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번
[RES2508]
0
재태기간 29주에 출생한 미숙아가 생후 3개월까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으며, 신생아기에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을 시행받았다. 현재 환아의 흉부 X선 사진은 아래와 같다. 이 아이의 진단은 무엇인가?
정답률 83%
누적 풀이 횟수 100+
평균 풀이 시간25초
/
나의 풀이 시간0초
해설
재태연령 29주의 극소 미숙아이며 생후 3개월까지 장기간 인공호흡기·산소 치료가 필요했다는 병력은 산소독성/압력손상에 의한 만성 폐질환을 강하게 시사한다. 제시된 흉부 X선에서도 과팽창된 폐야에 불균질한 침윤, 낭상·거품모양의 변화가 관찰되는 기관지폐형성이상(BPD, Bronchopulmonary dysplasia)의 전형적 소견이다. BPD는 미숙아에서 장기간의 기계환기와 고농도 산소 노출 후 나타나며, 영상에서 스폰지 모양의 불균질 음영, 과팽창, 낭성 변화가 특징적이다.
오답 선지
• 태변 흡인 증후군: 대개 만삭 또는 과숙아에서 태변 착색 양수의 병력이 있고, 출생 직후 급성 호흡부전으로 발현한다. 흉부 X선에서 반점상 폐침윤과 과팽창을 보이지만, 이 환아처럼 미숙아에서 장기간 기계환기 후 보이는 낭성·스폰지 모양의 만성 변화와는 다르다.
• 신생아일과성빠른호흡: 만삭 또는 후기 미숙아에서 출생 직후 나타나며 24–72시간 내 호전된다. 흉부 X선에서 간질부종, fissure fluid, 경도의 과팽창을 보이며, 수개월의 인공호흡기 의존이나 낭성 변화와 맞지 않는다.
•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출생 직후 surfactant 결핍으로 발생하며, 저폐용적과 미세 과립상 음영, 공기기관지음영이 특징이다. 시간이 경과한 후 보이는 과팽창과 불균질한 낭성 변화는 설명되지 않는다.
• 신생아지속성폐고혈압: 주로 만삭아에서 출생 직후 중증 저산소혈증을 보이며, 흉부 X선은 정상이거나 기저 폐질환 소견에 좌우된다. 만성적인 낭성·스폰지 모양 변화나 장기간 기계환기 병력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관련 이론
• 신생아 질환 - 호흡기
Reference
• 홍창의 소아과학 12e, pp.306-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