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부정맥

부정맥 총정리

분류

특징

치료

Sinus bradycardia

• 심박수 < 60회/분

• 증상 있을 시: 원인 교정

Sinus tachycardia

• 심박수 > 100회/분

• 정상 P-QRS-T

• 원인 질환 교정, BB

Sinus arrest

• SA node 자극 형성 X

• P파, QRS군 모두 X

• Escape beat

• 동정지 동안 PP간격이 정상 PP 간격의 정수배가 아님

• 무증상: 경과관찰

• 증상: Pacemaker

Sinus exit block

• SA node에서 생성된 자극 전도 X

• P파, QRS군 모두 X

•동정지 동안 PP간격이 정상 리듬 PP 간격의 정수배

• 무증상: 경과관찰

• 증상: Pacemaker

Tachycardia-bradycardia syndrome

• 빈맥(AF 등) → sinus pause

• 이후 junctional escape beat

• 동반 부정맥 치료

• 서맥 증상: Pacemaker

1° AV block

• PR 간격 길어짐 (> 200 ms)

• 무증상: 경과관찰

• 증상: Pacemaker

2° AV block Mobitz type I

• PR 간격 점점 길어지다 전도 차단

• 무증상: 경과관찰

• 증상: Pacemaker

2° AV block Mobitz type II

• PR 간격 변화 없이 전도 차단

• 증상 관계없이 영구적 pacemaker

3° AV block

• P파와 QRS 군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생성

• Escape beat에 의해 심실 수축

• 증상 관계없이 영구적 pacemaker

RBBB

• V1의 rsR', rSR'

• V6의 qRS + wide/slurred S wave

• 무증상 + 동반질환 없을 시 경과관찰

LBBB

• V1: Notched/slurred QS

• V6: Notched/slurred R

• LBBB: 심초음파 (구조적 이상 동반 가능)

PAC

• Early abnormal P wave

• Non-compensatory pause (정상 PP 간격의 2배 X)

• 무증상: 경과관찰

PVC

• P wave X

• Early, wide, bizarre QRS

• Compensatory pause (정상 PP 간격의 2배)

• 무증상: 경과관찰

• 증상: 유발 인자 제거, BB, non-DHP CCB

AF

• No organized P wave

• Irregularly irregular RR interval

• Narrow QRS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Anticoagulation: CVS 2점 이상시 DOAC/warfarin

• Rate control: BB, non-DHP CCB

• Rhythm control: 항부정맥제(class IC/III), DC cardioversion, catheter ablation

AFL

• Sawtooth wave

• AF와 거의 동일

PSVT

•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 Retrograde P or P 안보일 수 있음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안정: Vagal maneuver, adenosine, BB, non-DHP CCB

• 재발 예방: Catheter ablation → BB, CCB

WPW

• Short PR (< 120 ms)

• Delta wave

• Wide QRS (> 120 ms)

• 무증상: 경과관찰

WPW + PSVT

• Regular narrow QRS tachycardia

• PSVT 중 AVRT와 동일

• PSVT와 동일

WPW + AF

• Irregularly irregular RR interval

• Wide QRS tachycardia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안정: Procainamide, ibutilide

• Adenosine, BB, non-DHP CCB, amiodarone 금기

VT

• Wide QRS tachycardia

• Regular RR interval

• Monomorphic VT: DC cardioversion or amiodarone

• Polymorphic VT: Defibrillation, amiodarone

• 예방: ICD, BB, catheter ablation

TdP

• Polymorphic VT

• QT prolongation

• QRS군이 baseline을 중심으로 커졌다 작아졌다

• 혈역학적 불안정: Defibrillation

• 안정: 유발요인 교정, MgSO4

• 예방: 비가역적 원인일 경우 ICD

VF

• 식별 불가능한 QRS군

• 불규칙한 진동파

• CPR + defibrillation

• 예방: ICD

치료 요약

SND

• 유증상시 pacemaker

AVB

• 2o AVB Mobitz II, 3o AVB시 pacemaker

• 기타 AVB에서 유증상시 pacemaker

AF, AFL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Anticoagulation: CVS 2점 이상 → DOAC(dabigatran, -xaban), warfarin(MS, prosthetic valve)

• Rate control: BB, non-DHP CCB → digoxin

• Rhythm control: 항부정맥제(class IC, class III), DC cardioversion, catheter ablation

PSVT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안정: Vagal maneuver → adenosine → BB, non-DHP CCB

• 재발 예방: Catheter ablation → BB, non-DHP CCB

WPW

•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WPW + 무증상: 경과관찰

• WPW + PSVT: 일반 PSVT와 동일

• WPW + AF: Procainamide, ibutilide (adenosine, BB, non-DHP CCB 금기)

VT

• Monomorphic 혈역학적 불안정: DC cardioversion

• Monomorphic 혈역학적 안정: Amiodarone, procainamide, sotalol, adenosine

• Polymorphic 혈역학적 불안정: Defibrillation

• Polymorphic 혈역학적 안정: amiodarone, lidocaine (QT prolongation 없을 시)

• 예방: ICD, BB → amiodarone, sotalol, catheter ablation

TdP

• 혈역학적 불안정: Defibrillation

• 혈역학적 안정: 유발원인 교정, MgSO4

VF

• CPR + defibrillation

• 예방: ICD

부정맥

심장 급사 질환

부정맥

심화 1. 심박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