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 이상, 약물 중독에 의한 심전도 이상

전해질 이상, 약물 중독에 의한 심전도 이상을 다루는 단원이다. Hyperkalemia, 디지탈리스 중독 내용이 가끔 출제되므로 특징적인 심전도 소견은 짚고 넘어가도록 한다.

1.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ECG 변화

1) Hyperkalemia: HyperK 자체에 대한 내용은 '칼륨 이상' 단원 참고

(1) Tall T wave: T wave가 높아지며 얇아짐 (tenting이라고도 함)

(2) P wave flattening, QRS widening

① P wave가 점점 낮아지다가 소실됨

② QRS가 넓어짐

(3) Sinusoidal pattern: QRS 형태가 소실되어 sine wave 형태로 나타남 → 곧이어 asystole 발생

* 해당 양상들이 발생하는 절대적인 K+ 수치는 환자마다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tall T는 K+ 6.5~7.5, P wave flattening과 QRS widening은 7.5~8.0, sinusoidal pattern은 10~12에서 발생한다.

2) Hypokalemia: HypoK 자체에 대한 내용은 '칼륨 이상' 단원 참고

(1) QT prolongation: HypoK는 심실 재분극이 느리게 발생하도록 해 QT prolongation을 유발함

(2) U wave: QT prolongation이 심해질 경우 나타남

(3) 기타: PR prolongation, ST depression 등

3) Calcium 이상

(1) Hypercalcemia: QT shortening

(2) Hypocalcemia: QT prolongation

2. 약물로 인한 ECG 변화

1) 항부정맥제: 자세한 분류는 '부정맥 개요' 단원 참고

(1) Class IA(Na+ channel 차단): QT prolongation

ex) Quinidine, procainamide 등

(2) Class III(K+ channel 차단): QT prolongation

ex) Amiodarone, sotalol, ibutilide 등

2) Digoxin(digitalis)

(1) Digoxin의 작용: Na+/K+-ATPase 억제 → 세포 내 Ca2+ 증가 → 심장 수축력 증가

(2) 중독 증상: 구토, 설사, 서맥 → 부정맥, 두통, 경련 → 심정지

(3) 투여시 ECG 이상

① HR 변화: 둘 중 하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

• Ca2+ 증가 → 자동능(automaticity) 항진 → 상심실성빈맥

• AV node 억제 → 서맥

② 기타 부정맥 유발: PVC, AF, VT 등

QT shortening

Scooped ST segments, ST depression

(4) 진단: 혈청 digoxin 농도

추가적 검사: BUN/Cr, 전해질, ECG

(5) 치료: Digoxin 중단, digoxin-specific Ab, BB/lidocaine, 임시 심박동기 등

3. 기타 신체 이상으로 인한 ECG 변화

1) Hypothermia: 저체온증 자체에 대한 내용은 '환경적 손상' 단원 참고

(1) QT prolongation

(2) Osborn J wave

① QRS가 끝나고 ST segment가 시작되는 부분을 J point라고 함

② 해당 부분에서 convex하게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Osborn J wave라고 함

2) Intracranial bleeding

(1) QT prolongation

(2) Wide, deep T wave inversion

Harrison 21e, pp.1826-1832

순환기 총론

실신

순환기 총론

심화 1. 심초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