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첨판 질환
: Tricuspid valve disease
삼첨판 질환은 보통 좌심장의 질환에 동반되어 나타나며, 증상도 보통 좌심장 질환의 증상과 공존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의심하기 어려우며, 국시에 자주 출제되지도 않는다. 간헐적으로 TR에 필요한 검사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므로, TS/TR에서 심잡음이 들리는 위치를 기억해 두는 것을 권한다.
1. 삼첨판 협착(tricuspid stenosis, TS)
1) 개요
(1) 대부분 다른 판막질환(특히 승모판 협착, 삼첨판 역류)과 동반되어 나타나며, MS의 경우 TS보다 빨리 나타남
(2) 원인: 선천성 기형, rheumatic disease
2) 임상양상 및 검사소견
(1) 주호소: 호흡곤란, 피로
(2) 기타 증상 및 징후
① 전신 부종
② 복부팽만 / 불편감: 울혈성 간비대, 복수 등에 의해 발생
③ 목정맥 확장
(3) 심잡음
① 흉골 좌하연 확장기 심잡음 (MS의 심잡음과 겹쳐 감별 어려움)
② 흡기 시 증가: Venous return의 증가로 인해 우심방 혈류 증가 ↔ Valsalva 시 감소
(4) ECG: RA enlargement (II - tall, peaked P wave / V1 - upright P wave)
3) 진단: 경흉부심초음파(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4) 치료: 수술적 삼첨판 성형술(tricuspid valve repair) → repair가 어려우면 replacement
(1) 적응증: TV area ≤ 1.5~2.0 cm2, ΔPmean > 4 mmHg
(2) 수술 전 처치: 염분 제한, diuretics, bed rest
(3) 보통 MV repair 등 기타 판막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때 동시에 시행
2. 삼첨판 역류(tricuspid regurgitation, TR)
1) 개요
(1) 원인
① 일차성: TV의 구성요소 자체가 손상
• Rheumatic disease, 감염 심내막염, 선천기형, 방사선 등
② 이차성: Tricuspid annulus의 비대 → 판막이 annulus를 충분히 닫지 못함
• 만성 폐고혈압(pulmonary HTN)
• 진행된 left-sided heart failure
• MI 이후 발생한 RV remodeling
• 기타 심근질환, AF, 외상 등
(2) 병태생리
① RV에서 RA로 역류 → RA 및 systemic venous 압력 증가
② RA enlargement가 발생하면 서서히 RV dilation도 진행됨
③ 나아가 RV dilation 및 hypertrophy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다 RV failure 발생
2) 임상양상 및 검사소견
(1) 주호소: 호흡곤란(폐부종), 부종, 복수
(2) 심잡음
① 흉골 좌연 4th ICS 수축기 심잡음
② Holosystolic murmur
③ 흡기 시 심잡음 증가, Valsalva 시 감소
(3) CXR, ECG: RA, RV 비대
3) 진단
(1) 경흉부심초음파: 1st line
(2) 우심장 심도자술(Rt. heart catheterization): 폐혈관 고혈압 여부 확인, 심장 기능 평가를 위해 시행 가능
(3) Staging: 자세한 내용은 다음 참고
① 유효역류구멍(effective regurgitant orifice, ERO): 역류하는 혈류가 통과하는 TV의 넓이
② 역류용적(regurgitant volume, Rvol): 한 번의 systole에 역류하는 혈류의 부피
• ERO ≥ 0.4 cm2, 역류 용적 ≥ 45 mL → severe TR
4) 치료
(1) 내과적 치료
① 이뇨제: Spironolactone 등 (hepatic congestion으로 인해 secondary hyperaldosteronism이 있는 경우가 많음)
② LV HF 치료: ACEi/ARB, BB 등
(2) 수술적 치료: TV repair(or replacement)을 아래 적응증에 맞추어 시행
① Severe TR + MV/AV 관련 수술 예정자
② 유증상 severe primary TR
③ 유증상 severe secondary TR + 내과적 치료에 호전 없음 + 폐고혈압 없음 + 좌심장 질환 없음
④ 무증상 severe primary TR + 지속적인 RV 확장/기능저하
판막질환
대동맥판 역류
판막질환
폐동맥판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