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 반사와 근긴장 조절
척수 반사와 근긴장 조절의 기전 및 역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척수 반사가 근육 운동 조절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1. 척수 반사 (Spinal Reflex)
• 척수 반사는 중추신경계(뇌와 척수)가 관여하는 자동적인 반응으로, 의식적 노력 없이 발생하는 반사적 반응
1) 구성: 수용기, 감각 신경, 척수, 운동 신경, 효과기
2) 기전
(1) 감각 자극이 수용기에서 시작되어 감각 신경을 통해 척수에 전달
(2) 척수에서 신호를 처리하여 운동 신경을 통해 효과기(근육)로 전달되어 반사적 수축 유도
2. 척수 반사의 주요 종류
1) 신전 반사 (Stretch Reflex)
• 근육이 늘어날 때 자기 수축을 통해 길이 유지
• 근육 긴장도 조절에 중요
2) 굴곡 반사 (Flexor Reflex)
• 통증 자극에 반응하여 해당 부위의 근육을 굴곡시킴
3) 교차 반사 (Crossed Extensor Reflex)
• 굴곡 반사와 동시에 반대편 다리에서 교차된 신전 반사 발생
3. 근긴장 조절 (Muscle Tone Regulation)
1) 근긴장은 근육이 항상 일정한 정도로 긴장을 유지하는 상태로, 근육의 저항성 의미
2) 척수 반사와 뇌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짐
3) 근긴장 조절 메커니즘
(1) 골지 힘줄 기관과 근방추가 근육의 상태를 감지하고 조절
• 근방추: 근육의 길이와 변화를 감지하여 골지 힘줄 기관과 협력하여 근육 긴장 조절
• 골지 힘줄 기관: 근육의 장력을 감지하여 과도한 장력 억제
(2)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가 근육 긴장 조절
• 교감 신경계 활성화 시 근육 긴장 증가
• 부교감 신경계 활성화 시 근육 긴장 감소
4. 주요 질환 및 반응
1) 근긴장 이상
(1) 저긴장증(Hypotonia): 근육 긴장이 비정상적으로 낮음. 근육 약화와 불안정성 유발
(2) 고긴장증(Hypertonia): 근육 긴장이 비정상적으로 높음. 경직이나 강직 유발
2) 반사 과민
• 척수 손상이나 뇌 손상 시 반사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과도한 근육 긴장을 유발할 수 있음
Guyton and Hall 14e, pp.683-695
신경
소뇌의 구조와 기능적 구분
신경
파킨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