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 치료
만성 심부전, 급성 비보상성 심부전 치료에 관한 단원이다. 문제가 '만성 심부전에 대한 장기적 치료'를 묻는 것인지, '급성 심부전에 대해 지금 당장 필요한 치료'를 묻는 것인지 잘 판단해야 한다. 어떤 약들이 장기 생존율을 증가시키는지, 어떤 순서로 약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두어야 한다. 특히 2021~2022년을 기점으로 주요 가이드라인들에 업데이트가 발생했는데, ARNI가 ACEi/ARB에 우선하는 1st line이라는 것과, SGLT-2 inhibitor가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편입되었다는 것이다.
1. 만성 심부전 치료 개요
HF에서는 cardiac output 감소가 발생하면 이를 보상하기 위해 RAAS,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된다. 이들은 단기적으로는 cardiac output를 증가시키지만, 장기적으로 심장에 더 많은 부하를 주고 remodeling을 일으키기 때문에 심부전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RAAS, 교감신경계를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늦추어 생존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치료를 시행한다.
2. HFrEF 치료
1) 개요
(1) 기본 약물치료: ARNI/ACEi/ARB + BB + MRA + SGLT2i (+필요시 diuretics)
(2) 특정 환자군에 따라 추가 가능
① Ivabradine, H-ISDN, digoxin 등
② CRT, ICD, 심장이식, LVAD 등
* 대략적으로 위와 같은 흐름으로 치료가 진행된다. 이 중 기본 약물치료에 해당하는 약물들은 빠짐없이 알아두어야 한다. 위 '기본 약물치료'에 해당하는 약물은 전부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한 번에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고, 환자 상태에 따라 하나씩 추가시킬 수도 있다.
2)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RAAS) 차단제: 아래 중 하나 투여
(1) 안지오텐신수용체 - 네프릴리신억제제(angiotensin receptor-neprilysin inhibitor, ARNI): 1st line
① 종류: Valsartan/sacubitril 복합제
② 기전: ARB로 angiotensin 억제 & BNP를 분해하는 neprilysin을 억제 → 혈관 이완, Na+ 배출 효과
③ 부작용: 기침, 혈관부종 (neprilysin inhibitor의 bradykinin 분해 억제 효과에 의함)
(2)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 ACEi): 2nd line
① 종류: Captopril, enalapril 등(~pril)
② 기전: Angiotensin I이 II로 바뀌는 것을 막아 aldosterone 생성을 저해함
③ 부작용: 기침, 혈관부종 (bradykinin 분해 억제 효과에 의함)
(3)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3rd line
① 종류: Candesartan, losartan, valsartan 등(~sartan)
② 기전: Angiotensin II가 aldosterone을 생성하는 것을 저해함
③ ARNI/ACEi 투여가 어려울 경우(혈관부종 과거력 등) ARB 선택
*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ACEi의 부작용을 사전에 회피하기 위해 ARB를 먼저 투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3) 베타 차단제(β blocker, BB)
(1) 종류: Bisoprolol, carvedilol, metoprolol만 가능
* HF에서 BB의 survival benefit은 위 세 약제에 한해서만 입증되었다. Nonselective한 propranolol은 물론이고 cardioselective한 atenolol 등의 다른 BB도 문제의 보기로 나오면 선택하지 말아야 한다.
(2) 기전: 교감신경계 억제
(3) 금기: Acute decompensated HF, 저혈압(심근 수축력 저하 부작용)
4)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저해제(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MRA)
(1) 종류: Spironolactone, eplerenone
(2) 기전: RAAS 활성화로 생긴 aldosterone의 작용을 직접적으로 억제
(3) 금기: HyperK (aldosterone은 K+를 소변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
* Potassium-sparing diuretics로도 알려져 있다.
5) 나트륨포도당공동수송체-2 억제제(sodium 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SGLT2i)
(1) 종류: Dapagliflozin, empagliflozin
(2) 기전: Na+와 glucose를 함께 신장에서 재흡수시키는 통로를 막아 배설을 유도함
* 원래 T2DM 치료제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DM이 없는 HFrEF 환자에게도 효과를 보인다.
6) 이뇨제(diuretics)
(1) 종류
① 고리이뇨제(loop diuretics): Furosemide, torsemide 등 (1st line)
② 티아지드계 이뇨제: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고리이뇨제 최대용량에도 호전 없을 시 고려)
(2) 기전: 신장에서 Na+를 재흡수시키는 통로를 막아 배설을 유도 → 체내 volume 감소
(3) 적응증: Volume overload로 인한 증상 (수포음, 폐부종 등) → 언제든지 필요할 때 투여
7) 기타 약물치료: 위 기본 약물치료를 시행한 이후 적응증에 따라 선별적으로 고려
(1) Ivabradine
① 기전: SA node의 pacemaker current(If)을 억제 → 심박수를 낮춤
② 적응증: BB 최대용량에도 불구하고 HR ≥ 70bpm (+ NYHA II~III)
(2) Hydralazine + isosorbide dinitrate (H-ISDN)
① 기전: Hydralazine은 동맥 이완, isosorbide dinitrate는 정맥 이완 작용
② 적응증: 흑인 (+ NYHA III~IV)
(3) Digoxin
① 기전: Na+/K+ pump를 억제해 세포 내의 Ca2+ 농도를 증가시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킴
② 적응증: 증상이 심하고, 다른 약물에 반응하지 않음 (짧게 사용)
③ 부작용: Arrhythmia 발생 가능, 다양한 전신적 부작용
(4) 기타: Guanylyl cyclase stimulator(vericiguat), omega-3 fatty acid, potassium binder(patiromer 등)
8) 시술/수술: 위 기본 약물치료를 시행한 이후 적응증에 따라 선별적으로 고려
(1) 심실재동기화치료(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CRT)
① 기전: LBBB 등으로 인해 심실수축의 어긋나있던 타이밍을 적절하게 조율해 효과적인 수축을 유도
② 적응증: LVEF ≤ 35% + wide QRS(≥ 120 ms) (+ NYHA I~III)
(2)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① 기전: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성 급사(sudden cardiac death) 예방
② 적응증: LVEF ≤ 30~35% + (MI 후 40일 or DCMP) (+ NYHA I~III)
(3) 기타: 관상동맥질환 있을 시 revascularization 고려, secondary MR 동반시 시술/수술 고려
9) 진행성 심부전(advanced HF)의 치료
(1) 정의: HF 증상이 일상생활을 심하게 방해하며 잦은 재입원을 요할 때
(2) 강심제(inotropics): Dobutamine, dopamine, milrino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등
• LVAD 또는 심장이식으로 넘어가기 전 ‘bridge therapy’로 시행
(3) 좌심실보조장치(LV assist device, LVAD)
① LV에서 혈액을 빼내 aorta로 펌프해주는 기계적 장치를 신체 내부에 이식함
② 적응증: Inotropic support에 의지하는 상태 + 기대여명이 남아있음
(4) 심장이식(heart transplantation)
① 환자의 기대여명, 기타 전신적 상태, 사회적 지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② 적응증: LVAD와 동일
10) 금기 or 주의 약물
(1) Aspirin, NSAIDs
(2) CCB: 특히 non-DHP CCB(diltiazem, verapamil)는 심근수축력 저하 등의 부작용
(3) 항부정맥제: Class IC(flecainide 등), dronedarone
(4) 일부 DM 약물: Thiazolidinedione, DPP-4 inhibitor(saxagliptin 등)
3. HFpEF, HFmrEF 치료
1) 약물: HFrEF의 치료약물과 유사 → 그러나 전반적으로 evidence level이 더 낮음
(1) ARNI, ACEi, ARB
(2) BB
(3) MRA, SGLT-2 inhibitor
(4) Loop diuretics: 폐부종 등 congestion 증상 있을 때 (유일하게 evidence level 높음)
2) 기타: 혈압 조절, 기저질환 치료/관리, 위험요인 회피 등
4. 급성 비보상성 심부전(acute decompensated heart failure, ADHF) 치료
1) 개요
(1) HF의 악화요인에 의해 HF가 급성으로 악화되는 경우
(2) 치료의 목적: 증상 개선 + end-organ의 생존
* 만성 심부전에서의 치료는 장기적 생존율 증가를 위한 약제들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했다면, 급성 심부전의 경우 당장 심각한 폐부종이나 hypoperfusion 등을 완화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diuretics, vasodilator, inotropics 등의 약제가 훨씬 중요해진다.
2) Volume control
(1) Loop diuretics: Furosemide, torsemide 등
(2) Thiazide: Loop diuretics 최대용량에도 호전 없을 시 고려
(3) Ultrafiltration: 혈액투석처럼 침습적으로 volume을 줄이는 치료
3) Vasodilation: Preload, afterload 감소
(1) Nitroglycerin: Venous tone 감소 → preload 감소
(2) Nitroprusside: Arterial & venous tone 감소 → 저혈압이 있을 때는 주의해야 함
(3) 주로 고혈압~정상혈압일 때 사용
4) Hypotension, hypoperfusion 치료
(1) Inotropics: Dobutamine, milrinone, levosimendan
* 심근 수축력 증가뿐만 아니라 용량에 따라 vasodilation에 의한 저혈압 등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2) 기타: 대동맥내풍선펌프(intraaortic balloon pump, IABP), LVAD
5) 금기: BB - 단기적으로 cardiac output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ADHF에서는 금기
* 문제에서는 보통 급성 폐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하는 증례가 출제된다. 급성 폐부종의 치료는 산소투여, 이뇨제 등이 주를 이룬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단원 참고.
5. 심부전의 예방
1) 무증상 + LVEF ≤ 40%: ACEi/ARB, BB 투여
2) 기저질환 관리
(1) 고혈압: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고위험군에 해당하면 < 130/80 mmHg가 목표
(2) 당뇨병: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고위험군에 해당하면 SGLT-2 inhibitor 투여
(3) 이상지질혈증: LDL-C target에 맞게 statin 투여
3) 생활습관 교정: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 신체활동, 적정 체중 유지, 금연
심부전 정리 | |
원인 |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판막질환, 심근병증, 기타 전신질환 등 |
임상양상 | 호흡곤란, 부종, 피로/어지러움, S3 gallop 등 |
진단 | BNP↑ → 심초음파 → CT/MR/수면다원검사 등 추가 가능 |
HFrEF 치료 (LVEF ≤ 40%) | 1차 치료: ARNI/ACEi/ARB, BB, MRA, SGLT2i, loop diuretics(필요시) 기타: Ivabradine(HR ≥ 70), H-ISDN(흑인), CRT(wide QRS), ICD(post-MI 등) |
HFpEF, HFmrEF 치료 | Loop diuretics(필요시) + HFrEF와 유사(근거수준 다소 낮음) |
ADHF 치료 | Loop diuretics + vasodilator + inotropic |
심부전
심부전 원인, 증상, 진단
심부전
폐고혈압과 폐성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