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모판 탈출

: Mitral valve prolapse, MVP

승모판이 좌심실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좌심방으로 끌려들어가는 질환으로, MR이 동반된다. 선진국에서의 chronic primary MR의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단독으로 출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 개요

1) 원인

(1) Idiopathic(m/c)

(2) 유전질환: Marfan syndrome, Ehlers-Danlos syndrome 등

(3) Rheumatic fever,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2) 병태생리

(1) MV의 점액성 변성(myxomatous degeneration)이 발생

① MV와 연관 조직들이 gelatin처럼 물컹하게 변함

② MV를 아래로 당겨주는 chordae tendinae 등의 조직들이 약해짐

(2) MV(주로 post. leaflet)와 chordae가 systole 때 LV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LA로 끌려들어감

(3) MV가 닫히지 못할 정도로 prolapse가 심해지면 MR 발생 → MR의 병태생리로 이행

2. 임상양상

1) 주호소: 호흡곤란(주로 MR 동반시 증상 발생)

2) 기타 증상: 두근거림/어지러움/실신(AF, PSVT 등 동반시), 흉통

3) 기타 징후

(1) Mid or late systolic click: S1 심음 이후 들림

• MV의 leaflet이 systole 때 LA로 끌려들어갈 때 발생. Mid-systolic murmur가 동반되기도 함

(2) Preload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더 이르게 들림

① 원리: Preload 감소 → LV end-diastolic pressure 감소 → chordae가 느슨해짐 → prolapse가 early systole에 발생

② 예시: Valsalva, 일어선 자세 등

3. 진단

경흉부심초음파: 승모판 탈출 및 MR 동반 여부 확인

4. 치료

1) 무증상: 경과관찰

2) 약물치료: 유증상시 β blocker, AF 동반 및 필요시 anticoagulation(DOAC/warfarin)

3) 승모판 수술: MR의 적응증과 같음

Harrison 21e, pp.1999-2001

판막질환

승모판 역류

판막질환

대동맥판 협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