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눌림증

: Cardiac tamponade, 심낭압전

진단과 치료가 매우 자주 출제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특징적인 임상 증상(저혈압, JVP↑, 심음↓)과 영상 소견을 잘 파악해야 한다.

1. 개요

1) 정의: Pericardial effusion으로 심장이 눌려 발생하는 응급 질환

2) 원인: 급성 심장막염의 원인들과 같음 (pericardial effusion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

(1) 감염성: 바이러스성, TB 등

(2) 종양성 질환

(3) 외상: Coronary intervention, 부정맥 catheter ablation 시술, 수술, 흉부 둔상

(4) 기타 질환: 신부전, 자가면역질환(SLE, RA 등), aortic dissection, drugs 등

3) 병태생리

(1) 급성 심장막염 및 기타 원인에 의해 pericardial effusion 발생

(2) Effusion의 크기가 커지면 심장이 압박되어 제대로 이완하지 못함

(3) Ventricular filling(특히 RV) 감소 → atrial & venous 압력 증가

(4) Ventricular filling이 이루어지지 않아 cardiac output 감소 → 저혈압

* 급성 심장막염의 합병증으로 심장 눌림증이 나타날 수 있기에 문제에서 급성 심장막염의 단서를 주는 경우가 많다.

2. 임상양상

1) 주호소

(1) 흉통: 급성 심장막염의 양상

(2) 호흡곤란: 다량의 pericardial effusion에 의해 발생

2) 기타 증상 및 징후

(1) Beck’s Triad

혈압 감소

정맥압 증가: 경정맥 확장으로 이어지기도 함

심음 감소: Pericardial effusion으로 심음이 감소되어 들림

* 급성 심장막염에서 흔히 들리는 pericardial friction rub은 effusion이 너무 많을 경우 잘 들리지 않는다.

(2) 빈맥: Cardiac output 감소에 대한 보상

(3) 기이맥(paradoxical pulse)

① 정의: 흡기 시 수축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하는 현상

② 정상: 흡기 시 흉강 내압 감소로 venous return 증가 → RV filling 증가로 RV가 LV를 누름 → LV preload 감소로 혈압 감소 (감소폭 < 10mmHg)

③ 심장눌림증: Pericardial space 압력 증가로 RV filling으로 인한 부피 증가를 완충하지 못함 → LV를 더 세게 누름 → 혈압 감소가 더 커짐

(4) 감염 과거력: 바이러스성 급성 심장막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했음을 시사

3. 검사소견

1) CXR: 대량의 pericardial effusion으로 water bottle appearance

2) ECG

(1) Tachycardia

(2) Low QRS voltage: 대량의 effusion에 의해 전기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음

(3) Electrical alternans(교대맥)

① QRS complex의 크기가 교대로 커졌다 작아졌다 보이는 현상

② 심장이 심낭의 물속에서 출렁거리며 lead에 가까워졌다 멀어짐을 반복하기 때문

(4) 급성 심장막염의 ECG: ST elevation, PR depression 보일 수 있음

Low voltage QRS complex, electrical alternans

4. 진단

1) 경흉부심초음파(echocardiography): 1st line

(1) Massive pericardial effusion: 보통 > 1~2 cm

(2) Systole 때 RA collapse, diastole 때 RV collapse

* 원래 systole 때 RA가 충만하고, diastole 때 RV가 충만해야 한다. 하지만 pericardial effusion으로 인해 filling이 방해를 받아 오히려 각자 충만해야 할 시기에 collapse되는 것이다. LV에 비해 RV의 myocardium이 얇고 약하므로 effusion에 의한 외력에 더 취약하다.

(3) Doppler echocardiography상 흡기 시

① Tricuspid, pulmonary valve 혈류 속도 증가

② Pulmonary vein, mitral, aortic 혈류 감소

5. 치료

1) 심장막천자(pericardiocentesis)

(1) IV saline 처치와 함께 응급으로 시행 (V/S 확인)

(2) 심초음파 guide 하 진행 (검상돌기 or 심첨부 or 흉골연 부위)

(3) Fluid가 혈성일 경우 신생물, 신부전, 외상, 결핵 등 의심

(4) 합병증: Cardiac arrest, cardiac perforation, thrombus, pneumothorax

2) 심장막창냄술(pericardiotomy): 아래와 같은 경우 고려

(1) 수술적으로 심장막을 천자하거나, pericardial과 pleural cavity를 이어주는 window formation을 시행

(2) 적응증

① Pericardiocentesis가 불가능할 경우

② 외상에 의해 pericardial cavity로의 active bleeding이 지속적으로 있을 경우

③ Recurrent loculated effusion이 있는 경우

심장눌림증 정리

원인

감염성: 바이러스, 세균, 결핵균 등

종양, 외상, 심장 시술/수술

임상양상

호흡곤란, 흉통

Beck's triad: 저혈압, 정맥압 증가, 심음 감소

검사소견

CXR: Water-bottle appearance

ECG: Low QRS voltage, electrical alternans

심초음파: Massive pericardial effusion

치료

심장막천자

Harrison 21e, pp.2021-2023

ESC guideline, 2015

심장막 질환

급성 심장막염

심장막 질환

교착 심장막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