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차단
: Bundle branch block
전도 장애 중 His-Purkinje system의 아래부분인 bundle branch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질환이다. 독립적인 문제는 거의 출제되지 않지만, 다른 질환들과 연관되어 심전도 소견이 주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LBBB, RBBB의 심전도 소견을 익혀두어야 한다. 문제에서는 교과서적인 파형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파형의 특징들을 잘 알아두자.
1. 분류 및 원인
1) 우각차단(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
(1) 구조적 이상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 가능
(2) 동반 가능 질환: 심방중격결손(ASD), 판막질환, 허혈성 심질환 등
2) 좌각차단(left bundle branch block, LBBB)
(1) 구조적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주로 아래 4종류)
(2) 동반 가능 질환: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성 심질환, aortic valve 질환, 심근병증 등
3) 완전 vs. 불완전 BBB
(1) 완전각차단(complete BBB): QRS duration ≥ 120 ms
(2) 불완전각차단(incomplete BBB): QRS duration 100~119 ms
* Bundle branch를 타고 전달되어야하는 신호의 일부가 myocardium을 통해 느리게 전달되어 wide QRS가 나타난다.
4) 기타
(1) 좌전섬유속차단(left anterior fascicular block, LAFB): LBB의 한 branch인 ant. fascicle이 차단됨
(2) 좌후섬유속차단(left posterior fascicular block, LPFB): LBB의 한 branch인 post. fascicle이 차단됨
* LAFB와 LPFB는 incomplete BBB에 해당한다.
(3) 이섬유속차단(bifascicular block): RBBB + (LAFB or LPFB)가 있는 상태
(4) 삼섬유속차단(trifascicular block): RBBB + LAFB + LPFB가 있는 상태
* 사실상 3o AV block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trifascicular block을 넓게 정의하는 사람들은 bifascicular block에 1o AV block이 동반된 경우도 포함시키기도 한다.
2. 심전도
1) RBBB
(1) 원리
① 심실중격이 정상적으로 탈분극
② LBB는 정상이므로 LV가 정상적으로 탈분극
③ LV myocardium에 도달한 전기 신호가 RV myocardium으로 퍼져나가 RV가 느리게 탈분극
(2) Lead V1: ① 가까워졌다가, ② 멀어졌다가, ③ 느리게 가까워지는 형태 → 주로 rsR', rSR' 패턴
(3) Lead V6: ① 멀어졌다가, ② 가까워졌다가, ③ 느리게 멀어지는 형태 → 주로 qRS 패턴 + wide/slurred S wave
(4) 기타: QRS > 120 ms, R이 S보다 짧거나 S > 40 ms, 등
2) LBBB
(1) 원리
① LBB가 비정상이므로 Rt. → Lt.로 심실중격이 탈분극
* 심실중격의 탈분극은 LBB의 일부인 Lt. septal bundle이 관장하기 때문이다.
② RBB는 정상이므로 RV가 정상적으로 탈분극
③ RV myocardium에 도달한 전기 신호가 LV myocardium으로 퍼져나가 LV가 느리게 탈분극
(2) Lead V6: ① 가까워졌다가, ② 멀어졌다가, ③ 느리게 가까워지는 형태 → 주로 notched/slurred R 패턴
(3) Lead V1: ① 멀어졌다가, ② 가까워졌다가, ③ 느리게 멀어지는 형태 → 주로 notched/slurred QS 패턴
(4) 기타: QRS > 120 ms, absent Q wave(I, V5, V6), R peak time > 60 ms(V5, V6)
3) BBB의 ST-T 변화
(1) 일반적으로 QRS에서 마지막으로 형성된 파의 방향과 반대로 T wave가 형성됨
• BBB로 인해 심장의 각 부분이 탈분극하는 순서가 바뀌었으므로, 재분극도 그 순서대로 발생함
(2) 따라서 ischemia 등이 없어도 ST elevation/depression, T wave inversion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이로 인해 BBB가 원래 있던 환자들은 새로운 myocardial ischemia가 발생했을 때 ECG를 해석하기 어려워진다. 단, 만약 예측되는 반대 방향으로 ST-T 변화가 있을 경우, ischemia를 의심해볼 수 있다.
4) Fascicular block
(1) LAFB: Lt. axis deviation이 주로 나타남
(2) LPFB: Rt. axis deviation이 주로 나타남
* LPFB가 bifascicular block 등과 동반되지 않고 단독으로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 요약: <RBBB, LBBB 심전도>
(1) RBBB: V1에서 M자, V6에서 wide/slurred S wave
(2) LBBB: V6에서 M자, V1에서는 반대로 W자
3. 처치
1) RBBB
(1) 경과관찰: 대부분의 경우
(2) 심초음파: 다른 이유로 구조적 이상이 의심될 경우
2) LBBB: 심초음파 (∵ 구조적 이상 동반 가능)
• 구조적 이상이 의심되나 심초음파가 정상 소견일 경우 기타 영상검사(CT, MRI 등) 고려
3) 어지러움/실신 등 유증상: Holter monitoring, EP study 등 고려 (∵ 진단되지 않은 AV block의 가능성 고려)
4) 영구 심박동기 삽입의 적응증: 국시 출제 가능성 거의 없음
(1) AV block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때
① 실신 병력 + EP study상 His-ventricle time > 70 ms일 경우
② Alternating BBB: RBBB와 LBBB(또는 기타 fascicular block)가 번갈아 나타나는 경우
③ 기타: Kearns-Sayre syndrome 동반, Anderson-Fabry disease 동반
(2) LBBB로 인해 수축기 기능에 심한 문제가 있을 때
• QRS ≥ 150 ms + LVEF ≤ 50%
* BBB의 경우 신호를 느리게 전달받는 심실은 단숨에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느리게 수축하게 되므로, 수축기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이것이 심할 경우 심부전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러할 경우 심박동기의 mode 중 biventricular pacing을 통해 RV와 LV가 동시에 수축할 수 있도록 교정하기도 한다. 이것이 심한 심부전 환자들에게 시행하는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CRT)의 근거가 된다. Biventricular pacing에 대한 내용은 '심화: 심박동기' 참고.
Harrison 21e, pp.1827-1828
부정맥
방실차단
부정맥
조기 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