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고혈압

고혈압

: Hypertension

고혈압은 수많은 내과적 질환의 대표적 위험요인이기 때문에 잘 조절하는 것이 예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 고혈압 진단과 관련된 여러 수치들을 진료실 혈압과 가정혈압을 구분해서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치료 측면에서는 각 고혈압 약제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적응증과 금기에 대해 깊게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본태성 고혈압이 아닌 이차성 고혈압을 시사하는 소견을 찾아내어 의심하고 치료하는 과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혈압적 응급 상황에서 어떤 약제를 투여하는지에 대해서도 알고 가야 한다.

1. 정의 및 진단

1) 고혈압의 정의: 아래 표의 ‘고혈압 1기(≥ 140/90)’가 기본적인 기준

분류

수축기 (mmHg)

이완기 (mmHg)

정상

< 120

and

< 80

주의혈압

120~129

and

< 80

고혈압전단계

130~139

or

80~89

고혈압

고혈압 1기

140~159

or

90~99

고혈압 2기

≥ 160

or

≥ 100

수축기단독고혈압

≥ 140

and

< 90

* 위 표는 대한고혈압학회 2022 가이드라인 기준이다. AHA 2017 가이드라인을 필두로 고혈압 1기를 >130/80, 고혈압 2기를 >140/90으로 정의하자는 주장이 전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국시 기준으로는 위 표를 따르는 것이 안전하다.

2) 측정 방법에 따른 고혈압 진단기준

진료실혈압

≥ 140/90 mmHg

가정혈압

≥ 135/85 mmHg

24시간 활동혈압

24시간평균혈압

≥ 130/80 mmHg

주간평균혈압

≥ 135/85 mmHg

야간평균혈압

≥ 120/70 mmHg

* 가정혈압, 24시간 활동혈압은 백의고혈압 등의 이유로 인해 진료실혈압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다. 야간, 특히 취침 시에는 주간에 활동할 때보다 혈압이 낮아지게 되며, 그러하지 않을 경우 나쁜 예후를 시사한다.

3) 백의고혈압 및 가면고혈압

(1) 백의고혈압(white coat HTN)

• 진료실혈압은 HTN이면서

• 가정혈압/24시간활동혈압은 정상

(2) 가면고혈압(masked HTN)

• 진료실혈압은 정상이면서

• 가정혈압/24시간활동혈압은 HTN

* 진료실혈압이 정상이지만 ECG상 LVH, CXR상 cardiomegaly, HTN에 의한 장기손상 등이 의심될 때 가면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다.

(3) 백의고혈압이 가면고혈압이나 고혈압보다 예후가 좋으나, 주기적 추적관찰이 필요함

4) 고혈압의 진단

24시간 활동혈압(24hr ambulatory BP monitoring): 24시간 동안 일상생활 도중 약 15~60분마다 혈압 측정

① 진료실혈압 비정상일 때 평가

② 가면고혈압 의심될 때 평가

백의고혈압(진료실혈압 비정상, 가정혈압 정상) 의심될 때 평가

2. 병태생리

ACEi/ARB, BB, CCB, diuretics 등 항고혈압제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1) 원리: BP = CO × TPR = SV × HR × TPR 공식에서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BP가 높아짐

(1) SV 증가: 아래와 같은 상황

① 신체 전체의 혈액량 증가

② 심장의 수축력 증가

(2) HR 증가

(3) TPR 증가: 주로 혈관수축에 의해 발생

* BP = blood pressure(혈압), CO = cardiac output(심박출량), TPR = total peripheral resistance(총말초혈관저항), SV = stroke volume(일회박출량), HR = heart rate(심박수)

2) 혈액량 증가: 인체의 혈액량은 Na+의 양에 의해 결정됨

(1) Na+ 섭취 증가: 짠 음식 등

(2) Na+ 배설 감소: 신장질환, RAAS 과활성화

* Diuretics, ACEi/ARB(RAAS 차단제) 사용의 근거가 된다.

3) 교감신경 과활성화: 심장수축력, HR, TPR 모두를 증가시킬 수 있음

(1) Norepinephrine, epinephrine 등의 catecholamine이 수용체에 작용함

(2) α1 수용체(혈관수축 = TPR↑), β1 수용체(심근수축력, HR)가 주로 관여함

* CCB, beta-blocker 사용의 근거가 된다.

4) 혈관 직경 & 탄력성 감소: TPR 증가

(1) 고령, atherosclerosis 등

(2) 고혈압에 의해 vascular remodeling이 발생하고, 이것이 다시 고혈압을 악화시키는데 기여

*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RAAS)

(1) 개요: RAAS 활성화 → 혈장량 증가 / RAAS 비활성화 → 혈장량 감소

(2) 생리(physiology): ‘부신 질환 개요’ 참고

① 혈장량 감소 → 신장 혈류 감소 → GFR 감소 → 여과되는 Na+ 양 감소

② Distal tubule의 macula densa가 줄어든 Na+ 양을 감지renin 분비 촉진

* Macula densa는 ‘juxtaglomerular apparatus’라고 하는 구조물의 일부

③ Renin 증가 → angiotensin I 증가 → angiotensin II 증가 → aldosterone 증가

④ Aldosterone → 신장에서 Na+는 체내로 재흡수 / K+는 소변으로 배설 증가

⑤ Na+ 재흡수 → water retention 혈장량 증가

(3) 따라서 저혈량이 아닌데도 RAAS가 과활성화되면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음

* 또한, angiotensin은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혈관수축의 효과도 있다. 즉, RAAS 과활성화는 혈장량 증가에 혈관수축까지 포함해 혈압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3. 원인

1)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 primary/essential hypertension)

•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음 / 80%~90%정도의 환자가 이에 해당

2) 이차성 고혈압(secondary hypertension)

• 고혈압의 원인을 밝힐 수 있는 경우이며, 신장/부신이 원인인 경우가 많음

신장성(renal)

AKI, CKD

GFR이 낮아 수분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못함 → 혈장량 증가

Renal a. 협착

신장 혈류 감소 → 신장이 ‘혈액 부족’이라고 감지해 RAAS 활성화 → 혈장량 증가

부신성(adrenal)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Aldosterone 과분비 → Na+ & water 재흡수 증가 → 혈장량 증가

쿠싱 증후군

과다한 cortisol이 aldosterone receptor에도 작용 → Na+ & water retention 증가 → 혈장량 증가

갈색세포종

Epinephrine 등 과다분비 → 과도한 혈관수축, 빈맥 등

기타

대동맥 축착(CoA)

협착부위보다 proximal: 고혈압

협착부위보다 distal: 저혈압

* 진단을 위해 사지혈압 측정 필요

기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갑상샘기능 이상, 전자간증, 약물(estrogen, glucocorticoid, cyclosporine, TCA, NSAIDs 등)

(1) 의심해야 할 상황

① 특징적인 소견: 두근거림(갈색세포종), hypoK(일차성 알도스테론증), BUN/Cr 상승(CKD)

② 30세 이하, 55세 이상에 갑자기 발생한 고혈압

③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음

(2) 평가: 일부 완치가 가능한 경우가 있어 정확한 감별이 필요

① CKD 의심: U/A, Cr, renal US

② Renovascular 의심: Doppler US, CT/MR/invasive angiography

③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의심: Aldosterone/renin ratio(ARR)

4. 임상양상

고혈압을 치료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혈압 상승 자체로 인한 증상들보다는 고혈압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1) 혈압 상승에 의한 증상: 두통, 현기증 등

2) 고혈압 합병증

(1) 심뇌혈관: LV 비대, 심부전, MI, 뇌졸중, 말초동맥질환(PAD)

(2) 신장: Low eGFR 등 신장기능 감소

(3) 눈: Hypertensive retinopathy

5. 치료

약제의 명칭을 숙지하고 금기에는 무엇이 있는지 명확히 알아두어야 한다. 약제 선택이 고혈압 문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 치료 목표혈압

(1) 일반 성인: 140/90 mmHg

(2)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심혈관질환 환자, CKD(알부민뇨 동반), 뇌경색(lacunar infarction): 130/80 mmHg

2) 비약물적 치료: Lifestyle modification

(1) 적응증: 주의혈압, 고혈압 전단계, 고혈압 (고혈압 전단계 이하는 거의 대부분 비약물적 치료만 시행)

(2) 식이요법: 과일/야채/통곡물/견과류/어류 섭취 증가, 나트륨 제한, 금연, 절주

(3) 체중 관리: 목표 BMI < 25 kg/m2

(4) 운동: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주 5회 이상

3) 약물치료 A: ACEi, ARB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 pril: Captopril, lisinopril, ramipril 등

작용 기전

① Angiotensin II 생성감소: Aldosterone 생성 감소(→ 혈장량 감소), 혈관수축 감소

② 교감신경 작용 감소

③ Bradykinin 증가: 혈관 확장 유발 (ACE가 원래 bradykinin을 억제함)

기타 효과

심부전, 특히 HFrEF 환자의 혈압과 관계없이 생존율 개선

신장 efferent arteriole 이완 → 사구체 압력 및 stress 감소 → 신손상 억제에 효과적

DM with albuminuria, CKD에 효과

이상반응

① 일시적 Cr 상승: 사구체 압력이 감소하며 일시적으로 혈류가 줄어들어 Cr 상승이 나타날 수 있음

30% 이상 상승하지 않는 이상 약제 유지하며 경과관찰

HyperK: Aldosterone에 의한 K+ 배설이 줄어들어 혈액 내 K+ 축적

마른기침, 혈관부종: Bradykinin 축적으로 인한 부작용

금기

① HyperK, AKI: 특히 ARB와 병용투여하지 않음

Bilateral renal artery stenosis: 사구체 압력 감소가 심한 AKI를 유발할 수 있음

산모/임신 예정: RAAS 작용 약물의 공통적 금기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RB,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 sartan: Losartan, valsartan, candesartan 등

작용 기전

① Angiotensin II 작용 감소: Aldosterone 생성 감소(→ 혈장량 감소)

② 교감신경 작용 감소

* ACEi에서 있었던 bradykinin 관련 변화는 없다.

기타 효과

• ACEi와 유사함

이상반응

① ACEi와 유사함

② 단, bradykinin 변화가 없어 마른기침, 혈관부종 부작용이 없음

따라서 ACEi 사용 중 해당 부작용 발생시 ARB로 교체

금기증

• ACEi와 유사함

4) 약물치료 B: Beta-blocker

β blocker (BB, 베타차단제)

~ olol

종류

① Nonselective(β1 & β2): Propranolol

② Cardioselective(β1): Atenolol, metoprolol

③ α 수용체 작용도 있음: Labetalol, carvedilol 등

④ NO를 통한 추가적 혈관확장 기능: Nebivolol 등

작용 기전

① 교감신경 신호에 대한 길항 작용: 심근수축력 감소, HR 감소

② α 수용체에도 작용하는 경우 혈관이완 작용도 있음

기타 효과

심부전, 특히 HFrEF 환자의 혈압과 관계없이 생존율 개선

안정협심증, post-MI 환자에게 사용

③ 빈맥, 빈맥성 부정맥에 사용

이상반응

저혈압, 서맥, 피로, 성기능 감소 등

금기증

서맥 서맥성 부정맥(sinus node dysfunction, 2o or 3o AV block 등)

천식, COPD: 특히 nonselective BB를 사용할 경우 bronchoconstriction 유발 가능

* Bronchodilator 중 SABA, LABA 등 'β agonist'가 있는 것을 떠올리면 기억하기 쉽다.

DM

• 저혈당의 warning sign인 두근거림 등을 masking할 수 있음

• 혈당 이상, 지질대사 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

④ 말초혈관질환: Cardiac output이 감소하면 distal perfusion이 악화될 수 있음

5) 약물치료 C: CCB

Calcium channel blocker (CCB, 칼슘통로차단제)

종류

① Dihydropyridine(DHP): Amlodipine, nifedipine등

② Non-DHP: Diltiazem, verapamil

작용 기전

① Arteriole 확장: DHP, non-DHP 모두에게 해당

② HR 감소: Non-DHP에게만 해당

기타 효과

① 협심증, 특히 변이협심증의 증상 완화에도 효과적

② 빈맥, 빈맥성 부정맥에 사용 (non-DHP 계열만)

이상반응

① DHP

부종, 두통, 안면홍조: 혈관확장에 의한 모세혈관 정수압 증가에 의해 발생

• Reflex tachycardia: 혈관확장 → 혈압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교감신경이 빈맥 유발

② Non-DHP: 변비, AV block, 심근수축력 저하 등

금기증

① 서맥 및 서맥성 부정맥: Non-DHP 계열만

② 심부전 환자에게 주의

6) 약물치료 D: Diuretics

Thiazide diuretics (티아지드 계열 이뇨제)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작용 기전

① 신장 nephron의 distal tubule의 NCC에 작용: Na+ 재흡수 감소 → 이뇨 효과

② 장기적으로 혈관확장 효과도 있음

이상반응

① Hyperuricemia, 통풍(gout)

② 전해질 불균형

HypoNa: Hypovolemic hypoNa 유발 가능

HypoK: Na+가 distal tubule에서 재흡수되지 않아 collecting duct로 많이 전달되고, Na+/K+ exchange가 더 활발해져 hypoK 발생

Metabolic alkalosis: 위와 같은 이유로 Na+/H+ exchange가 더 활발해져 alkalosis 발생

③ Insulin resistance 증가: DM의 발병 가능성 및 혈당 관리 어려움 증가

금기

통풍, hypoK

7) 기타 약물치료: 위 4개 약물에 비해 효과가 강력히 입증되지 못함

(1) Non-thiazide 이뇨제

Aldosterone antagonist: Spironolactone, eplerenone 등

저항성 고혈압(resistant HTN)에 사용: Thiazide 포함 3제 이상의 요법에도 고혈압이 지속될 경우

부작용: HyperK, 성기능장애(progesterone, androgen 수용체에도 작용, eplerenone에는 없음)

② Loop diuretic: Furosemide, torsemide 등

• 주로 혈압조절 목적보다는 심부전 등의 volume overload 해소 목적으로 사용됨

③ ENaC inhibitor: Amiloride, triamterene

• 혈압강하 효과가 다소 낮음, thiazide의 hypoK 효과를 다소 억제할 수 있음

(2) α blocker: Prazosin, doxazosin, terazosin 등

• α1 수용체에 작용해 혈관확장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나, 심뇌혈관질환 효과 입증이 부족함

• 주로 BPH 등의 질환에 사용됨

(3) 교감신경 길항제(sympatholytics): Clonidine 등

• α2 수용체에 작용: 교감신경 항진을 억제

* α2 수용체는 기타 α1, β1, β2와는 달리 일종의 negative feedback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 부작용: 기립성 저혈압, 성기능장애 등

(4) 직접혈관확장제(direct vasodilator): Hydralazine, minoxidil 등

(5) Renin 길항제: Aliskiren

고혈압 치료 약물 정리

약물

기타 적응증

이상반응

주의사항 or 금기

ACEi

Captopril, lisinopril, ramipril 등

• HF

• DM with albuminuria

• CKD

• 일시적 Cr 상승

• HyperK

• 마른기침, 혈관부종

• HyperK, AKI, ARB와 병용투여

• Bilateral renal artery stenosis

• 산모, 임신 예정

ARB

Losartan, valsartan, candesartan 등

• HF

• DM with albuminuria

• CKD

• 일시적 Cr 상승

• HyperK

• HyperK, AKI, ACEi와 병용투여

• Bilateral renal artery stenosis

• 산모, 임신 예정

BB

Propranolol, atenolol, metoprolol, labetalol, carvedilol, nebivolol 등

• HF

• 안정협심증, post-MI

• 빈맥, 빈맥성 부정맥

• 저혈압, 서맥

• 피로, 성기능 감소

• 서맥, 서맥성 부정맥

• 천식, COPD

• DM, 말초혈관질환

CCB

Amlodipine, nifedipine, diltiazem, verapamil 등

• 협심증

• 빈맥, 빈맥성 부정맥 (non-DHP)

• DHP: 부종, 두통, 안면홍조, reflex tachycardia

• Non-DHP: 변비, AV Block, 심근수축력 저하

• 서맥, 서맥성 부정맥 (non-DHP)

• HF에서 주의

D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 Hyperuricemia, 통풍

• HypoNa, hypoK, metabolic alkalosis

• Insulin resistance 증가

• 통풍, hypoK

* 놀랍게도, 흔히 쓰이는 항고혈압제의 하루 최대 용량을 알고 있어야 온전히 풀 수 있는 문제가 국시에 출제된 적이 있다. 내과 전공의들도 이를 일일이 외우고 다니는 경우는 드물지만, 필요시 해당 내용 참고.

6. 고혈압의 응급

허혈성 뇌졸중, 뇌출혈, 전자간증 등과 연관되어 출제될 수 있으며, 정의와 응급치료 약물에 대해 숙지해야 한다.

1) 정의

(1) Hypertensive urgency: BP > 180/120 mmHg & 급성 TOD 없음

(2) Hypertensive emergency: BP > 180/120 mmHg & 급성 TOD 있음

* TOD(target-organ damage): Retinopathy, encephalopathy, stroke, HF 등

2) 임상양상: 높은 혈압으로 인해 주요 장기(눈, 폐, 심, 신)에 기능이상 발생

(1) Retinopathy: Retinal hemorrhage, exudates, papilledema(아래 이미지)

(2) 심장성 응급질환: 급성 심부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3) 혈관성 응급질환: 대동맥 박리

(4) 신장성 응급질환: 혈뇨, glomerular ischemia

(5) 신경성 응급질환: Hypertensive encephalopathy

① Cerebral edema의 증상(두통, 혼란, 오심/구토) 동반

② 혈압이 낮아지면 증상 호전

3) 치료

(1) Hypertensive urgency: 기존 항고혈압제 재개 or 증량

(2) Hypertensive emergency

고혈압성 응급 질환

선호 약물

Acute coronary syndrome

BB: Esmolol, labetalol

CCB: Nicardipine

VD: Nitroglycerin

Acute pulmonary edema

CCB: Clevidipine

VD: Nitroglycerin, nitroprusside

Acute aortic dissection

BB: Esmolol, labetalol

Acute kidney injury

CCB: Nicardipine, clevidipine

Adrenergic crisis

AB: Phentolamine

CCB: Nicardipine, clevidipine

Hypertensive encephalopathy

Nitroprusside, nicardipine, labetalol

Preeclampsia / eclampsia

BB: Labetalol

CCB: Nicardipine

VD: Hydralazine

* AB: Alpha-blocker / BB: Beta-blocker / CCB: Ca-channel blocker / VD: Vasodilator
** Labetalol은 alpha-blocking 및 beta-blocking property가 모두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BB로 분류한다.

순환기 총론

심화 1. 심초음파

부정맥

부정맥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