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뇌의 구조와 기능적 구분

소뇌의 주요 핵(치아핵, 꼭지핵 등)과 기저핵의 역할 및 손상 시 증상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헌팅턴병, 무도병과 같은 운동 관련 질환에서 기저핵의 손상 패턴을 파악해야 한다.

1. 소뇌 및 관련 구조의 역할과 손상 시 증상

1) 소뇌 치아핵 (Dentate Nucleus)

(1) 기능: 운동의 정확성과 조화 조절

(2) 손상 시 증상: 어설픈 움직임과 단편화된 동작 발생. 주로 팔의 동작에 영향

2) 시상밑핵 (Subthalamic Nucleus)

(1) 기능: 기저핵 회로의 일부로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

(2) 손상 시 증상: 무도병과 같은 불수의 운동이 유발됨

3) 소뇌 앞엽 (Anterior Lobe of Cerebellum)

(1) 기능: 하지의 근긴장과 자세 조절 관여

(2) 손상 시 증상: 만성 알코올 중독에서 하지의 운동 실조 유발

4) 줄무늬체 (Striatum)

(1) 기능: 기저핵 중 하나로, 운동의 개시 및 억제 관여

(2) 손상 시 증상: 헌팅턴병에서 주로 문제 발생

5) 소뇌 꼭지핵 (Fastigial Nucleus)

(1) 기능: 몸통의 자세와 평형 유지에 중요

(2) 손상 시 증상: 몸통 실조와 균형 장애 발생

2. 소뇌의 기능

1) 운동 조절: 근육의 수축 정도와 협응을 조절하여 정밀한 운동을 가능하게 함

2) 균형 유지: 평형 감각 정보를 처리하여 자세와 균형 유지

3) 운동 학습: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운동 기술 학습하고 기억

Guyton and Hall 14e, pp.567-585

신경

고등 중추 기능 및 언어 중추의 역할

신경

척수 반사와 근긴장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