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종양
: Cardiac tumor
2019년부터 국시에 출제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출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심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대부분 metastatic cancer에 의한 것이며, 원발성 종양은 매우 드물다. 증상도 다른 심장질환과 비슷해 비특이적이므로 영상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잦다.
1. 점액종(myxoma)
1) 개요
(1) 원발성(primary) 심장 종양 중 m/c, 양성 종양
(2) 젤리같은(gelatinous) 질감: Glycosaminoglycan이 대량 함유
(3) 주로 interatrial septum에서 생성됨
2) 임상양상
(1) 비특이적인 흉부/전신 증상: 흉통, 호흡곤란, 실신, 발열, 체중감소 등
(2) 심잡음: MS, MR 등의 심잡음을 주로 나타냄 (early~mid diastole에 'tumor plop' 소리가 들리기도 함)
(3) Systemic/pulmonary embolism 가능
3) 진단: 경흉부/경식도심초음파 → CT/MRI
4) 치료: 수술적 절제
2. 기타 심장 종양
1) 양성 종양
(1) 지방종(lipoma): 혈역학적 영향시 수술
(2) 횡문근종(rhabdomyoma): 혈역학적 영향시 수술
(3) 섬유종(fibroma): 수술 (valve obstruction 위험 높음)
(4) 유두상 섬유탄력종(papillary fibroelastoma): 수술 (embolism 위험 높음)
(5) 부신경절종(paraganglioma): 수술 (갈색세포종과 사실상 같은 종양)
2) 일차성 악성 종양
(1) 혈관육종(angiosarcoma): 노인에 호발
(2)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소아에 호발
(3) 치료: 수술적 절제 (그러나 발견 당시에는 수술이 어려울 정도로 진행된 경우가 많음)
3) 전이성 악성 종양
(1) 전신 전이가 이미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이후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
(2) 치료: 일반적인 말기 암 치료 (pericardial effusion이 심하면 palliative pericardiocentesis)
Harrison 21e, pp.2025-2028
감염심내막염
감염 심내막염
다음 이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