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49

/

49

32번

[RES17]

0

임신 34주에 출생한 체중 2.2kg의 생후 4일 남아가 저체온과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출산 당시 산모는 출산 3일 전부터 양수감염 의심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다음은 아기의 혈액검사 결과이다. 적절한 치료 방법은?

Hb 14.2 g/dL, WBC 42,000/㎣, Platelet 85,000/㎣

CRP 9 mg/L(참고치 ⟨10), Ca 9.8 mg/dL, P 4.8 mg/dL,

Mg 2.3 mg/dL

정답률 93%

누적 풀이 횟수 200+

평균 풀이 시간38초

/

나의 풀이 시간0

Imp: neonatal sepsis

해설

신생아 패혈증의 위험인자(양수감염 의심으로 항생제 치료)를 가진 저체온과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4세 남아에서 WBC와 CRP가 증가되어 있어 신생아패혈증이 의심된다. 치료는 ampicillin + aminoglycoside(Gentamicin) 또는 ampicillin + 3세대 cephalosporin이다.

오답 선지

• Vancomycin : S. aureus가 의심되는 상황에서 투여할 수 있다.

• Acyclovir : 신생아 패혈증은 바이러스 원인이 아닌 세균성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관련 이론

• 신생아(소아)에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패혈증의 정의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아래 항목 중 2개 이상의 증상으로 인한 전신 염증 반응을 보일 때

- 체온 불안정

< 35C 또는 >38.5C

- 호흡 기능 이상

빠른호흡(연령 평균 대비 >2SD 증가)
저산소증(실내 환경에서 PaO2 < 70mmHg)

- 심장 기능 이상

빠른맥(연령 평균 대비 > 2SD 증가)
모세혈관 보충 지연 (delayed capillary refill)> 3초
저혈압(연령 평균 대비 > 2SD 감소)

- 관류 장애

감뇨증(소변량 < 0.5mL/kg/시간)
젖산 산증(혈장 내 젖산 증가, 동맥혈 pH <7.25)
정신 상태의 이상

패혈증

감염으로 인한 전신 염증 반응을 보일 때

• 신생아(소아)에서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패혈증의 정의

1) 개요

(1) 위험인자

① 임신기간 < 37주

양막 파수 후 > 18시간 경과

③ 기타: 기저질환, 면역저하, 기계환기/카테터 사용 등

(2) 원인균

Group B Streptococcus(GBS), E. coli: 가장 흔함

② L. monocytogenes, 기타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등 매우 다양

2) 임상양상: 보통 비특이적

(1) 전신: 발열, 저혈압, 빈맥/서맥, 식욕부진, 부종, 등

(2) 호흡기: 호흡곤란, 빈호흡/무호흡, 청색증 등

(3) 위장관: 구토, 설사, 황달, 복부팽만, 간비대

(4) CNS: 부풀어오른 앞숫구멍, 경련, 근긴장도 저하 등

(5) 기타: 핍뇨, 점상출혈, 자색반 등

3) 치료: 경험적 항생제

(1) 생후 < 7일 감염 의심: Ampicillin + aminoglycoside (or 3세대 cephalosporin)

(2) S. aureus 의심 or 항생제 내성균이 많은 환경: Ampicillin 대신 vancomycin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 35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