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 심장막염
: Constrictive pericarditis
심장막의 염증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granulation tissue 형성 및 fibrosis와 함께 pericardial cavity가 닫혀버리는 질환이다.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파트는 아니지만 진단과 치료 방법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제한심근병증과 유사한 혈역학적 특징들을 나타내며, 특징적인 영상 소견(pericardial calcification)이 주로 같이 주어지기 때문에 급한 사람들은 특징적인 영상 소견과 치료 방법만 짚고 넘어가면 된다.
1. 개요
1) 원인
(1) 바이러스 감염: m/c
(2) TB: 한국 m/c
(3) 급성 심장막염의 기타 원인: 화농성 감염, 종양, 자가면역질환, 외상, 방사선, 요독증 등
2) 병태생리
(1) 급성 심장막염의 치유 또는 pericardial effusion의 흡수가 이루어짐
(2) 이 과정에서 granulation tissue 형성 → 지나칠 경우 pericardial cavity가 닫혀버림
(3) 심장막의 섬유화, 석회화 발생 → 심장이 제대로 늘어나지 못함
(4) Diastolic LV/RV filling의 제한 → LVEDV 및 SV 감소
(5) Filling 제한에 따른 심방, 폐정맥, 전신정맥의 압력 증가
* 교착심장막염에서는 early diastole에서는 정상적으로 filling이 이루어지다가 굳어있는 심장막에 다다를 경우 갑자기 filling이 제한된다. 심장눌림증에서는 이완기 전반에 걸쳐 filling이 제한되는 것이 다르다.
2. 임상양상
1) 주호소: 운동 시 호흡곤란
2) 기타 증상 및 징후
(1) Systemic venous congestion: 경정맥 팽창, 복수, 황달, hepatosplenomegaly
(2) 위약감, 피로, 부종, 체중증가, 복통 등
(3) Kussmaul’s sign: 흡기 시 경정맥압 상승 (정상에서는 흡기 시 감소)
* 흡기 시 흉강 음압이 형성되어 RA filling이 증가한다. 정상 심장은 이완기능이 정상이므로 늘어난 혈류를 수용하여 결과적으로 경정맥 압력은 낮아진다. 교착 심장막염의 심장은 이완기능이 비정상이라 경정맥 압력은 높아진다.
* RCMP, tricuspid stenosis, RV infarction에서 보일 수 있음 (공통적으로 우심장의 이완 장애, 울혈 등을 보임)
* 심장눌림증의 경우 Kussmaul’s sign이 드물다. Pericardial effusion이 있더라도 RA가 늘어날 공간은 어느정도 있기 때문이다.
(4) Pulse pressure: 정상 or 감소 / Paradoxical pulse: 1/3에서 관찰
3. 검사소견
1) CXR
(1) Normal or slightly enlarged heart
(2) Pericardial calcification: RCMP(restrictive cardiomyopathy)와 감별점
Calcification이 없을 수도 있고, 있더라도 교착심장막염이 아닐 가능성도 있음
2) ECG
(1) Low voltage QRS complex
(2) Diffuse flattening or inversion of T wave
* 급성 심장막염에서는 ST elevation이 정상화된 이후 T wave inversion이 나타났었다.
(3) Atrial fibrillation: 1/3에서 발견됨
3) 심초음파
(1) Pericardial thickening
(2) IVC, hepatic vein, atrium의 dilation
* Biatrial enlargement는 constrictive pericarditis와 RCMP의 특징적인 소견
(3) Early diastole에 LV filling의 갑작스러운 멈춤
4) CT, MRI
(1) Pericardial calcification 확인
(2) 초음파보다 정확하며, MRI는 myocardial involvement 여부를 판단하는데 유용

4. 치료
1) 심낭절제술(pericardiectomy): 근본적인 치료 방법, 가능한 빨리 시행
2) 염분 제한, 이뇨제
* 유사질환 감별진단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Cor pulmonale: 폐 기저질환 존재, Kussmaul’s sign(-)
Tricuspid stenosis: Diastolic murmur 들림, prominent y descent 없음
RCMP: Pericardial calcification 없음
Cardiac tamponade: Early diastolic filling 제한 받음, abrupt reduction of filling 없음, absent y descent
심장막질환 정리 | |||
분류 | 급성 심장막염 | 심장 눌림증 | 교착 심장막염 |
원인 | • 바이러스 등 감염 • 종양, 자가면역, 약물, 외상 등 | • 바이러스 등 감염 • 종양, 자가면역, 약물, 외상 등 | • 결핵 • 기타 급성 심장막염의 원인 |
임상양상 | • 흉통: 숙일 때 완화 • Pericardial friction rub | • 흉통, 호흡곤란 • Beck’s triad: 저혈압, 정맥압 증가, 심음 감소 | • 호흡곤란 • 경정맥 팽창, Kussmaul sign |
검사소견 | • CXR: 정상 or water-bottle • ECG: Diffuse, concave ST elevation | • CXR: Water-bottle • ECG: Low QRS, electrical alternans | CXR/CT: Pericardial calcification |
치료 | Aspirin/NSAIDs | 심장막천자 | 심낭절제술 |
Harrison 21e, pp.2024-2025
심장막 질환
심장 눌림증
대동맥 질환
급성 대동맥 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