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중이 주변을 지나가는 신경에 대한 내용, 중이와 속귀의 구조에 관한 내용이 출제되었다.
1. 바깥귀(외이, external ear)
1) 구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43 | (1) 귀둘레(helix) (2) 맞둘레(antihelix) (3) 귀조가비(concha) (4) 귀구슬(tragus) (5) 맞구슬(antitragus) (6) 바깥귀길(external acoustic meatus) (7) 귓불(lobule) |
2) 신경
(1) 귓바퀴 바깥 아래쪽: 큰귓바퀴신경(great auricular n.) (C2, C3)
(2) 귓바퀴 바깥 뒤 위쪽: 작은뒤통수신경(lesser occipital n.) (C2)
(3) 귓바퀴 앞 위쪽: 아래턱신경의 귓바퀴관자가지(auriculotempor(2) al br. of mandibular n.) (CN V3)
(4) 귓바퀴 안쪽: 미주신경(CN X), 얼굴신경(CN VII)
3) 기능: 고막 보호, 공명, 소리 모음, 소리나는 방향 구별(localization)
4) 외이도(바깥귀길)
(1) 구조
① 가쪽 1/3: 연골, 외이도염 발생
② 안쪽 2/3: 관자뼈
(2) 기능: 보호(s자 모양, 귀지), self cleansing, 소리 증폭
• 휘어진 구조로 인해 귀를 뒤, 위쪽으로 잡아당겨야 잘 보임
2. 중간귀(중이, middle ear)
1) 중간귀
(1) 구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47 | 1. 고실(tympanic cavity) 2. 고실위오목(epitympanic recess) |
(2) 경계
<오른쪽 귀를 가쪽에서 본 그림>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48 | 1. 앞벽: ICA와 경계 • 귀관(유스타키오관), 고막긴장근반관 연결 • 고실끈신경(chorda tympani)이 빠져나감 2. 꼭지벽(mastoid wall): 뒷벽 • 꼭지방어귀(aditus to mastoid antrum) 연결 • 피라미드융기(pyramid): 등자근(stapedius m.)의 힘줄이 나오는 곳 • 고실끈신경(chorda tympani)이 들어옴 3. 고실천장(tegmental wall): tegmen tympani 4. 목정맥벽(jugular wall): 바닥, IJV와의 경계 • 혀인두신경(CN IX)의 고실가지의 통로 5. 고막벽(membranous wall): 가쪽벽 • 대부분 고막으로 구성 6. 미로벽(labyrinthine wall): 안쪽벽 • 고실곶(promontory): 달팽이(cochlea)가 튀어나온 구조 • 고실신경얼기(tympanic plexus): 감각 담당 • 안뜰창(oval window), 달팽이창(round window), 얼굴신경관융기(prominence of facial canal) 위치 • 자뼈 바닥의 부착점 |
• 고실끈신경은 얼굴신경(CN VII)의 가지
2) 고막: 외이와 중이의 경계
(1) 구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43 | (1) 이완부분(pars flaccida) • 천공성 중이염이 잘 생김(중이의 압력변화에 함몰되기 쉬움) (2) 긴장부분(pars tensa) (3) 뒤망치주름(posterior malleolar fold) (4) 앞망치주름(anterior malleolar fold) (5) 고막배꼽(umbo) (6) 빛원뿔(cone of light) • 밖에서 빛을 비추었을 때 반사광이 생기는 곳, 앞쪽에 위치 (7) 망치뼈자루(handle of maleus) • 망치뼈자루의 기울기 통해 앞뒤 구분 |
2) 귓속뼈(이소골)
(1) 구조: 고막 → 망치뼈(malleus) → 모루뼈(incus) → 등자뼈(stapes) → 안뜰창
• 귓속뼈끼리는 윤활관절로 연결되어 있음
(2) 기능
① 변환: 음파(공기의 파동)를 이소골의 진동 → 난원창의 진동을 통해 내이 속림프의 진동으로 변환
② 증폭: area ratio(고막에 비해 등자뼈 발판의 면적이 훨씬 작음, 에너지가 집중됨), lever ratio(지렛대의 원리)
(3) 근육: 귓속뼈의 고정에 관여
① 고막긴장근(tensor tympani m.): 아래턱신경(CN V3)의 가지가 지배
② 등자근(stapedius m.): 얼굴신경(CN VII)의 가지가 지배
3) 귀관(pharyngotympanic tube)
(1) 구조: 중이 – 뼈부분(1/3) – 연골부분(2/3) - 코인두
• 뼈부분: 항상 열려있음
• 연골부분: 평상시 닫혀 있음, 하품 등의 상황에서 근육의 작용으로 열림
(2) 기능
① ventilation: 고막 안팎의 압력 같게 유지
② drainage: 귓속 분비물을 코인두로 배출
③ protection: 코의 균들로부터 귀 보호
• 아이들은 귀관이 짧고, 굵고, 수평적이기에 귀관의 보호기능 약함 → 중이염↑
(3) 근육: 귀관의 열림, 닫힘에 관여
① Tensor veli palatini m.(주근육)
② Levator veli palatini m.(보조근육)
3. 내이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54
1) 구조: 뼈미로 + 막미로
(1) 뼈미로(bony labyrinth): 안뜰(vestibule), 반고리뼈관(semicircular canal), 달팽이(cochlea)
(2) 막미로(membranous labyrinth): 반고리관(semicircular duct), 달팽이관(cochlear duct), 타원주머니(utricle), 둥근주머니(saccule)
2) 달팽이(Cochlea): 청각기관
(1) 구조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57 | • 경계 ① 바닥판(basilar membrane) ② 안뜰막(vestibular membrane) • 구분 ① 고실계단(scala tympani) ② 중간계단(scala media) - 나선기관(spiral organ) 존재 ③ 안뜰계단(scala vestibuli) |
Waxman clinical neuroanatomy 29th ed. pp.212 | • 나선기관(organ of Corti) ① 덮개막(tectorial membrane) : 유모세포를 덮고 있는 고정된 막 ② 유모세포(hair cell) : Inner hair cell 1줄 + Outer hair cell 3줄, 각각의 세포에서 afferent nerve 나감. ③ 바닥판(basilar membrane) ④ Spiral ganglion: 청각신호를 CN VIII로 전달 |
(2) 청각신호 전달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60 |
① 외이도 → 고막의 진동 → 망치뼈의 진동 → 모루뼈의 진동 → 등자뼈의 진동 ② 등자뼈의 진동 → 안뜰창(oval window)의 진동 ③ 안뜰창의 진동 → 안뜰계단(scala vestibuli)의 파동 ④ 안뜰계단의 파동 → 계단끝통로(helicotrema) → 고실계단(scala tympani)의 파동 → 달팽이창(round window)을 덮은 둘째고막(secondary tympanic membrane)의 진동 ⑤ 파동의 전달과정에서 바닥판(basilar membrane) 진동, 유모세포도 같이 진동 ⑥ 고정된 덮개막(tectorial membrane)과 유모세포 사이의 간격에 변화가 생기며 유모세포의 stereociliar가 움직이며 유모세포 흥분(K+ 유입 → 탈분극 → Ca2+ 유입 → 신경전달물질 분비) ⑦ 유모세포에서 분비한 신경전달물질이 속귀신경(CN VIII)의 달팽이부분을 통해 뇌로 전달(Auditory pathway) |
(3) Auditory pathway
Waxman clinical neuroanatomy 29th ed. pp.214 | ① 일차뉴런 • 세포체: spiral ganglion • 엑손: cochlear n.(CN VIII) ② 이차뉴런 • 세포체: ventral/dorsal cochlear nu. • 엑손: ventral/intermediate/dorsal acoustic striae → trapezoid body → lateral lemniscus ③ 삼차뉴런 • 세포체: inferior colliculus • 엑손: brachium ④ 사차뉴런 • 세포체: medial geniculate body • 엑손: auditory radiation → 일차청각영역(transverse temporal gyrus) |
(4) 소음 보호, 청각 반사(acoustic reflex): 귓속뼈의 진동을 억제해 안뜰창에 도달하는 진동 감소시켜 내이 보호
① 고막긴장근(tensor tympani m.): 망치뼈에 붙어 수축해 귓속뼈의 진동 억제
② 등자근(stapedius m.): 등자뼈에 붙어 수축해 귓속뼈의 진동 억제
(5) Tonotopy: 달팽이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인식
• Base: 고음에 흥분, Apex: 저음에 흥분
3) 전정기관(Vestibule)
(1) 이석기관(otolithic organ): 수직 운동 감지
• 타원주머니(utricle) + 둥근주머니(saccule)
• 감각수용체: 타원주머니평형반(macula of utricle), 둥근주머니평형반(macula of saccule)
(2)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s): 회전운동 감지
• 3개의 반고리관이 서로 직교: 상반고리관, 측반고리관, 후반고리관
• 팽대(ampulla): 반고리관의 부풀어진 끝부분, 감각수용체 존재
• 감각수용체: 팽대능선(crista ampullaris)
• 반사적 안구운동에 관여
4) 신경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59 | (1) 속귀신경(CN VIII) ① 달팽이신경(cochlear n.): 청각 ② 안뜰신경(vestibular n.): 평형감각 (2) 얼굴신경(CN VII) ① 큰바위신경(greater petrosal n.) ② 등자근신경(n. to stapedius m.) ③ 고실끈신경(chorda tympani) |
Reference
•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942-960
• Waxman clinical neuroanatomy 29th ed. pp.211-215
두경부
눈
두경부
관자우묵과 관자아래우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