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1. 파킨슨병

•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퇴행성 질환으로, 기저핵의 일부인 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producing 신경세포들이 파괴되어 발생하며, 주로 운동 기능 장애를 일으킴

• 도파민을 생성하는 중뇌 흑질의 세포 손상으로 인한 기저핵에 있는 다른 신경전달물질들의 불균형, 특히 도파민 부족이 주요 원인

2. 병리학적 특징

• 파킨슨병은 도파민 결핍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저핵운동 조절 기능에 장애가 생김

• 레위체(Lewy body)라고 불리는 단백질 덩어리가 흑질 및 기타 뇌 영역의 신경 세포에 축적

• 이 덩어리는 알파-시누클레인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축적이 신경 세포의 죽음 유발

3. 주요 증상

1) 떨림(Tremor): 손이나 팔, 다리에서 발생하는 비자발적인 떨림

2) 강직(Rigidity): 근육의 경직이나 경직된 느낌

3) 운동 느려짐(Bradykinesia): 움직임이 느려지고 작은 동작을 하기 어려워짐

4)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균형을 잡기 어려워지며 넘어지기 쉬운 상태

5) 비언어적 증상: 우울증, 인지 기능 저하, 수면 장애 등도 동반 가능

4. 치료 방법

1) 약물 치료

(1) 레보도파(Levodopa): 도파민의 전구체로, 뇌에서 도파민으로 변환되어 운동 증상 완화

(2)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Dopamine agonists): 도파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도파민의 역할 대신함

(3) MAO-B 억제제(Monoamine oxidase B inhibitors): 도파민 분해를 억제하여 뇌에서의 도파민 농도 증가시킴

2) 수술 치료

(1) 심부 뇌 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전극을 뇌의 특정 부위에 이식하여 전기 자극 제공, 증상 완화

Guyton and Hall 14e, pp.710-740

신경

척수 반사와 근긴장 조절

신경

뇌파