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신
: Syncope
매년 국시에 1문제 정도 출제되는 파트이다. 실신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미주신경성 실신, 기립성 저혈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들과 필요한 검사방법에 대해 잘 알아두어야 한다.
1. 개요
1) 정의
(1) 급성 전반적 뇌혈류 감소에 의해 발생하며,
(2) 자발적으로 호전되는,
(3) 일시적 의식소실
2) 전실신(presyncope): 실신의 전조증상(prodrome)
(1) 머리가 가볍게 띵한 느낌(lightheadedness)
(2) 어지러움
(3) 피로, 일시적 시각/청각 장애
3) 일시적 의식소실의 감별진단
(1) 발작(seizure)
* 발작에서 흔히 발생하는 tonic-clonic movement, myoclonus, urination, upward eyeball deviation 등의 요소가 실신에서도 발생할 수 있어 감별에 주의를 요한다. 실신의 의식소실 시간(수 초)과 postictal confusion(없거나 2분 이내)은 일반적인 전신강직간대발작(의식소실 5분 이상, postictal confusion 20분 이상이 흔함)의 요소들보다 짧다.
(2) 일과성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특히 vertebrobasilar ischemia
(3) 저산소혈증(hypoxemia), 저혈당(hypoglycemia), 탈력발작(cataplexy), 불안장애 등
2. 원인 및 분류
1) 신경성 실신(neural syncope): 특정 자극에 의한 부교감신경의 일시적 과활성화 (+ 교감신경의 장애)
* 주로 과호흡(cerebral vasoconstriction 유도)이나 흉강내 압력 증가(venous return 감소)하는 상황과 연관되어 있다.
(1) 혈관미주신경성 실신(vasovagal syncope)
(2) 상황 실신(situational reflex syncope):
① 호흡기: 과호흡/빈호흡, 기침, 재채기 등
② 비뇨기: 배뇨 후, 도뇨관 삽입, 전립샘 마사지 등
③ 경동맥동(carotid sinus) 과민감성 or 자극
* Carotid sinus에 위치한 carotid body가 혈압 변화를 감지하여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이것이 과민해지거나 해당 부위를 물리적으로 압박할 때 실신이 발생할 수 있다.
④ 기타: 삼킴 실신, GI sensitivity, 눈 마사지 등
2)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교감신경의 활성화 부전
3) 심장성 실신(cardiac syncope): 가장 위험하므로, 심장성 실신을 우선 배제하는 것이 중요
(1) 서맥성 부정맥: Sinus arrest, sick sinus syndrome, 약물
* 서맥성 부정맥에 의해 발생하는 실신을 Stokes-Adams attack이라고도 부른다.
(2) 빈맥성 부정맥: PSVT, WPW syndrome, VT, TdP 등
(3) 구조적 질환: 판막질환,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등
3. 혈관미주신경성 실신(vasovagal syncope)
1) 개요
(1) 실신의 가장 흔한 원인
(2) 병태생리
①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긴장 → 교감신경 활성화
② 이를 억제하기 위해 부교감신경의 과한 활성화
③ 따라서 심장수축력 및 심박수 감소, 혈관 수축 감소 → 실신
2) 임상양상
(1) 유발인자: 오래 서 있기, 더운 환경, 밀집된 환경, 피로, 공복, 스트레스
(2) 전조증상: 구역, 구토, 시야흐림, 어지러움, 창백함, 발한
3) 진단
(1) 기립경사검사(tilt table test): 기립성 저혈압과의 감별진단
• 기립 후 시간이 지난 뒤 실신 유발 (전조증상 동반 가능) (↔ 기립성 저혈압은 기립 3분 후 혈압 감소)
(2) 기타 자율신경계 관련 검사: 기타 neural syncope과의 감별진단
① 교감신경 평가: Thermoregulatory sweat test(더운 방 안에서 발한 정도 측정),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ACh 용액 피부 흡수 후 발한 정도 측정)
② 부교감신경 평가: Heart rate variability(심호흡/Valsalva 후 HR 변동성 측정)
4) 치료: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음
(1) 비약물적 치료: 유발인자 회피, 수분 및 염분 섭취, 조짐이 느껴질 때 쪼그려 앉거나 사지에 힘을 주기
(2) 약물치료: 난치성의 경우 사용
① 혈관수축제(vasoconstrictor)
② Beta blocker, fludrocortisone 등
(3) 심박동기: 대부분의 경우에는 불필요하나, 아래의 경우 필요할 수 있음
① > 40세이며 최소 3번 이상 실신과 관련된 asystole event(3초 이상)가 발견된 경우
② 경동맥동증후군
4.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1) 개요
(1) 병태생리
① 기립 → venous return 감소 및 중력에 의해 뇌혈류 일시적 감소
② 자율(특히 교감)신경계 장애 → 뇌혈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한 혈관수축, HR 증가가 충분하지 않음
(2) 원인: 아래 원인들 특성상 고령에 흔함
① CNS 자율신경 장애: 파킨슨병, 루이소체치매, multiple system atrophy 등
② PNS 자율신경 장애: 당뇨, amyloidosis, 자가면역질환 등
③ 저혈량: 구토, 설사, 출혈 등
④ 약물: 항고혈압제, 전립선비대증 약물(alpha-blockers), 이뇨제, 교감신경 차단제, 혈관 이완제, SSRI
2) 임상양상
(1) 유발인자: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날 때 (↔ vasovagal은 오래 서있을 때 흔히 발생)
(2) 동반증상: Vasovagal syncope와 유사, 가끔 호흡곤란(lung apex의 V/Q mismatch), 흉통(myocardial ischemia) 동반
(3) 누워있을 때는 고혈압(supine hypertension)인 경우도 흔함
3) 진단: 기립경사검사(tilt table test)
(1) Baseline 혈압 측정: 5분 이상 누워있은 후 혈압 측정
(2) 환자를 똑바로 세우고 혈압 측정 (= 기립혈압 측정)
① 똑바로 세운 직후 측정
② 3분 이후 측정: SBP 감소폭 > 20 mmHg or DBP 감소폭 > 10 mmHg
* Tilt table 장비가 없는 경우 약식으로 환자를 침대에 5분 이상 눕혔다가 바로 일어서게 만드는 2-positional BP 검사를 자주 시행한다.
4) 치료
(1) 유발 요인 제거: 약물 감량/중단
(2) 비약물적 치료: 천천히 일어나기, 수분 및 염분 섭취
(3) 약물치료: Fludrocortisone, 혈관수축제(midodrine, L-dihydroxyphenylserine) 등
실신 요약 | |||
분류 |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 기립성 저혈압 | 심장성 실신 |
원인 | 오래 서 있기, 더운 환경, 피로, 스트레스 |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섬 | 부정맥, 기타 심질환 |
진단 | 기립경사검사 | ECG, Holter, 심초음파 등 | |
긴 시간이 지난 뒤 실신 | 3분 후 BP 20/10 이상 감소 | ||
치료 | 유발인자 회피, 수분/염분 섭취 혈관수축제, fludrocortisone | 유발인자 회피, 천천히 일어나기 혈관수축제, fludrocortisone | 개별 질환 치료 |
Harrison 21e, pp.152-158
순환기 총론
흉통
순환기 총론
전해질 이상, 약물 중독에 의한 심전도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