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심방조동
: Atrial fibrillation, AF, 심방잔떨림 / Atrial flutter, AFL, 심방된떨림
심방세동은 빈맥성 부정맥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따라서 국시에도 자주 출제되며 세부적인 내용을 다룬다. 심전도를 통해 심방세동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치료의 3요소를 모두 결정하여 정답을 골라야 하기 때문에 각 치료의 적응증을 정확히 숙지하지 않으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항응고제 치료와 관련된 CHA2DS2-VASc score는 전부 외우고 있어야 한다.
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 개요
1) 정의: 무질서하고 빠르며 불규칙적인 심방 활동
2) 병태생리
(1) 심방 내 micro-reentry 회로가 여럿 생겨 심방이 매우 빠르고 얕게 수축
(2) AV node에 다다른 대다수의 전기신호가 필터링되지만, 몇 개는 불규칙하게 심실로 전도되어 불규칙한 맥박 형성
(3) 심실의 정상적인 filling과 수축이 방해를 받음 → 어지러움, 피로, 심부전 등
(4) 심방에 혈액이 저류되어 pulmonary pressure↑ → 호흡곤란 등
(5) 심방에 혈액이 저류되어 혈전생성 → thromboembolism 가능 (뇌, GI, 신장 등)
(6) 심방세동 정지 후 pause 발생 → 어지럼증, 실신 등
3) 위험인자
(1) 40세 이상 남자에서 일생동안 AF 발생 위험은 25%에 달함
(2) 고혈압, 당뇨, 비만
(3) 심장질환: 승모판협착(MS), 심부전, MI, 류마티스성 심질환, 퇴행성 승모판 질환, 좌심방확장, pericardial disease, cardiomyopathy
(4) Hyperthyroidism, 급성 알코올 중독, 심장 수술, pulmonary embolism, 전해질 불균형, 약물
2. 임상양상
1) 주호소: 대부분 무증상
(1) 두근거림
(2) 호흡곤란: 심방 혈액 저류 → 폐정맥압 상승 → 심한 경우 폐부종 가능 (폐수포음)
2) 기타 증상 및 징후
(1) 어지러움, 피로, 실신: 심실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뇌혈류 공급 장애
(2) 불규칙한 맥박
3. 심전도 소견

1) No organized P wave: 정상 P파가 보이지 않음
2) Irregularly irregular RR interval: 불규칙적인 P 파로 인한 불규칙한 리듬 발생
* 지나치게 빠른 심방 박동이 AV node에서 필터링되어 무작위 타이밍으로 심실 박동이 일어남
* AFL에서는 규칙적인 리듬이 형성되어 regularly irregular한 리듬을 보임(AFL에서 irregularly irregular 리듬이 보이는 경우도 있음)
3) f wave(fibrillatory wave): V1에서 baseline이 자글자글한 f wave 관찰
4) Narrow QRS tachycardia

* V1에서 P파의 부재와 f wave가 잘보임
* Baseline의 흔들림을 유심히 살펴보고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P파가 잘보이는 V1과 lead Ⅱ에서 이를 확인해보면 좋다.
4. 치료
* AF의 치료는 크게 anticoagulation, rate control, rhythm control이 있다.
1) Anticoagulation
(1) 혈전 생성 예방: LA 혈류 정체로 인해 혈전이 잘 생겨 stroke 등의 위험이 높음
(2) 위험요인 평가: CHA2DS2-VASc score (링크 참고)
• 2점 이상(여성은 3점)에서 anticoagulation 시행
• 1점 이상(여성은 2점)에서 anticoagulation 고려
• 0점은 시행 X
* 합산 점수별로 1년 stroke risk가 다르다. 국시에서는 계산시 1점인 문제는 거의 출제되지 않는다.
위험요인  | 점수  | 
C: Congestive heart failure  | 1  | 
H: Hypertension  | 1  | 
A2: Age ≥ 75  | 2  | 
D: DM  | 1  | 
S2: Stroke, TIA, thromboembolism Hx  | 2  | 
V: Vascular disease (coronary 등)  | 1  | 
A: Age 65~74  | 1  | 
Sex: Female  | 1  | 
(3) DOAC / NOAC(direct/novel acting oral anticoagulant): 1st line
① Warfarin에 비해 용량 조절이 쉬우며, bleeding risk도 낮음
② Dabigatran: Thrombin inhibitor
③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Factor Xa inhibitor
(4) Warfarin
① Vit. K antagonist. PT INR 2~3을 목표로 시행
② 적응증
• Mitral stenosis: NOAC의 효과가 입증되지 않음
• 인공 판막
• 심한 신부전
(5) Anticoagulant에 대한 해독제: Life-threatening bleeding 발생시 투여 고려
① Dabigatran: Idarucizumab
② -xaban: Andexanet alfa, 4-factor prothrombin complex concentrate
③ Warfarin: Vitamin K, 4-factor prothrombin complex concentrate, FFP
(6) LAA occlusion 등 시술/수술: 경구 항응고제 복용 불가시 고려
2) Rate control
(1) AV node 억제: 심방에서 AV node를 거쳐 심실에 도달하는 박동 수를 줄이기 위함
(2) 치료의 선택
약물 계열  | 예시  | 금기증  | 
1차 치료  | ||
β-blocker  | • Metoprolol • Bisoprolol • Atenolol, carvedilol 등  | • 심한 천식/COPD (bronchoconstriction 유발)  | 
Non-DHP Ca2+ channel blocker  | • Diltiazem • Verapamil  | • HFrEF (LVEF < 40%)  | 
2차 치료: HR > 100~110, 악화되는 증상  | ||
• Digoxin • Amiodarone: HFrEF에 특히 사용됨  | ||
3차 치료: HR > 100~110, 악화되는 증상  | ||
• 심박동기(pacemaker) 삽입 & AV node ablation  | ||
3) Rhythm control
(1) 현재 AF에 의한 증상이 있을때 AF rhythm을 sinus rhythm으로 바꾸기 위한 치료
(2) 직류율동전환(DC cardioversion, biphasic 200J): 다음과 같은 적응증
① V/S unstable
② 항부정맥제가 금기이거나, 항부정맥제 투여에도 AF이 지속
③ 항부정맥제보다 전기적 율동전환을 원함
* 즉, V/S가 stable해도 cardioversion을 고려할 수 있다. 단, thromboembolism risk가 동반되기 때문에 AF의 onset이 48시간 이상일 경우 anticoagulant를 최소 3주 투여한 후 시행하거나 TEE 등을 통해 LA thrombus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항부정맥제: V/S stable할 때만 가능
① Class Ia/Ic Na+ ch. blockers: Procainamide, flecainide, propafenone
② Class III: Ibutilide, dofetilide, amiodarone(HF가 있을 때)
(4)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RFCA)
① AF의 trigger point인 pulmonary vein 벽을 전기로 살짝 지지면 reentry 회로가 끊김
② 일반적인 유증상 AF에서도 환자가 원할 경우 1st line Tx로 고려 가능
* 항부정맥제를 투여할지 RFCA를 시행할지 결정하는 것은 환자의 증상 정도, 연령, AF의 유병기간, 선호도 등에 의해 종합적으로 결정된다.
(5) Surgical ablation(maze operation)
* AF 치료만을 위해서 시행하기보다는 다른 이유(valve replacement 등)로 심장수술을 어차피 해야할 때 겸해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F 치료 정리  | |
1. Anticoagulation  | CHA2DS2-VASc score 2점 이상: Warfarin, NOAC(dabigatran, -xaban)  | 
2. Rate control  | β-blocker, non-DHP CCB, digoxin  | 
3. Rhythm  | 항부정맥제(class I, class III), DC cardioversion, RFCA  | 
5. 심방조동(atrial flutter, AFL)
* 심전도 소견으로 AF와 감별하며 치료는 AF와 유사하게 시행한다.
1) 정의: Tricuspid annulus 주변을 주로 도는 전기 순환으로 AF보다 규칙적인 신호가 발생하는 빈맥 (macro-reentrant atrial tachyarrhythmia)
* Tricuspid annulus 주변이 아닌 곳의 reentry circuit이 원인이면 atypical AFL이라고 하며, reentry circuit이 여러 곳이면 다소성심방빈맥(multifocal atrial tachycardia)이라고 부른다. 치료는 AFL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심화: 기타 상심실성빈맥' 참고
2) 심전도 소견

(1) Sawtooth appearance F wave: 톱니바퀴 모양
(2) AV block으로 2:1, 3:1, 4:1 conduction 가능
* 규칙적인 F파가 보이고(톱니바퀴모양) 2:1~4:1 전도를 보일 경우 AFL
3) 치료: AF와 유사
(1) Anticoagulation: CHA2DS2-VASc score 2점 이상에서 warfarin, NOAC)
(2) Rate control: β-blocker, non-DHP CCB
(3) Rhythm control: ibutilide 등의 class III가 효과적
* PSVT와 감별 위해 adenosine을 투여하기도 한다. Adenosine 투여 후 sawtooth appearance가 관찰되면 AFL, 그렇지 않으면 PSVT를 시사한다.
Harrison 21e, pp.1903-1910
부정맥
조기 박동
부정맥
발작성상심실성빈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