② 5% dextrose + 0.9% N/S (= D5 NS) 사용
(4) Phase III: 1~2일
① 유지요법에 쓰는 용액(D5 NS)와 동일한 용액을 주입
* 시험에서 추정되는 탈수가 10%인 경우에도 정맥 수액 요법을 시행하는 문제들이 출제되었으므로, 중증 탈수 직전인 경우에도 정맥 수액 요법을 시행한다고 알아두는 것이 좋다.
2) 중등도 탈수: 경구수액요법 or 정맥수액요법의 phase II부터 시작 (순환부전 증상이 없는 경우)
3) 경도 탈수: 경구수액요법 (구토증상이 없는 경우)
• 내원 전에 구토가 있었더라도 현재 구토증상이 없고 환아가 계속 먹으려고 하면 시행 가능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119-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