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심내막염

: Infective endocarditis, IE

감염심내막염은 vegetation으로 인해서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국시에서는 약 1~2년마다 한 번씩 출제된다. 발열, 심잡음, peripheral sign이 있을 때 의심하여야 하며, 추가검사로는 혈액배양 및 심초음파를 시행한다는 것을 알고, 급성 심부전 등의 심한 질환이 있을 시 항생제 치료보다는 판막수술 등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1. 개요

1) 정의: 심장의 심내막(endocardium)에 발생한 감염

2) 병태생리

(1) 판막질환(MR, AS 등), 인공판막, 선천성 심질환, or 기타 심장 구조적 이상이 존재

(2) 구조적 결함 근처의 abnormal blood flow → 심내막이 상처에 취약해짐

(3) 해당 상처에 균이 침투 → vegetation 생성

Vegetation: 세균 + 염증세포 + 혈소판 + fibrin의 집합체

② Catheter infection 등으로 인해 S. aureus 감염이 발생할 경우 구조적 이상이 없어도 침투 가능

(4) 감염 상태 및 vegetation으로 인해 말초적 이상 발생

Vegetation의 embolism: 뇌졸중, 기타 말초 병변 생성

* 이를 패혈성 색전증(septic embolism)이라고 하기도 한다.

② Immune complex 형성: 기타 말초 병변 생성

3) 원인균

(1) S. aureus: m/c

(2) Streptococcus viridans, 기타 Staphylococcus/Streptococcus, Enterococcus 등

2. 임상양상 및 검사소견

발열, 심잡음, peripheral signs를 보고 감염 심내막염을 바로 의심할 수 있어야 한다.

1) 주호소: 발열

• Vegetation이 퍼지는 것은 균이 퍼지는 것과 같음 → bacteremia가 기본으로 있으며, sepsis로 진행 가능

2) 기타 증상 및 징후

(1) 심잡음: 다양한 위치에서 청진 가능 (원인이 되는 판막질환이 다양함)

(2) 심장 관련 이상

호흡곤란: 판막질환으로 인한 심부전

② 부정맥: 특히 conduction system 침범으로 인한 AV block 등

(3) 심장 외 이상

일측성 근력저하/감각저하: Cerebral emboli 시사

② 옆구리 통증: Renal/splenic emboli 시사

기타 peripheral signs: Emboli와 관련

- Petechiae: 점상 출혈

- Splinter hemorrhage: 손톱 밑의 빨간/보라색 점출혈

- Osler’s node: 손가락/발가락에 빨간/보랏빛 결절

- Janeway lesion: 손바닥/발바닥의 무통성 점

- Roth’s spot: 망막의 작고 밝은 붉은색 점

3) 혈액검사: WBC, CRP 상승 등

4) 소변검사: Hematuria(주로 microscopic) 가능

* Vegetation 또는 immune complex가 사구체에 침착하기 때문이다.

3. 진단

1) 심초음파: Vegetation의 유무, 원인 판막질환 평가

(1) 경흉부초음파(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1st line

(2) 경식도초음파(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TTE로 진단 실패 or 심장의 인공삽입물이 있을 때

* TTE/TEE를 시행했는데도 진단을 실패했거나 기타 전신 증상이 있을 경우, TTE/TEE 재시행 및 cardiac CT angiography, brain MRI, PET, SPECT 등을 고려한다.

2) 혈액배양: 감염에 대한 증거 확보

(1) 말초혈액배양 3쌍 채혈 (1~2시간에 걸쳐서)

(2) 48~72시간 후 배양 음성일 경우 재채혈

3) 진단기준: Modified Duke criteria

Major

1. 혈액배양 양성

2개의 독립된 배양에서 IE의 전형적인 병원균 검출

12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채취한 2번의 배양에서 IE의 전형적인 병원균 검출

2. 심내막 침범의 증거

심초음파상 양성 소견: Vegetation, 농양, 균 공격받은 자국 등

• 새로 생긴 판막 역류

Minor

1. 위험요인

IE 병력, 판막질환, 인공판막 등

2. 발열

> 38℃

3. 혈관성 징후

Embolism, mycotic aneurysm, 뇌경색/뇌출혈, Janeway lesion 등

4. 면역학적 징후

사구체신염, Osler node, Roth spot, rheumatoid factor

5. 미생물학적 징후

Major criteria에 맞지 않는 혈액배양 양성

IE 원인균에 의한 현성 감염의 혈청학적 증거

Definite IE: 2 major / 1 major + 3 minor / 5 minor

Possible IE: 1 major + 1~2 minor / 3~4 minor

* 국시를 위해서는 위 진단기준을 알지 않아도 되며, 혈액배양과 심초음파가 major criteria에 해당할 만큼 진단을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 정도만 알아도 된다. 위 criteria는 가독성을 위해 간소화된 것이며, 자세한 사항은 위에 첨부된 링크 참고.

4. 치료

1) 항생제: 세균 균주, 항생제 저항성, 항생제 알레르기, 인공판막 유무 등에 따라 매우 다양 (참고)

(1) 투여 시점: 배양 결과 확인 후

•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빠른 수술이 필요할 경우 배양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경험적 항생제 투여

(2) 약 4~6주간 IV 항생제 유지 (인공판막일 경우 더 길 수 있음)

2) 수술: 아래의 적응증에 해당할 경우 vegetation 제거 및 판막교체술 등의 치료 고려

(1) 심부전, 판막 장애에 의한 혈역학적 불안정성

(2) 내과적 치료에 반응 없음

① 항생제 7~10일 후에도 혈액배양 양성 지속

② 농양, 샛길(fistula) 등의 합병증

③ 적절한 항생제 사용 불가: 다제내성균, 진균 감염 등

(3) Embolism 위험 높음: Vegetation ≥ 10 mm

(4) 판막 시술/수술 6개월 이내에 발생한 IE

5. 치과 치료 시 예방

1) 개념: 치과 치료 시 구강 점막 손상 → 특정 환자군의 경우 IE 발생 위험이 높아 예방적 항생제 필요

(1) 발치

(2) 잇몸/치아뿌리를 건드리는 시술

(3) 기타 수술: 임플란트, 치주수술, 구강 내 생검 등

2) 예방적 항생제: 치과 치료 시작 30~60분 전

Amoxicillin 2g PO, ampicillin 2g IM/IV, cefazolin 1g IM/IV, ceftriaxone 1g IM/IV

3) 적응증

(1) 이전 IE 병력

(2) 인공 판막, 판막 관련 기타 인공 삽입물, 심실보조장치

(3) 선천성 심질환: 아래와 같을 경우에만 시행

①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청색증 심질환

판막성 인공삽입물 or 인공적인 systemic-pulmonary shunt를 이용해 교정한 선천성 심질환

③ 선천성 심질환 교정 후 6개월 이내 or residual defect가 남아있는 경우

* 즉, simple ASD/VSD는 예방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4) 카테터를 이용한 판막의 repair(MS의 PMBC 등), 심장이식 환자에게는 고려

감염심내막염 정리

위험요인

• IE 병력, 판막질환, 인공 판막, 선천성 심질환, 기타 심장 구조적 이상 등

임상양상

• 발열 + 심잡음

• 호흡곤란, 부정맥, 뇌졸중, 기타 arterial emboli

• Peripheral signs: Splinter hemorrhage, Osler's node, Janeway lesion 등

진단

• 심초음파: 경흉부(TTE) → 경식도(TEE)

• 혈액배양: 1~2시간에 걸쳐 3쌍

치료

• 항생제: IV로 4~6주

• 수술: 심부전, 항생제 치료에도 감염 지속, 농양/샛길 등 합병증, vegetation ≥ 10 mm 등

예방

• 치과 치료 30~60분 전 amoxicillin 등

• 적응증: IE 병력, 인공판막,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청색증 심질환 등

Harrison 21e, pp.1022-1034

ESC guideline, 2023

대동맥 질환

급성 대동맥 증후군

기타 심장 질환

심장 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