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팔의 구조
1. 위팔의 해부학적 개요
1) 위팔은 어깨관절(shoulder joint)과 팔꿉관절(elbow joint) 사이의 부위
2) 위팔뼈(humerus)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위팔근막(brachial fascia)에 의해 앞쪽 구획(anterior compartment)과 뒤쪽 구획(posterior compartment)으로 나뉨
3) 구획 분리는 가쪽근육사이막(lateral intermuscular septum)과 안쪽근육사이막(medial intermuscular septum)에 의해 이루어짐
2. 위팔 앞쪽 구획
1) 주요 근육
(1)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어깨뼈(scapula)에서 기시하여 노뼈(radius)에 정지
(2) 부리위팔근(coracobrachialis):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에서 기시하여 위팔뼈(humerus)에 정지
(3) 위팔근(brachialis): 위팔뼈 앞면에서 기시하여 자뼈(ulna)에 정지
2) 지배 신경
(1) 근육피부신경(musculocutaneous nerve)
(2) 근육 지배 이후 가쪽팔앞피부신경(later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으로 전환
3) 주요 기능
(1) 팔꿉관절 굽힘
(2) 회외(supination)에도 일부 관여
3. 위팔 뒤쪽 구획
1) 주요 근육: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 long head, lateral head, medial head로 구성
2) 지배 신경: 노신경(radial nerve)
3) 기능: 팔꿉관절 펴기에 관여
4) 구조적 특징
(1) 노신경은 노뼈고랑(radial groove)을 따라 주행
(2) 노신경은 깊은위팔동맥(deep brachial artery)과 함께 위치
4. 위팔뼈(humerus)의 구조
1) 관절 관련
(1) 머리(head): 어깨뼈관절오목(glenoid cavity)과 관절 형성
(2) 위팔뼈도르래(trochlea), 위팔뼈작은머리(capitulum): 자뼈 및 노뼈와 관절 형성
2) 임상 관련
(1) 수술목(surgical neck): 골절 시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손상 위험
(2) 노뼈고랑(radial groove): 노신경과 깊은위팔동맥 주행
(3) 삼각근거친면(deltoid tuberosity): 삼각근(deltoid muscle)의 정지 부위
(4)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 가쪽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근육 및 인대 부착부
5. 혈관 구조
1) 주요 동맥: 위팔동맥(brachial artery)
(1) 겨드랑동맥(axillary artery)의 연속, 큰원근 아래에서 시작
(2) 팔꿉오목에서 노동맥(radial artery)과 자동맥(ulnar artery)으로 분지
2) 주요 가지
(1) 깊은위팔동맥(deep brachial artery): 노신경과 함께 노뼈고랑 주행
(2) 위자곁동맥(sup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아래자곁동맥(inf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팔꿉관절 곁순환 형성
3) 정맥 구조
(1) 노쪽피부정맥(cephalic vein): 팔 가쪽, 겨드랑정맥으로 유입
(2) 자쪽피부정맥(basilic vein): 팔 안쪽, 깊은정맥과 합류
(3) 팔굽중간피부정맥(median cubital vein): 채혈 부위
6. 신경 구조
1) 근육피부신경(musculocutaneous nerve): 앞쪽 구획의 근육 지배
2) 노신경(radial nerve): 뒤쪽 구획의 근육 지배, 아래팔 및 손에도 분포
3) 정중신경(median nerve), 자신경(ulnar nerve): 위팔에서는 주행만 하며, 팔꿉 아래에서 기능 수행
7. 임상적 중요 구조
1) 겨드랑신경
• 삼각근(deltoid muscle)과 작은원근(teres minor muscle)을 지배
• 손상 시 팔을 벌리는 동작(외전)이 어렵고, 어깨의 위쪽 부위 감각 저하가 동반될 수 있음
2) 수술목 골절(surgical neck fracture)
• 위팔뼈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절이며, 이 부위는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이 주행하는 위치와 가까움
• 손상 시 삼각근과 작은원근 마비, 팔 외전 기능 약화 및 어깨 가쪽 감각 이상 유발
3) 노뼈고랑을 포함한 위팔뼈 중간부 골절
• 노신경(radial nerve)의 손상으로 이어져 손목처짐(wrist drop) 유발
4)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 골절
• 자신경(ulnar nerve) 손상과 연관되어 손가락 운동 장애 및 감각 저하 발생 가능
Gray's Anatomy 42th ed. pp.890-929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739-752
상지
어깨의 구조
상지
아래팔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