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부정맥

조기흥분증후군

: Pre-excitation syndrome,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WPW syndrome

조기흥분증후군은 특징적인 심전도 소견(delta wave)을 통해 감별할 수 있는 질환이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파트이고, PSVT, AF가 동반된 심전도가 주로 출제된다. AF가 동반될 경우 치료방법이 달라지므로 이에 주의해야 한다.

1. 정의

Accessory pathway에 의해 심실의 조기 흥분이 일어나는 것

* WPW syndrome: 심실의 조기 흥분이 있는 평상시의 상태 (반드시 reentry가 있지는 않음)

* AVRT: 이 accessory pathway로 역행성 전도가 일어나 reentry가 형성된 상태

2. 병태생리

1) 평상시의 WPW syndrome (위 그림의 1, 2, 3 참고)

(1) 심방과 심실 사이를 관통하는 accessory pathway가 존재

• AV node의 delay 기능이 없으므로 SA node의 신호가 더 빨리 전달됨 → short PR interval

(2) 심실 일부의 조기흥분 (심실근을 통해 느리게 신호가 전달됨) → delta wave 형성

(3) AV node를 통해서 전달된 신호가 나머지 심실에 전달 → wide QRS complex

2) WPW syndrome with PSVT

(1) Accessory pathway가 fast pathway, AV node를 경유한 정상적 회로가 slow pathway 역할

(2) 다른 속도의 두 가지 pathway가 있으므로 reentry 회로를 형성 → AVRT 발생

* PSVT 문제에서 WPW syndrome이 동반되었는지 아닌지는 delta wave의 유무로 구분한다. PSVT 심전도가 주어지고 adenosine을 투여하였더니 정상 심전도에서 delta wave가 보인다면 WPW syndrome 환자에서 PSVT가 발생했다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면 된다.

(3) 분류

① Orthodromic: 대부분의 경우 AV node, His, Purkinje system으로 심실수축 신호가 전달되므로 narrow QRS

② Antidromic: 5% 방향에서 accessory pathway와 myocardium을 통해 심실수축 신호가 전달되므로 wide QRS

3) WPW syndrome with AF

(1) AF로 발생한 신호가 AV node에서 걸러지는 대신 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심실로 전달되기 때문에 VF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함

(2) AF에 의해 신호가 전달되므로 불규칙한 RR간격을 보임

(3) 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어 심근을 통해 전도되므로 wide QRS를 보임

3. 임상양상

1) 주호소: 두근거림, 어지러움, 실신

2) 가슴통증, 심장급사(VF로 인한 급사 발생 가능)

4. 심전도 소견

1) 평상시의 WPW syndrome

(1) Short PR: < 0.12s

(2) Delta wave (화살표)

(3) Wide QRS: > 0.12s

(4) ST-T 변화 동반 가능

2) WPW syndrome with PSVT

(1)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retrograde P wave: PSVT의 AVRT와 동일

* 단, antidromic 양상일 경우 regular wide QRS tachycardia가 나타날 수도 있다.

(2) 대부분 delta wave 관찰되지 않음: 대부분 orthodromic reentry 기전이기 때문

(3) Adenosine 투여시 delta wave: Adenosine으로 AV node를 막아 reentry 회로가 깨지고, 위의 ‘평상시의 WPW syndrome’ 형태로 ECG가 복귀함

3) WPW syndrome with AF

(1) 불규칙한 RR 간격: Irregularly irregular

(2) Wide QRS with delta wave: 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신호가 심실로 전달됨

5. 치료

1) 증상 없을 경우: 경과관찰

2) 증상 있을 경우

(1) 혈역학적으로 불안정: DC cardioversion

(2) 항부정맥제: Slow / fast pathway 중 하나를 차단

① Slow pathway 차단: AV node 차단

Beta blocker

CCB

② Fast pathway 차단: Flecainide(class ⅠC)

3) 부정맥 동반

(1) WPW with PSVT: 일반적인 PSVT 치료와 유사

• Valsalva maneuver, adenosine, nDHP-CCB, BB

(2) WPW with AF: 일반적인 AF와 치료가 다름

① 혈역학적으로 불안정: DC cardioversion

Procainamide(class ⅠA), ibutilide(class Ⅲ)

• 심근세포에 작용해 전도속도를 늦추고 재분극을 늘려 accessory pathway를 억제

• Class ⅠC도 사용 가능, 그러나 불응기를 단축시키는 class ⅠB는 불가능 (각 항부정맥제 기전에 대해서는 ‘부정맥 개요’ 참고)

AV node blocking agent 사용 X (beta blocker, CCB, digoxin, adenosine, amiodarone)

AV node를 억제하면 심방에서 발생한 신호가 accessory pathway만을 통해 전도되므로 오히려 위험해짐

AV node blocking agent가 accessory pathway를 통한 전도 속도를 촉진할 수 있음

4) 고주파도자절제술(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1) 근본적인 치료 방법. 만성적일 때 사용

(2) Accessory pathway를 차단, reentry circuit을 끊어줌

WPW 치료 정리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할 경우

• DC cardioversion

WPW + 무증상

• 경과관찰

WPW + 증상

• BB, CCB, flecainide

WPW + PSVT

• Adenosine, BB, CCB, valsalva (일반 PSVT와 동일)

WPW + AF

• Procainamide, ibutilide

• 금기: Adenosine, BB, CCB (일반 AF와 다름)

근본적인 치료

(급성기 치료 후)

• RFCA

Harrison 21e, pp.1893-1903

ESC Guideline, 2019

부정맥

발작성상심실성빈맥

부정맥

심실빈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