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과 침샘

구강 구조의 경우 구조적 차원보단, 미각이라는 기능적 차원의 관점에서 관여 신경 등을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침샘의 경우 침샘의 종류별 차이점을 위주로 세세하게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입술과 치아

1) 입술

(1) 구조

• vermillion zone(홍순): 입술 부분

• oral fissure(입술사이틈새): 입술 사이 틈

• philtrum(인중): 윗입술과 코 사이 파인 고랑

(2) 혈관: 얼굴동맥(facial a.)의 가지

• 윗입술: superior labial a.

• 아랫입술: inferior labial a.

(3) 감각신경: 삼차신경(CN V)

2) 치아

(1) 구성: 사분역 당 앞니(Incisor) 2, 송곳니(Canine) 1, 작은어금니(Premolar) 2, 큰어금니 (Molar) 2~3

(2) 감각신경

① 위턱 치아와 위 잇몸: Maxillary n.(CN V2)의 가지

• infraorbital n.: inferior orbital fissure → infraorbital foramen

② 아래턱 치아와 아래 잇몸: Mandibular n.(CN V3)의 가지

• 신경 주행: mandibular foramen → mandibular canal → mental foramen

• inferior alveolar n.가 mandibular canala 따라서 주행 → mental foramen에서 incisive n., mental n.로 분지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108

(3) 혈관

① 동맥: 위턱동맥 혹은 그 가지

② 정맥: 대부분 pterygoid venous plexus로 배출

• pterygoid venous plexus는 머리뼈안과 emissary vein 통해 연결: 치아의 감염이 머리 안으로 파급 가능

2. 입천장

1) 구성: 물렁입천장(soft palate) + 단단입천장(hard palate)

(1) 물렁입천장: 입천장널힘줄(palatine aponeurosis)에 근육 부착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97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97

• 입천장긴장근(tensor veli palatini)

• 입천장올림근(levator veli palatini)

• 입천장인두근(palatopharyngeus m.)

• 입천장혀근(palatoglossus m.)

• 목젖근(musculus uvulae)

(2) 딱딱입천장: 움직임 X

2) 감각신경: 위턱신경(CN V2)의 가지

① 코입천장신경(Nasopalatine n.): Incisive fossa 통과

② 큰입천장신경(Greater palatine n.): 큰입천장구멍(Greater palatine foramen) 통과; 딱딱입천장 분포

③ 작은입천장신경(Lesser palatine n.): 작은입천장구멍(Lesser palatine foramen) 통과; 물렁입천장 분포

3. 혀

1) 구조: Oral part(앞 2/3) + Pharyngeal part(뒤 1/3)

• 분계고랑(terminal sulcus) 통해 구분

2) 유두: 혀의 접촉표면적 늘리고, 혀의 기능 보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84

① Circumvallate papillae (성곽유두)

② Filiform papillae (실유두)

③ Fungiform papillae (용상유두)

④ Foliate papillae (엽상유두)

• 실유두 제외 모든 유두에 맛봉오리(taste bud) 존재

3) 근육: 입천장혀근(palatoglossus m.)만 미주신경(CN X), 이외 혀밑신경(CN XII) 지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86

(1) 외인근육: 혀의 모양과 위치 조절

① genioglossus m.(턱끝혀근)

• 혀를 앞으로 당겨 질식 방지

• 수면 중 이완될 경우 수면무호흡증

② hyoglossus m.(목뿔혀근)

③ styloglossu m.(붓혀근)

④ palatoglossus m.(입천장혀근)

(2) 내인근육: 혀의 모양 조절

① superior longitudinal m.(혀위세로근)

② inferior longitudinal m.(혀아래세로근)

③ transverse m.(혀가로근)

④ vertical m.(혀수직근)

• 중앙에 혀사이막(septum) 존재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85

4) 감각신경

입안부분 (앞 2/3)

인두면 (뒤 1/3)

Epiglottis

촉각

(General sensory)

Lingual n.

(CN V3)

Glossopharyngeal n.

(CN IX)

Vagus n.

(CN X)

미각

(Special sensory)

Chorda tympani

(CN VII)

• 혀신경(lingual n.)와 고실끈신경(chorda tympani)는 perineurium에 싸여 함께 주행

5) 혈관

(1) 동맥: dorsal/deep/sub lingual a. ← lingual a. ← ECA

(2) 정맥: deep lingual v. → IJV (설하투여 시 약재의 흡수 경로)

4. 침샘

1) Major salivary gland: 전체 침의 85~90%

① Parotid gland: 귀밑샘, 이하선

(1) 타액 성분: serous

(2) 침샘관 구멍 위치: 반대쪽 위턱 큰어금니(M2) 근처 입 안뜰

(3) 조직학적 소견: serous demilune X, intercalated duct > excretory duct > striated duct

(4) 특징

• 가장 큰 침샘

• parotid sheath로 덮임: 볼거리에서 통증 발생

• 감각신경: auriculotemporal n.(윗부분), great auricular n.(아랫부분)

• Frey’s syndrome: 귀밑샘 수술 후 부교감신경이 피부의 땀샘에 재연결되어 식사시 땀 발생하는 증상

(5) serous demilune(장액성 반달): 혼합샘포에서 장액 세포들이 점액세포의 가장자리에서 반달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

(6) parotid gland 통과 구조

Facial n. (CN VII): 얼굴 근육에 분포

• Retromandibular v.

• External carotid a.

(7) 귀밑샘 제거 합병증: Facial n. paralysis, Frey’s syndrome(gustatory sweating)

② Submandibular gland: 턱밑샘, 악하선

(1) 타액 성분: mixed (serous > mucous)

(2) 침샘관 구멍 위치: Wharton’s duct; 설소대 옆 혀 밑 공간(sublingual caruncle)

(3) 조직학적 소견: serous demilune, striated duct > excretory duct > intercalated duct

(4) 특징

• 가장 많은 침 분비

③ Sublingual gland: 혀밑샘, 설하선

(1) 타액 성분: mixed (serous < mucous)

(2) 침샘관 구멍 위치: 1) Major sublingual duct(= Bartholin’s duct): Wharton’s duct로 합류 2) Minor sublingual duct(= Rivini’s duct): Wharton’s duct 주변 부분

(3) 조직학적 소견: serous demilune, excretory duct > striated duct > intercalated duct

2) Minor salivary gland: 전체 침의 10~15%

• 구강 전반의 submucosal layer에 위치, 대부분 혼합샘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92

3) 부교감신경 분포

(1) 귀밑샘

• preganglionic parasympathetic fiber: 혀인두신경(CN IX)의 tympanic n.

• 주행: tympanic plexus → lesser petrosal n. → foramen ovale 통과

• 연접: 귀신경절(otic ganglion)

• postganglionic parasympathetic fiber: 귓바퀴관자신경(CN V3의 가지) 타고 주행, 귀밑샘 분포

(2) 턱밑샘, 혀밑샘

• preganglionic parasympathetic fiber: 얼굴신경(CN VII)의 고실끈신경(chorda tympani)

• 주행: 혀신경(lingual n.) 타고 주행

• 연접: 턱밑신경절(submandibular ganglion)

• postganglionic parasympathetic fiber: 턱밑샘, 귀밑샘 분포/ 일부는 다시 혀신경에 합류, minor salivary gland 분포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1093

Reference

•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 1076-1109

두경부

등과 척수

척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