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중추 기능 및 언어 중추의 역할

실어증의 종류와 각 특징이 출제된다.

1. 고등 중추 기능

• 고등 중추 기능사고, 기억, 문제 해결, 정서 처리고차원적인 뇌의 기능 담당

• 주로 대뇌 피질에 위치하며, 사람의 인지 능력정서적 반응 조절

1) 고등 중추 기능의 주요 영역

(1) 전두엽 (Frontal Lobe)

• 기억, 판단, 기획, 문제 해결, 감정 처리, 언어 생산 담당

브로카 영역 (Broca's Area): 말하기, 문장 구성 담당

(2) 두정엽 (Parietal Lobe)

• 공간 인식, 감각 처리, 운동 조절 담당

(3) 측두엽 (Temporal Lobe)

• 청각 처리, 언어 이해, 기억 형성 담당

베르니케 영역 (Wernicke's Area): 언어 이해, 어휘 선택 담당

(4) 후두엽 (Occipital Lobe)

• 시각 정보 처리 담당

2. 언어 중추의 역할

• 언어 중추좌반구에 위치하며, 주요 영역은 브로카 영역베르니케 영역

1) 브로카 영역: 말하기, 문장 구성 담당. 이 영역 손상 시 브로카 실어증 발생

2) 베르니케 영역: 언어 이해, 어휘 선택 담당. 이 영역 손상 시 베르니케 실어증 발생

3) 각회 (Angular Gyrus): 읽기, 쓰기와 관련된 언어 처리 담당

4) 궁상속 (Arcuate Fasciculus): 브로카와 베르니케 영역을 연결하는 신경 경로

3. 실어증 (Aphasia)

• 실어증은 뇌의 언어 중추가 손상되어 언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상태

1) 베르니케 실어증 (Wernicke's Aphasia)

(1) 기능: 언어 이해에 문제가 생기며, 말은 유창하나 의미 없음

(2) 특징: 자유롭게 말을 하며, 말은 길고 유창하지만 단어가 무의미하고 문법적으로 틀림

(3) 주로 손상되는 부위: 좌측 측두엽, 베르니케 영역

2) 브로카 실어증 (Broca's Aphasia)

(1) 기능: 말하기에 어려움이 생기며, 이해는 정상

(2) 특징: 말이 어눌하고 문법적 오류가 많음. 말할 때 단어가 빠지거나 단어를 구성하는 데 시간이 걸림

(3) 주로 손상되는 부위: 좌측 전두엽, 브로카 영역

3) 감각 실어증 (Sensory Aphasia)

(1) 기능: 언어 이해에 어려움이 생기는 실어증

(2) 특징: 말은 유창하지만,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말하는 내용이 엉뚱하거나 혼란스러움

(3) 주로 손상되는 부위: 베르니케 영역 (Wernicke’s Area)

4) 표현 실어증 (Expressive Aphasia)

(1) 기능: 말하기에 어려움이 있지만, 이해는 상대적으로 정상

(2) 특징: 말을 잘 하지 못하고, 말을 할 때 단어를 찾기 어려움, 하지만 이해 능력은 보통 정상

(3) 주로 손상되는 부위: 브로카 영역 (Broca’s Area).

5) 전도 실어증 (Conduction Aphasia)

(1) 기능: 반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실어증

(2) 특징: 말은 유창하지만, 반복을 할 때 문제가 발생하고, 단어를 반복하려면 큰 어려움을 겪음

(3) 주로 손상되는 부위: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 궁상속 (Arcuate Fasciculus)

실어증 유형

언어 이해

언어 표현

따라 말하기

특징 요약

감각실어증

저하

유창하나 비논리적

저하

말은 유창하지만 의미 이해 어려움

베르니케실어증

저하

유창하나 의미 없음

저하

언어 이해·따라 말하기 모두 저하

브로카실어증

유지

비유창성

저하

말은 어려우나 의미는 전달, 이해는 가능

표현실어증

유지

제한적 표현

유지 또는 저하

언어 표현에 어려움, 단어 찾기 어려움

전도실어증

유지

유지

저하

이해·표현 가능하나 따라 말하기에 장애 있음

4. 실어증의 진단 및 치료

1) 진단 방법

(1) 신경심리학적 평가: 언어 기능의 수준을 평가하여 실어증의 유형 확인

(2) CT/MRI 검사: 뇌의 손상 부위를 확인하여 실어증의 원인 파악

2) 치료 방법

(1) 언어 치료: 말을 유창하게 하거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훈련

(2) 보조 기기 사용: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장치나 앱 사용

(3) 약물 치료: 뇌의 회복을 돕거나 실어증의 원인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

Guyton and Hall 14e, pp.567-585

신경

중추신경시냅스

신경

소뇌의 구조와 기능적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