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원인, 증상, 진단
심부전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에 대해 다루는 단원이다.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하는 증례가 대부분이며, CXR상 폐부종 소견을 주는 경우가 많다. 심부전은 하나의 질환이라기보다는 MI, 판막질환, DCMP 등 여러 질환이 진행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증상/징후들을 포함한 증후군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국시 문제를 풀 때에도 심부전의 임상양상이 보인다고 심부전의 진단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원인 질환을 특정할 만한 소견이 따로 주어지지 않았는지 살펴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원인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어떠한 검사를 진행해야 할지 묻는 문제도 최근 출제되었다.
1. 정의
심장의 구조나 기능의 장애로 좌심실 충만 혹은 혈액의 박출 기능에 이상이 생겨 호흡곤란, 피로, 체액 저류의 대표 증상을 나타내는 복합적 임상 증후군
2. 원인
1) 유발 요인
(1) 관상동맥질환: m/c (허혈로 인한 심근 손상 → 심장 기능 저하)
(2) 고혈압
(3) 판막질환: MS, MR, AS, AR, TR 등
(4) 심근병증(cardiomyopathy): DCMP, HCMP, RCMP
(5) 선천성 심질환: VSD, ASD, TOF 등 (치료 전, 후 모두 가능)
(6) 만성 호흡기 질환: COPD 등 → 폐고혈압, 폐성심
(7) 기타
① 감염: HIV, Chagas disease 등
② 자가면역질환: SLE, giant cell myocarditis 등
③ 약물: 항암제, 면역치료, 알코올 등
2) 악화 요인: 만성 심부전을 악화시키는 요인
(1) 심장성 요인: Uncontrolled HTN, MI, 부정맥, 폐색전증
(2) 기타 질환: 감염, 간/신기능 저하, 갑상샘항진증, 수면무호흡, 빈혈
(3) 약물: NSAID(water/salt retention 가능), non-DHP CCB(심근수축력 저하), 무분별한 이뇨제
(4) 환자 요인: 과한 운동, 과한 수분/염분 섭취, 심한 음주
3. 분류
좌심실 박출률(LV ejection fraction, LVEF)에 따라 분류
1) 박출률 저하 심부전(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HFrEF)
(1) 정의: LVEF ≤ 40%
(2) 주요 원인: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MS, MR, AS, AR), DCMP 등
* 보통 '헤프레프'라고 읽는다. 이전에는 ‘수축기 심부전(systolic HF)’라고도 불렸으나, 수축기 기능부전은 이완기 기능부전과 거의 항상 동반되므로 재명명되었다.
2) 박출률 보존 심부전(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HFpEF)
(1) 정의: LVEF ≥ 50%
(2) 주요 원인: 고혈압, 판막질환(MS, AS), HCMP, RCMP 등
* 보통 '헤프페프'라고 읽는다. 이전에는 ‘이완기 심부전(diastolic HF)’라고도 불렸으나, LVEF ≥ 50%라고 해도 수축기능이 정상은 아닌 경우가 많아 재명명되었다.
3) 박출률 경계형 심부전(heart failure with mildly reduced ejection fraction, HFmrEF)
(1) 정의: LVEF 41~49%
(2) 임상적 의미: HFrEF에서 HFpEF로 호전되거나 반대로 악화되는 과정
* HFrEF에서 치료를 받아 LVEF > 40%로 증가하면 HF with improved EF(HFimpEF), 또는 recovered EF(HFrecEF)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임상양상
심부전에 의한 증상은 크게 congestion(pulmonary, systemic)에 의한 증상(호흡곤란, 부종)과 reduced perfusion으로 인한 증상(피로, 어지러움, 운동능력 저하 등)으로 나뉜다.
1) 주호소: 호흡곤란 - pulmonary venous congestion(LV)에 의한 증상
(1) Exertional dyspnea: 운동 시 호흡곤란으로 시작 → 진행되면 안정 시에도 발생 가능
(2) Orthopnea: 누웠을 때 나타나는 호흡곤란
* 누우면 venous return이 증가해 혈액 울혈이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
(3) Paroxysmal nocturnal dyspnea: 밤에 갑자기 나타나는 호흡곤란
(4) 중증도 분류: NYHA classification
2) 기타 증상
(1) Systemic congestion(RV)에 의한 증상
① 전신 부종, 체중증가
② RUQ 불편감: Hepatic congestion에 의해 발생
③ 복부불편감, 소화불량: Splanchnic vessel의 congestion에 의해 발생
(2) Reduced perfusion(low-output)에 의한 증상
① 피로, 어지러움
② 위약감
3) 기타 징후
(1) 목정맥압 증가
(2) 폐 청진
① 수포음: 양쪽 등쪽 아랫부분 거품소리 (외부 유튜브 링크)
② 천명음: Bronchial mucosa congestion에 의해 발생 (천식/COPD로 오진하게 될 가능성 있음)
(3) 심장 청진
① S3 심음(third heart sound) (외부 유튜브 링크)
② MR, AR, TR에 해당하는 심잡음: HF에 의해 2차적으로 판막 역류 발생 가능
(4) 기타: 사지 청색증, 손발 차가움, 약한 맥박, 복수
5. 진단
1) 진단적 접근의 순서: Hx/PEx → CXR / ECG → BNP → 심초음파 순으로 진행
* 즉, CXR 혹은 ECG 소견이 주어지고 다음 검사로 BNP 또는 echocardiography를 답으로 고르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2) CXR: Cardiomegaly, pulmonary congestion, pleural effusion

3) ECG: HF를 진단하기보다는 HF의 원인질환 추정에 도움이 됨
(1) Pathologic Q wave, ST elevation: 관상동맥질환
(2) Low QRS: RCMP 등
(3) Irregularly irregular RR interval: AF
4) 뇌나트륨이뇨펩티드(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1) 분비: 심실 용적 증가 및 압력 과부하에 반응하여 심근세포에서 분비
(2) 기능: 평활근 이완되며 염분 배출, 이뇨, 저혈압, 이완 등
(3) 목적
① 호흡곤란의 원인이 심장성인지 감별
② 심부전 중증도 판별 위해 검사 시행
(4) proBNP(전구체): NT-proBNP, BNP로 나뉨. NT-proBNP가 specificity가 높음
* 국시 문제에서 BNP 수치가 정상일 경우 심부전을 배제하고 호흡곤란의 다른 원인을 생각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5) 경흉부심초음파(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1) 심장의 구조적 평가: 특히 MR, AR 등 판막질환이 HF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 가능
(2) Systolic function 평가: LVEF
(3) Diastolic function 평가: 매우 다양한 지표들이 존재
① E/e’: > 14 → diastolic dysfunction
• E: Early diastole에 LV가 확장하며 음압으로 혈액을 빨아들이는 LA→LV inflow 속도
• e'(e 프라임): MV가 LV에 붙어있는 annulus가 early diastole에 움직이는 속도
• E/e’는 LV filling pressure, 즉 diastolic function을 반영함
* 문헌마다 diastolic dysfunction을 나타내는 수치가 다르다. 미국심초음파학회 및 UpToDate는 > 14, AHA의 HF guideline은 > 15, ESC의 HF guideline은 > 9를 주장하고 있다.
② 좌심방 용적지수(LA volume index, LAVI): > 34mL/m2 → diastolic dysfunction
* 심초음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심화: 심초음파' 단원 참고
6) 기타 진단에 도움이 되는 부수적 검사
(1) CT coronary angiography: 허혈성 심질환이 HF의 원인으로 의심될 때
① ECG상 pathologic Q wave가 보였을 때
② 심초음파상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가 보였을 때
③ Troponin 상승 등 기타 허혈성 심질환을 의심할 만한 양상이 보일 때
(2) Cardiac MRI: LV 질량, 부피 평가, 기타 심근질환 감별진단에 우수함
(3)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중증도, 예후, 심장이식 필요성 평가
(4) 침습적 검사: 우심장 catheterization,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5) 원인 질환 감별: 수면다원검사(수면무호흡 의심 시), 당뇨 평가, 우울증 평가 등
심부전
심부전 개요
심부전
심부전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