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빈맥
: Ventricular tachycardia, VT
심실빈맥은 심실세동 등의 심정지 리듬으로 이행될 수 있으니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동반된 심장질환마다 세세한 치료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학생 수준에서 이를 모두 알고 있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국시에서는 주로 전형적인 심실빈맥의 ECG가 제시된 후 진단명이나 원론적인 치료법을 묻는 문제들이 나온다. 심실세동, 심실조동, 상심실성빈맥 등의 다양한 부정맥들과 헷갈리지 않도록 각 부정맥의 임상 소견과 심전도 특징을 잘 숙지해야 한다. 심실 기원의 부정맥은 wide QRS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심실빈맥의 분류와 심전도를 이해하고, 분류에 따른 치료 방법(cardioversion, defibrillation, 예방을 위한 ICD insertion)에 대해 알아야 한다.
1. 개요
1) 정의
(1)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나타나는 ventricle에서 기원한 빈맥
(2) 심실조기박동(PVC)이 3개 이상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
2) 병태생리: 심실 자체에서 시작된 enhanced automaticity, triggered activity, reentry 등 모든 부정맥의 기전이 가능함
3) 지속기간에 따른 분류
(1) 비지속성(nonsustained) VT: < 30초 내에 스스로 종결
(2) 지속성(sustained) VT: > 30초 지속 (or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 30초 이내에 종결시켜야 할 경우)
• 심근 허혈, pump failure 동반 가능성이 커지므로 신속한 치료 필요
4) QRS morphology에 따른 분류
(1) 단형(monomorphic) VT: QRS의 모양이 일정
① 대부분의 VT에 해당
② 하나의 origin에서 기원한 신호가 반복적으로 전도됨
③ 원인
• 구조적 심질환(m/c):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심도자술/심장수술 병력 등
• 구조적 심질환 없음: Idiopathic VT라고 함 (예후가 더 좋으며, 무증상일 시 치료할 필요도 없음)
(2) 다형(polymorphic) VT: QRS의 모양이 변함
① Monomorphic VT보다 더 나쁜 예후를 시사
② 여러 개의 automatic origin이나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reentry 회로에 의해 발생
③ 원인
• 구조적 심질환
• 선천성 channelopathy, 전해질 불균형, 약물 등
2. 임상양상
1) 주호소: 의식저하, 어지러움, 실신 → 심정지
• 비정상적 심실 수축 + ventricular filling 감소 → 혈역학적 불안정
• 저혈압 or 혈압이 아예 측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2) 기타 증상 및 징후: 두근거림, 흉통, 호흡곤란
• 평소 심장기능이 좋은 경우 위와 같은 상대적으로 경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음
3. 심전도 예시

* 위 심전도는 monomorphic VT이다.
1) Wide QRS tachycardia: QRS duration > 120 ms
2) Regular RR interval
• Wide QRS + irregular interval일 경우 반드시 WPW + AF를 의심
3) AV dissociation: P파와 QRS군이 연관성 없이 각각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됨
* 단, P파가 wide QRS에 가려져 관찰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4) Capture beat, fusion beat
(1) Capture beat: 우연히 심방에서 만들어진 신호가 전달되어 정상적인 리듬 형성
(2) Fusion beat: 심방에서 만들어진 신호와 심실에서 만들어진 신호가 합쳐진 형태
5) VT가 아닌 wide QRS tachycardia
(1) 종류: PSVT + BBB/심박동기, accessory pathway를 통한 부정맥 등
* 이를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with aberrancy라고도 한다.
(2) 감별 방법: 아래에 해당할 경우 VT의 가능성이 높으나, 확실하지는 않음
① Atrial rate < ventricular rate(AV dissociation): 심실의 자체적인 전기신호 생산을 시사함
② aVR의 (+) 방향 QRS, V1~V6 모두 (-) 방향 QRS
③ Capture/fusion beat의 존재 등
* 따라서 wide QRS tachycardia는 VT가 아니라고 증명되기 전까지는 VT라고 가정하고 접근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치료
VT가 nonsustained인지 sustained인지, monomorphic한지 polymorphic한지,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먼저 판단하고 나서 적절한 치료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문제의 뉘앙스가 당장 VT를 종료시키기 위한 급성기 치료를 묻는 것인지, 추후 VT의 재발을 막기 위한 만성기 치료를 묻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잘 판단해야 한다.
1) Nonsustained VT: PVC의 치료와 유사
(1) 무증상 & 기타 심장질환 없음: 경과관찰
(2) 유증상: 원인 교정, BB, non-DHP CCB, amiodarone 등
(3) 적응증에 해당하면 ICD 삽입
2) Monomorphic VT (sustained)
(1) 혈역학적 불안정: 직류율동전환(DC cardioversion, synchronized)
① Monomorphic VT는 일정한 QRS 리듬이 있으므로 그것에 맞추어 synchronized cardioversion 시행
② 의식저하, 폐부종 등이 동반되었을 때도 시행
(2) 혈역학적 안정
① Adenosine: WPW syndrome이 없다는 전제 하에 SVT with aberrancy를 감별하기 위해 투여해볼 수 있음
② 항부정맥제: Procainamide(IA), amiodarone(III, 특히 HF 동반시), sotalol(III)
③ 위 치료 실패시 DC cardioversion → 실패시 응급 catheter ablation
* 구조적 심질환이 없고 ECG 형태가 idiopathic VT를 시사한다면 BB, non-DHP CCB를 투여해볼 수도 있다.
3) Polymorphic VT (sustained)
(1) 혈역학적 불안정: 제세동(defibrillation)
① Polymorphic VT는 QRS군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 인식하기 어려우므로 defibrillation 시행
② Polymorphic VT는 지속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많아 1st line으로 시행하는 경우도 많음
(2) 혈역학적 안정
① QT prolongation 없음: Lidocaine(IB), amiodarone(III)
② QT prolongation 있음: Magnesium (아래 TdP 참고)
위 2), 3)의 치료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급성기 VT 종결을 목적으로 했다면, 아래 4)의 치료는 VT가 현재는 없는 상태에서 앞으로의 만성기 VT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4) 만성기 치료: VT의 재발 방지와 심정지(cardiac arrest)의 예방이 목적
(1)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① 원리
• Overdrive pacing: VT가 발생하면 우선 심근을 매우 빠르게 수축시켜 sinus rhythm을 유도해 VT 종결을 꾀함
• Cardioversion/defibrillation: Overdrive pacing으로 VT가 종결되지 않거나 VF로 이행시 shock 전달
② 적응증
• VT/VF로 인한 심정지의 생존자
• 구조적 심질환 동반
• 원인을 알 수 없는 실신 + EP study상 유의미한 VT 확인 (EP study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때도 고려 가능)
③ 단점: VT가 발생했을 때 종결하는 기능만 있으며, VT의 생성 자체를 예방하지는 못함
• 따라서 ICD의 shock이 반복되면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아래의 치료가 중요
(2) 약물치료: β blocker(대부분의 경우 약물치료의 1st line) → amiodarone(III), sotalol(III) 추가 고려
(3) 전극도자절제술(catheter ablation): BB 투여 후에도 지속적으로 ICD shock 발생시
5. Torsades de Pointes(TdP)
1) 개요
(1) 병태생리
① QT interval이 길고(= repolarization 시간이 김) 서맥이 있을 때, QT interval 중 PVC가 발생 확률이 높아짐
* Repolarization 초반에 QRS가 들어오는 것을 early afterdepolarization이라고 하며, R on T라고도 부른다.
② PVC가 발생하면 compensatory pause가 발생함
③ 이 pause 이후에 발생하는 sinus rhythm은 QT interval이 더욱 김
④ ③에서 생성된 QT interval 중 PVC가 다시 발생 → TdP 시작
(2) 원인: QT 간격을 연장시키는 요인에 의해 주로 발생
① 전해질 불균형: HypoK, hypoCa, hypoMg 등
② 약물: 아래 외에도 수없이 많음
• 항부정맥제: Class III(amiodarone, sotalol, ibutilide 등), class IA(quinidine, procainamide 등)
• 항생제: Macrolide, fluoroquinolone, TMP-SMX 등
• 기타: 항정신병약물(haloperidol 등), TCA, antihistamine, hydroxychloroquine 등
③ Congenital long QT syndrome: 심장 급사 가족력 있을 시 의심
④ 기타: 심장질환(ischemia, bradycardia 등), 내분비질환(hypothyroidism 등), 신경계 질환(SAH 등)
2) 심전도 예시
(1) TdP 발생하기 전 QT prolongation
(2) Polymorphic, regular, wide QRS군이 baseline을 중심으로 커졌다 작아졌다 반복(rotation)
3) 치료 (급성기)
(1) 혈역학적 불안정: 제세동(defibrillation)
• Polymorphic VT의 한 종류이므로 cardioversion이 아닌 defibrillation
(2) 혈역학적 안정
① QT prolongation 유발요인 제거: 전해질 교정, 약물 중단 등
② MgSO4: Afterdepolarization을 방지함
③ 서맥 교정: Isoproterenol(β agonist)
* 일반적으로 VT에 사용되는 항부정맥제는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QT prolongation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특히 class IA, III)
(3) 만성기 치료: 비가역적인 원인에 의한 것일 경우 ICD 삽입 고려
6. 기타 VT 관련 부정맥
국시 출제 가능성은 매우 낮다.
1) 반복적인 VT
(1) Electrical storm: VT/VF가 24시간 내 3회 이상 발생하는 것
(2) Incessant VT: VT를 종결시켜도 얼마 안 가 다시 VT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
(3) 치료: VT의 종류/원인에 따라 다르며,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아래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① 응급 catheter ablation
② Stellate ganglion block: Paravertebral ganglion 중 하나를 block해 sympathetic tone을 낮춤
③ Cardiac denervation: 수술적으로 심장에 연결되어 있는 sympathetic nerve를 제거함
2) 가속심실고유리듬(accelerated idioventricular rhythm, AIVR)
(1) 정의: Ventricular rhythm(= wide QRS)이 반복되지만 HR이 정상(< 100)인 상태
(2) 병태생리: 심실 myocardium의 enhanced automaticity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서맥질환, 심근병증, 수면무호흡에서 호발
(3) 치료: 유증상시 원인 질환 교정
VT 치료 정리 | ||
분류 | Sustained VT | |
Monomorphic | Polymorphic | |
혈역학적 불안정 | • DC synchronized cardioversion | • Defibrillation |
혈역학적 안정 | • Amiodarone: 특히 HF 동반시 • Procainamide, sotalol • Adenosine (PSVT 감별) | • QT 정상: Amiodarone, lidocaine • QT 연장(TdP): Magnesium |
만성기 (예방) | ICD, BB → amiodarone, sotalol, catheter ablation | |
부정맥
조기흥분증후군
부정맥
심실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