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부정맥

방실차단

: Atrioventricular block, AV block, AVB

서맥성 부정맥의 원인 중 하나로 SA node 기능 이상, 전도 장애가 있다. 전도 장애는 SA node부터 심실 myocardium까지 모든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단원에서는 AV node, His-Purkinje system의 전도 장애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심전도 소견을 통한 진단과 치료 문제가 종종 출제된다. 서맥 질환에서의 치료는 거의 대부분 심박동기라는 것을 기억하면 문제 푸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1. 개요

1) 정의: 심방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 (AV node, His-Purkinje system의 이상)

2) 원인

(1) Extrinsic

① 약물: Beta blocker, non-DHP CCB, digoxin 등

② 질병: 갑상샘기능저하증, hypoaldosteronism 등

③ 기타 전신 상태: Vagal reflex(carotid hypersensitivity 등), hyperK, hyperMg, 심장 수술 등

(2) Intrinsic

① 고령으로 인한 AV node fibrosis: m/c

허혈성 심장질환: 특히 inferior ischemia (RCA)

③ 심근병증, 심근염, 류마티스질환, 림프종 등

3) 임상양상: 실신, 어지러움, 호흡곤란, 피로

2. 분류 및 검사소견

1) 1도 방실차단(1st degree AV block, 1o AVB)

• 방실전도 지연으로 PR 간격이 길어짐 (PR interval > 0.20초)

2) 2도 방실차단(2nd degree AV block, 2o AVB)

(1) Mobitz type I (Wenckebach block)

① PR 간격이 점점 길어지다 전도 차단 (전도 차단 시에는 P파만 보임)

② 예후 좋음: Block의 위치가 AV node 내부이며, AV node의 escape beat은 상대적으로 reliable함

③ 증상이 없다면 대부분 치료 불필요

(2) Mobitz type II

① PR 간격 변화 없이 전도 차단 (전도 차단 시에는 P파만 보임)

② 예후 나쁨: Block의 위치가 AV node 밑이며, 여기의 escape beat은 상대적으로 unreliable함

• AV block이 있는데 escape beat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asystole이 발생할 수 있음

증상에 관계없이 pacemaker 치료

* Escape beat: SA node, AV node, His-Purkinje system에서 모두 박동 신호를 만들 수 있으나, SA node의 박동 신호 생성 빈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정상시에는 SA node가 pacemaker 역할을 한다. SA node에서 신호가 형성되지 않거나 차단되어 전달되지 않을 경우, SA node 이하의 자극전도계에서 형성된 박동이 대신 심실 수축을 일으키며 이를 이탈박동(escape beat)이라고 한다. AV node, proximal His에서 escape beat이 발생할 경우 그래도 myocardium 동시수축이 어느 정도 가능해 narrow QRS가 나타나지만, 더 distal 쪽에서 발생한다면 wide QRS가 나타난다.

3) 3도 방실차단(3rd degree AV block, 3o AVB, 완전 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1) P파와 QRS군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생성됨 (atrioventricular dissociation)

(2) SA node는 정상적으로 뛰고 있으나 ventricle로의 전도가 완전히 차단되고, 신호를 받지 못한 AV node 이하 어딘가에서 escape beat이 발생해 심실 수축이 일어남

(3) 증상에 관계없이 pacemaker 치료

* Sinus rhythm이 잘 나오다가 갑자기 3도 등의 방실차단이 발생하는 것을 돌발 방실차단(paroxysmal AVB)이라고도 한다. Vagal tone이 일시적으로 매우 높아질 경우, 정상인이라도 갑자기 돌발 방실차단이 드물게 발생할 수는 있다.

4) 2o AVB의 특수한 경우

(1) 2:1 방실차단

① P파가 2회 지나갈 동안 QRS군은 1회 지나감

② 단순 ECG만으로는 Mobitz type I과 II를 구분할 수 없음 (EP study 등 추가적 검사 필요)

(2) 고위 방실차단(high-grade/high-degree/advanced AV block)

① P파가 n회 지나갈 동안 QRS 군은 1회 지나감

② 2o Mobitz type II, 3o AVB과 거의 동일하게 접근함

* 위 정의와는 다르게, 문헌에 따라 2o Mobitz type II 및 3o AVB를 통틀어 high-grade AVB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3. 치료

1) 가역적 원인 제거: 약물, 급성심근경색 등 → 제거가 불가능하거나 제거해도 지속시 심박동기 고려

2) 영구 심박동기(permanent pacemaker): 아래와 같은 적응증에 따라 삽입

(1) 3o AVB, 2o AVB Mobitz type II, high grade AVB

*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삽입한다.

(2) 유증상 2o AVB Mobitz type I, 1o AVB

* 무증상일 때는 경과관찰한다.

(3) 기타: 국시 출제 가능성 거의 없음

① 유증상 심방세동 + 서맥

② 2o AVB + 심장전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neuromuscular disease

③ 1o AVB + 심장전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neuromuscular disease + PR > 240 ms + (QRS > 120 ms 또는 fascicular block)

④ 1o AVB + (lamin A/C cardiomyopathy + PR > 240 ms + LBBB

3) 기타 급성기 치료: 근본적인 치료는 되지 못하며, 시간을 벌기 위한 수단

(1) 임시 심박동기(temporary pacemaker)

① 영구 심박동기 시술 전 환자의 안정화가 필요할 때

② 가역적 원인을 교정해야 하나, 교정하는 동안 급성기의 혈역학적 불안정성 동반될 때

(2) 약물치료: Atropine(anticholinergic), isoproterenol(β agonist), theophylline

* AVB에서의 약물치료는 block의 위치가 AV node보다 밑, 즉 His 이하일 경우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 심박동기의 원리, 종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심화. 심박동기' 참고

방실차단 요약

임상양상

실신, 어지러움, 호흡곤란

ECG

1도: Prolonged PR

2도 Mobitz type I: PR 길어지다가 전도 차단

2도 Mobitz type II: PR 변화 없다가 전도 차단

3도: 완전히 분리된 P와 QRS

치료

무증상/유증상 2도 type II & 3도: Pacemaker

유증상 1도 & 2도 type I: Pacemaker

Harrison 21e, pp.1880-1887

AHA guideline, 2018

부정맥

동기능부전증후군

부정맥

각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