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팔의 구조
1. 해부학적 구획 및 기본 구조
1) 아래팔은 팔꿉관절(elbow joint)에서 손목관절(wrist joint)까지의 부위
2) 노뼈(radius)와 자뼈(ulna)를 포함하며, 두 뼈는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으로 연결
3) 근막에 의해 두 구획으로 나뉨
(1) 앞쪽 구획(anterior compartment): 굽힘근(flexor), 회내근(pronator) 포함
(2) 뒤쪽 구획(posterior compartment): 폄근(extensor), 회외근(supinator) 포함
2. 앞쪽 구획의 근육 구조
1) 표재층
(1) 원엎침근(pronator teres): 노뼈 쪽에 정지하여 회내 작용
(2) 노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radialis): 노뼈 쪽 손목 굽힘 및 외전
(3) 긴손바닥근(palmaris longus): 손바닥근막(palmar aponeurosis)에 붙음
(4)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자뼈 쪽 손목 굽힘 및 내전
2) 중간층
(1)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2~5번째 중간마디 굽힘
3) 깊은층
(1)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손가락 끝마디 굽힘, 2,3번째는 정중신경, 4,5번째는 자신경 지배
(2) 긴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 longus): 엄지 끝마디 굽힘
(3)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노뼈와 자뼈를 연결하며 회내 작용
4) 신경 지배
(1) 정중신경(median nerve): 대부분 근육 지배
가지인 앞뼈사이신경(anterior interosseous nerve)이 깊은층 지배
(2) 자신경(ulnar nerve): 자쪽손목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자측 2개 힘줄 지배
5) 혈관
(1) 자동맥(ulnar artery): 자신경과 함께 주행
(2) 앞뼈사이동맥(anterior interosseous artery): 깊은근육층 공급
3. 뒤쪽 구획의 근육 구조
1) 표재층
(1) 노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brevis): 손목 폄 및 외전
(2) 위팔노근(brachioradialis): 해부학적으로는 폄근군에 속하지만 기능적으로는 굽힘 작용
(3) 손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2~5번째 손가락 끝마디까지 폄
(4) 새끼폄근(extensor digiti minimi): 5번째 손가락 폄 보조
(5) 자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ulnaris): 손목 폄 및 내전
2) 깊은층
(1) 엄지폄긴근(extensor pollicis longus): 엄지 끝마디까지 폄
(2) 엄지폄짧은근(extensor pollicis brevis): 엄지 중간마디까지 폄
(3)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집게손가락(둘째 손가락)의 독립적인 폄 기능
(4)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 엄지를 벌림
(5) 엎침근(supinator): 아래팔을 회외(supination)시키는 근육으로, 노신경의 깊은가지(deep branch of radial nerve)가 이 근육을 통과해 주행
3) 신경 지배
(1) 노신경(radial nerve)
(2) 깊은노신경(deep branch of radial nerve)
(3) 뒤뼈사이신경(posterior interosseous nerve)
4) 혈관
(1) 노동맥(radial artery)
(2) 뒤뼈사이동맥(posterior interosseous artery)
4. 기타 구조
1)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 힘 전달과 근육 부착에 기여
2) 팔오금(cubital fossa): 위팔두갈래근힘줄, 노동맥, 정중신경의 주행 통로
3) 손목터널(carpal tunnel)
(1)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와 손목뼈 활(carpal arch) 사이 구조
(2) 통과 구조: 얕은손가락굽힘근 4개 + 깊은손가락굽힘근 4개, 긴엄지굽힘근의 힘줄, 정중신경
5. 임상적 중요 구조
1) 노뼈머리고리인대(annular ligament of radius) 탈구
• 아래팔 상단의 노뼈(radius) 머리를 자뼈(ulna)의 관절오목에 고정하는 인대
• 유아의 경우 인대가 약하여 팔을 잡아당기는 동작에서 노뼈 머리가 인대에서 빠져나오는 탈구 발생 가능성 있음
• 흔히 유아의 팔 빠짐(pulled elbow)이라 불림
2) 손목굴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 손목굴은 아래팔의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와 손목뼈(carpal bones)로 이루어진 관 형태 구조
• 이 틈을 통과하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압박되면 손 저림, 통증, 근력 약화, 엄지두덩(thenar eminence) 위축이 발생
• 반복적인 손 사용이 위험요인
3) 자신경(ulnar nerve) 손상
• 자신경은 아래팔 안쪽을 따라 주행하며, 팔꿈치 뒤쪽의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 부위 통과
• 손상 시 넷째, 다섯째 손가락 감각 소실 및 손 내재근의 약화로 손가락 벌림·모음 장애, ulnar claw hand 발생
• 내측상과의 손상은 아래팔 신경 주행과 감각 지배를 이해하는 데 중요
4) 근육피부신경(musculocutaneous nerve)의 말단 감각 지배
• 위팔의 굽힘근을 지배한 후, 가쪽팔앞피부신경(lateral cutaneous nerve of forearm)으로 전환되어 아래팔 가쪽 피부 감각을 담당
• 위팔에서의 손상이 아래팔 감각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5) 근육피부신경 손상에 따른 운동 장애
•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위팔근(brachialis)은 아래팔의 굽힘 작용에 직접 관여
• 따라서 손상이 있을 경우 팔꿉관절 굽힘 운동력 저하 발생
• Lateral cutaneous branch of forearm을 통해 아래팔 가쪽 피부의 감각을 담당해 아래팔의 가쪽 감각 저하 발생
6) 손배뼈(scaphoid) 골절
• 아래팔 말단부와 이어지는 손목뼈 중 가쪽에 위치
• 낙상 시 손바닥을 짚으며 발생하는 대표적 골절이며, 노동맥(radial artery) 혈류와도 연관
• 손목을 펴고 벌릴 때 통증 심화
Gray's Anatomy 42th ed. pp.930-984
Gray's Anatomy for Students 4th ed. pp.753-809
상지
위팔의 구조
상지
손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