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 신경계
Ascending tracts
: 말초 감각 정보를 cerebral cortex로 전달하는 신경 경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Conscious pathways: 감각 인지가 가능한 경로
1) Posterior White Column-Medial Lemniscal (PWC-ML) Pathway
2) Anterolateral system
Unconscious pathways: 무의식적 고유 감각 전달 경로
3) Spinocerebellar tracts
1. Posterior White Column-Medial Lemniscal (PWC-ML) Pathway
• 기능: fine touch, vibration, proprioception 전달
1) 1차 뉴런
• 상지(T6 이상): fasciculus cuneatus → nucleus cuneatus (medulla)
• 하지(T6 이하): fasciculus gracilis → nucleus gracilis (medulla)
2) 2차 뉴런
• medulla oblongata에서 교차(decussation) → medial lemniscus를 통해 thalamus로
3) 3차 뉴런
• ventral posterolateral nucleus of thalamus → primary sensory cortex
2. Anterolateral System
• 기능: pain, temperature, crude touch, pressure 전달
두 가지 주요 경로로 구성된다.
1) Anterior spinothalamic tract: crude touch, pressure
2) Lateral spinothalamic tract: pain, temperature
주행경로는 다음과 같다.
1) 1차 뉴런: substantia gelatinosa에 시냅스 (dorsal horn)
2) 2차 뉴런: 들어온 level의 척수에서 교차 → anterior horn에서 spinothalamic tract 형성 → thalamus
3) 3차 뉴런: VPL of thalamus → primary sensory cortex
3. Spinocerebellar Tracts
• 기능: 근육의 위치 감각을 cerebellum으로 전달하여 운동 조절 보조
1) Posterior spinocerebellar tract: 하지 정보 (ipsilateral)
2) Cuneocerebellar tract: 상지 정보 (ipsilateral)
3) Anterior spinocerebellar tract: 하지 정보, 2회 교차 후 ipsilateral 도달
4) Rostral spinocerebellar tract: 상지 정보
4. 임상 포인트
1) PWC-ML lesion
: spinal cord 내 손상 시 ipsilateral 감각 소실
예: Vitamin B12 deficiency, tabes dorsalis
2) Spinothalamic tract lesion
: contralateral pain & temperature 소실
3) Brown-Séquard syndrome (척수 반측 손상)
(1) PWC-ML: ipsilateral proprioception/fine touch 소실
(2) Anterolateral system: contralateral pain/temp 소실
(3) Descending tract 동반 손상 시 ipsilateral weakness
4) Spinocerebellar lesion
: 운동 협응 저하 (ipsilateral), 단독 손상은 드물다.
-----------------------------------------------------------------------------------------------------------------------------
Descending tracts
: 뇌에서 신체로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
Upper motor neuron의 axon이 ventral horn 혹은 motor cranial nerve nuclei에서 lower motor neuron과 시냅스를 이룸.
구체적인 tract들은 다음과 같다.
1. Pyramidal tracts
• 기원: 대뇌 피질
• 기능: 의식적 운동 조절
1) Corticospinal tract: 체간 및 사지 근육 조절
• 시작: Primary motor cortex
• 경로: Internal capsule → Crus cerebri → Medulla (여기서 lateral과 anterior로 나뉨)
(1) Lateral corticospinal tract: 연수에서 교차(decussation), 모든 척수 수준에서 운동 신경세포와 시냅스
(2) Anterior corticospinal tract: 척수에서 교차, 주로 경부 및 상흉부 수준에서 시냅스
2) Corticobulbar tract: 안면 및 구강 근육 조절
• 시작: Motor cortex
• 경로: Internal capsule → 뇌간에서 뇌신경운동핵과 시냅스
대부분 양쪽으로 투사하지만, CN VII(하안면)와 CN XII(혀) 는 대부분 반대편 피질에서만 지배 받음
2. Extrapyramidal tracts
• 기원: 뇌간
• 기능: 무의식적 운동 조절 (자세, 균형, 근긴장도)
• 종류: Vestibulospinal, Reticulospinal, Rubrospinal, Tectospinal
1) Vestibulospinal tract
• 시작: Vestibular nuclei
• 경로: Ipsilateral로 하행
• 기능: 자세 유지에 기여, 항중력 근육 조절
2) Reticulospinal tract
• 시작: Pons와 Medulla
• 기능
(1) Medial: 근긴장도 증가 및 자발운동 촉진
(2) Lateral: 근긴장도 억제
3) Rubrospinal tract
• 시작: Red nucleus
• 경로: 즉시 교차 후 척수 하행
• 기능: 상지의 정교한 움직임에 관여 (주로 보조적 역할)
4) Tectospinal tract
• 시작: Superior colliculus (시각 자극 통합)
• 경로: 교차 후 경부 척수까지 하행
• 기능: 시각 자극에 대한 머리 방향 전환 조절
3. 임상 포인트
1) Upper Motor Neuron Lesion
• 증상: 근긴장 증가(Hypertonia), 반사 증가(Hyperreflexia), Babinski sign 양성, 근력 저하(무력증) 등
• 병변 위치가 대뇌 피질 또는 내포(internal capsule)일 경우, 반대측에 증상 발생
2) Lower Motor Neuron Lesion
• 증상: 근위축 (atrophy), 근연축 (fasciculation), 근긴장 감소 (hypotonia), 반사 감소/소실 (hyporeflexia/areflexia)
3) Corticobulbar tract 병변
• 대부분 경미한 증상 (양측성 지배)
예외:
(1) CN VII (하안면): 반대측 하안면 마비
(2) CN XII: 혀가 반대측으로 편향
4) Extrapyramidal tract 병변
• 예: 파킨슨병, 헌팅턴병, 뇌염 등
• 증상: 무도병(chorea), 진전(tremor), 이상운동증(dyskinesia) 등 비의도적 운동장애
등과 척수
척수 구조
등과 척수
등 근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