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상심실성빈맥
: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
상심실성빈맥은 정의상 심실 위(심방, AV node 등)에서 기원하는 모든 빈맥을 의미하며, PSVT는 이 중 갑자기 발생하는 것들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갑자기 발생하는 심방세동도 넓게 보면 PSVT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PSVT는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그 중에서도 AV node를 경유하는 부정맥들(AVNRT, AVRT)을 지칭한다. 국시에서도 AVNRT/AVRT 위주로 출제되므로 본 단원에서도 이들만을 다루고 있으며, 그 외에는 '심화: 기타 상심실성빈맥' 단원에서 다루고 있다. 매우 자주 출제되므로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 심전도 특징과 치료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1. 개요
1) 정의: 갑작스럽게 시작하고 갑작스럽게 끝나는 상심실성 빈맥
2) 분류 및 병태생리
(1)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AV nodal reentry tachycardia, AVNRT): PSVT의 m/c 원인
① AV node 근처에 짧게 형성된 reentry 회로가 형성됨
② AV node 근처에서 돌고 있던 신호가 His-Purkinje를 통해 내려감 → narrow QRS 발생
③ AV node 근처에서 돌고 있던 신호가 심방으로 올라감 → retrograde P wave 발생
* AV node에서 심방 쪽으로 전도되므로, II 등의 lateral lead에서 보았을 때는 보통 (-) 방향이 된다. QRS에 가려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드물게 QRS 직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Reentry 회로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국시에서의 중요도는 매우 낮다.
(2) 방실 회귀성 빈맥(atrioventricular reentry tachycardia, AVRT): PSVT의 2nd m/c 원인
① 심방과 심실은 AV node만으로 연결되어야 하나, 둘을 연결하는 다른 비정상적 accessory pathway(AP)가 존재
• AV node ~ His-Purkinje의 정상 전도로가 slow pathway, AP의 비정상 전도로가 fast pathway 역할
• 위 두 전도로를 경유하는 reentry 회로가 형성됨
② AV node ~ His-Purkinje의 정상 전도로를 통해 심실로 전기 신호가 내려옴 → narrow QRS 발생*
③ AP의 비정상 전도로를 통해 심방으로 전기 신호가 올라감 → retrograde P wave 발생
* PSVT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bundle branch block이 없이 wide QRS morphology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AVRT가 유일하다. AVRT는 AV node를 경유하지 않고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accessory pathway(AP)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이 AP의 존재를 WPW syndrome이라고도 한다. AP가 있는 상태에서 조기심방박동(premature atrial complex, PAC) 등에 의해 re-entry가 발생할 수 있다. His-Purkinje system이 먼저 활성화되고 AP가 활성화되면 orthodromic AVRT이고, re-entry 방향이 정반대라면 antidromic AVRT라 부른다. Antidromic AVRT의 경우 심실을 수축시킬 때 His-Purkinje system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wide QRS를 나타낸다. Re-entry를 일으키는 PAC가 cardiac cycle 안에서 어느 타이밍에 발생하는지에 따라 한 환자에게서도 orthodromic이 될 수도 있고, antidromic이 될 수도 있다. 즉, QRS morphology가 달라질 수 있는 PSVT도 AVRT가 유일하다.
2. 임상양상
1) 주호소: 심계항진(두근거림)
• 갑자기 발생 → 수 분 ~ 수 시간 지속 → 저절로 사라짐
* 갑자기 발생하는 부정맥이 제시될 경우 PSVT 또는 AF/AFL 또는 조기박동을 생각해볼 수 있다. AF와 조기박동은 ECG로 쉽게 감별되지만, AFL의 경우 확실하지 않으면 adenosine 투여를 통해 감별한다.
2) 기타 증상 및 징후
(1) 호흡곤란, 폐부종: 심방과 심실의 동시 수축으로 압력↑ → 폐 압력↑
(2) 혈압저하, 어지러움, 실신: 지속적인 수축으로 ventricular filling↓ → cardiac output↓
3. 심전도 예시
1)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2) Retrograde P wave: QRS에 가려지거나 QRS 앞 혹은 뒤에 나타날 수 있음
* 즉, 경우에 따라서는 retrograde P wave가 QRS complex랑 겹쳐서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즉 P wave가 보이지 않는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도 PSVT이다.
4. 치료
1) 급성기: 갑자기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급성 치료가 중요
(1) Vagal maneuver: 1st line
① 미주신경, 즉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심박수를 느리게 하는 요법
② Valsalva maneuver: 흉강 내 압력을 조절하여 baroreceptor를 조절해 부교감신경 활성
③ Carotid sinus massage: Carotid atherosclerosis가 없으며 stroke 과거력이 없을 때만 가능
(2) Adenosine: Vagal maneuver 실패시 시행 (바로 1st line으로 시행할 때도 많음)
① AV node 억제: Reentry 회로를 끊고, SA node의 신호가 전달되어 정상 리듬으로 돌아옴
② Rapid onset, short duration
* Narrow QRS tachycardia를 보이는 환자에서 PSVT 감별을 위해 adenosine을 주입하여 정상 리듬으로 돌아오면 PSVT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AFL 및 기타 부정맥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물론 PSVT가 adenosine-resistant인 경우일 수도 있다.
(3) Non-DHP Ca2+ channel blocker: Verapamil, diltiazem
① AV node 억제
② Adenosine에 효과가 없을 경우 사용해볼 수 있음
(4) β blocker: Esmolol, metoprolol
① AV node 억제
② Adenosine에 효과가 없을 경우 사용해볼 수 있음
(5) DC cardioversion
① 혈역학적으로 불안정
② 약물치료로 호전이 없을 경우

2) 만성기
(1) Catheter ablation(RFCA 등): 회귀회로 차단
(2) Catheter ablation 불가시: β blocker, non-DHP CCB
* AVRT의 경우 AP를 차단하기 위해 class IC 항부정맥제(flecainide, propafenone)를 투여하기도 한다.
PSVT 정리 | ||
종류 | • AVNRT(1st), AVRT(2nd), 기타 | |
임상양상 | • 두근거림: 갑자기 발생 → 갑자기 종결 • 호흡곤란, 어지러움, 실신 | |
ECG | •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 Absent/retrograde P wave | |
치료 | 불안정 | • DC cardioversion |
안정 | 1st: Vagal maneuver → adenosine 2nd: 실패시 BB, non-DHP CCB 3rd: 실패시 DC cardioversion/procainamide/ibutilide | |
재발 예방 | • Catheter ablation → BB, non-DHP CCB | |
Harrison 21e, pp.1893-1903
부정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부정맥
조기흥분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