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 구조
1. 개요
1) 척수(spinal cord)는 brainstem의 medulla oblongata에서 연속되어 vertebral canal을 따라 하향한다.
2) L2 수준에서 끝나며 척수의 말단 부분인 척수원뿔(conus medullaris)을 형성함.
3) 그 이후의 척수신경(spinal nerve)들은 말총(cauda equina)를 이룬다.
4) 두 개의 팽대부가 있음: cervical enlargement (C4–T1), lumbar enlargement (T11–L1)
5) 표면에 anterior median fissure, posterior median sulcus 두 개의 함몰부가 있으며, 말단에서 종말끈(filum terminale)을 통해 꼬리뼈(coccyx)에 부착된다.
2. 척수수막 (Spinal meninges)
1) Dura mater: 가장 바깥층, epidural space를 경유하며 epineurium과 연속됨
2) Arachnoid mater: 중간층, subarachnoid space에 CSF가 존재. lumbar cistern은 lumbar puncture에 사용됨
3) Pia mater: 가장 안쪽, dentate ligament 형성하여 dura mater에 고정
3. 신경 형성
: 운동을 담당하는 anterior root와 감각을 담당하는 posterior root가 합쳐져 spinal n.를 형성한다.
1) posterior ramus: 척추 주변 근육과 피부 지배
2) anterior ramus: 나머지 몸통 및 사지의 감각·운동 지배
4. Cauda equina syndrome
1) 원인: disc herniation, tumor, trauma 등
2) 증상: 요실금, anal tone 감소, 하지 감각·운동 저하
3) 치료: 응급 MRI 및 36시간 내 수술적 감압 필요
5. 척수 천자
1) Subarachnoid space에 뇌척수액이 존재하지만, 바로 안쪽에 척수가 존재하므로 천자를 진행하다 신경이 손상이 될 위험이 있음.
2) 척수 하단에 척수 없이 subarachnoid space만 연장된 공간이 존재. 이는 발생학적으로 척추 공간이 척수보다 더 성장하여 생기는 것으로, 여기서 천자를 진행하면 척수를 훼손할 위험이 줄어든다.
3) 보통 LV3-4 또는 LV4-5 위치에서 진행한다. 이보다 높게 찌를 경우, 척수원뿔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등과 척수
척추
등과 척수
척수 신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