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박동
: Premature complex
갑자기 발생한 두근거림, 저절로 좋아지는 증상을 보이며 PSVT와 감별이 필요하다. 심장이 쿵 내려앉는 듯하다는 임상 증상이 있을 경우 PSVT보다 조기박동에 가깝다. 임상증상으로만 PSVT와 조기박동을 구분하는 문제는 출제되지 않고, 심전도가 주어진다. 심전도 상에서 비정상적으로 일찍 리듬이 형성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주 출제되는 파트는 아니지만 주로 진단과 치료를 묻는 문제가 나온다. 또한 PVC의 경우 VT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 심방조기수축(premature atrial complex, PAC)
Atrial premature beat(APB)라고도 부른다.
1) 정의: 심방에서 SA node 외의 위치에서 기원한 조기 박동
2) 임상양상
(1) 대부분 무증상
(2) 두근거림, 불규칙한 심박동 가능
(3) PSVT, AF 등 부정맥 유발 가능
3) 심전도 소견

(1) Early abnormal P wave: SA node 기원이 아니기 때문에 정상 P파와는 다른 모습
(2) 비대상성 휴지기(non-compensatory pause): 설명 참고
(3) PAC 발생 시점에 따라 다양한 QRS 양상을 보임
• Non-conducted PAC, PAC with aberrancy, PAC with normal conduction
* Aberrant conduction: 불응기에 조기박동이 발생하여 일부 전도로를 통해서만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 RBB는 불응기, LBB는 활성기일 때 조기박동이 발생하여 RBBB와 같은 상황이 나타난다.
(4) PR 간격 지연 가능: AV node가 아직 불응기일 때 조기박동이 형성될 경우
2. 심실조기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mplex, PVC)
Ventricular premature beat(VPB)라고도 부른다.
1) 정의: SA node가 아닌 심실에서 기원한 조기 박동
2) 유발요인: 교감신경계 항진, myocardial ischemia, hypoxia, 전해질 불균형(hypoK m/c) 등
3) 임상양상
(1) 대부분 무증상
(2) 두근거림, 실신, 어지러움, 맥박이 건너뛰는 느낌, 쿵 내려앉는 느낌
(3) PVC가 3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날 경우 nonsustained VT로 진단함
4) 심전도 소견

(1) Absent P wave
(2) Early, wide, 이상한 모양의 QRS
• 정상 전도로(His-Purkinje system)가 아닌 곳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wide QRS
• 한쪽에서만 신호가 형성되어 심실이 수축하므로 이상한 모양
(3) 대상성 휴지기(compensatory pause): 설명 참고
5) 치료
(1) 무증상 & 기타 심장질환 없음: 경과관찰
(2) 유증상 & 기타 심장질환 없음
① 경과관찰, 안심시키기, caffeine 및 stress 피하기 등
② β blocker, non-DHP CCB
③ 실패시 기타 항부정맥제(class IC, amiodarone 등), catheter ablation 고려
(3) 심장질환 동반: PVC를 없앤다고 해서 생존율이 개선되지는 않으나, amiodarone으로 증상 조절 가능
Harrison 21e, pp.1915-1919
부정맥
각차단
부정맥
심방세동, 심방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